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발전효율이 높은 봄철에 전력 생산량이 늘어 블랙아웃(대규모 정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지자 정부가 원자력발전소 출력을 제한하는 방안까지 검토하고 나섰다. 문재인 정부에서 호남 지역을 중심으로 태양광발전의 규모가 급증했지만 수도권 등으로 넘치는 전력을 다 보낼 수 없고 다른 발전량을 줄이는 데도 한계가 있어서다. 블랙아웃은 전력 생산량이 전력 소비량보다 적을 때뿐 아니라 많을 때도 발생할 수 있다.
20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는 최근 전력 계통 신뢰도협의회를 열고 원전 출력 제한을 포함한 ‘봄철 태양광 밀집지역 계통운영 방안’을 논의했다. 전국 태양광 설비의 43%가 밀집된 호남 지역에서 봄철 전력이 과다 생산돼 정전이 발생할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이에 전남 영광 소재 한빛원전의 발전량을 줄이는 방안이 거론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봄철 태양광 발전량이 점점 많아지다 보니 태양광발전은 물론 화력·액화천연가스(LNG) 발전까지 줄이는데도 전력이 넘쳐 원전 출력 제한까지 검토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봄은 전력 수요가 적은 반면 태양광 발전효율이 높아 전력 과다 생산으로 인한 정전 가능성이 높은 시기다. 전력 생산량과 소비량이 일치해야 일정한 주파수를 유지할 수 있는데 생산량이 남거나 모자라 주파수가 어긋나면 발전기가 자동으로 정지하기 때문이다. 특히 날씨 등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한 재생에너지 비중이 급속히 늘어난 제주·호남 지역에서는 전력 계통의 불안정성이 크다. 호남 지역의 태양광발전 설비 규모는 2019년 3087㎿에서 지난해 9106㎿로 급증한 상태다.
더구나 호남 지역은 수도권 등 전력 소비량이 많은 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어 생산된 전력을 모두 자체 소비하기 어렵다. 일각에서는 문재인 정부에서 태양광 발전설비 보급이 급속하게 이뤄진 반면 송전망 구축 투자에 소홀했던 점을 문제로 지적하고 있다. 정부는 상향된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달성하기 위해 2030년까지 송전·변전·배전 등 전력계통망에 투입해야 하는 비용을 약 30조 5000억 원 늘어난 78조 원으로 추산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수도권에서 쓰는 전기 대부분을 국토 끝단에서 생산하는 것은 단순히 어제오늘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전압·주파수가 낮아지더라도 태양광 발전설비가 멈추지 않고 계속운전할 수 있도록 해주는 고성능 인버터가 갖춰지지 않은 점도 문제다. 현재 전체 태양광 설비에서 저전압 연속운전 성능(LVRT)을 갖춘 비율은 1.5%에 불과하다. 산업부는 올 1월부터 ‘태양광 인버터 특별대책반’을 출범하고 태양광 밀집 지역의 인버터 개선 사업을 진행하고 있지만 발전업계에서는 정부 ‘과속 정책’의 책임을 민간에 돌리고 있다고 보고 있다. 곽영주 대한태양광발전사업자협회 회장은 “정부가 2020년부터 고성능 인버터 탑재를 의무화했는데 이전에 설비를 설치한 사업자들은 잘못도 없이 날씨가 좋을 때마다 출력 제한으로 손해를 보고 있다”며 “대출로 비용을 보전해준다고 해도 수명이 길게는 12~13년에 달하는 인버터를 당장 교체하라는 것은 엄청난 손실”이라고 지적했다.
정부가 정전을 막기 위해 태양광은 물론 원전 발전량까지 줄이면서 막대한 비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원전 1기 가동을 멈추면 하루 15억 원의 손실이 발생한다. 에너지 업계 관계자는 “2030년에는 재생에너지 비중이 21.5%, 원전 비중이 32.8%로 높아지는 만큼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