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지금까지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데 중점을 뒀다면 이제는 코로나 이후 상황에 대비하는 데 보다 주력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코로나를 계기로 디지털화와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이 된 만큼 이를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이다.
이 총재는 2일 세계경제연구원과 신한금융그룹이 공동으로 주최하는 국제컨퍼런스 축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 총재는 “코로나19가 강타한 지 1년 반이 지나고 있지만 우리 경제는 적극적인 정책 대응과 글로벌 경기회복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중 예상보다 빠른 회복세를 보였다”며 “델타 변이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지만 백신 접종 확대, 수출 호조 등으로 견실한 회복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포스틱 펜데믹(세계적 대유행) 시대를 구체적으로 예측하기 어렵지만 디지털화와 친환경 경제 전환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 총재는 “코로나19 이후 모든 부문에서 디지털화가 가속화되고 있다”며 “빅테크, 핀테크 기업의 금융서비스가 확대되는 가운데 금융산업에서도 디지털 전환이 최우선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고 말했다.
디지털 전환의 리스크 대비도 강조했다. 이 총재는 “네트워크 특성항 하나의 플랫폼이 성공적으로 자리를 잡으면 지배력이 강화되고 확산속도가 빨라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러면 경쟁과 혁신이 저해될 가능성이 높다”며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지 못할 경우 보안사고나 정보유출로 신뢰가 훼손돼 디지털 경제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코로나19 위기를 경험하면서 환경문제가 인류 삶에 미치는 영향이 얼마나 막대한지 경각심도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최근 각국 정부의 탄소 중립 선언, 기업과 금융기관의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강화 등을 변화의 근거로 제시했다.
다만 이 총재는 “경제적 비용, 기술적 한계의 부담 등으로 경제 주체들의 자발적 수용성이 낮기 때문에 친환경 경제로의 전환이 원활히 이행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며 “생산방식의 개선과 산업구조의 재편 등을 통해 적절히 대응한다면 우리 경제의 게임체인저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