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가 이달 15일부터 ‘인천형 광역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한다.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민선 8기 인천시 공약사항으로, 코로나19 이후 버스 운송업계의 수익 적자로 인한 노선 폐지 등 시민 불편을 해소하고자 마련됐다.
준공영제는 노선 운영 경비에서 운송수익금을 제외한 손실액을 지원하는 제도로, 이번에 투입되는 시 예산은 415억 원(운행률 90% 기준)이다. 시는 재정이 투입되는 만큼 노선 운영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자 운영 대수 조정, 재정 소요 요인 관리 등을 선제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이번 준공영제의 시행 대상은 10개 운수업체의 28개 노선, 총 201대 차량이다. 시는 노사정 간의 합의로 상생형 준공영제 모델을 구축하고, 시민 불편을 최소화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노조는 파업 등의 불가피한 상황에서도 최소 운행 비율을 유지하고, 운수종사자 구인이 완료될 때까지 탄력근로제를 도입해 근로 유연성을 확보하는 데 동의했다.
특히 운수업체들은 △사모펀드 매각 금지 △인건비 부담 해소 △광역급행(M버스) 노선의 국가사무 전환 등 시의 정책 변화에 협력하기로 했다. 시는 이에 따라 향후 이용 수요에 맞춘 노선관리와 신속한 증차·증회로 시민들의 교통 편의를 더욱 강화되리라 기대한다.
주요 개선 내용으로는 광역버스 운행률을 개선해 배차간격을 단축한다. 현행 59.9% 수준의 운행률을 우선 70%까지 높이고, 주요 출퇴근 노선인 M6405, 9100번 등의 배차간격을 10분 내로 조정할 계획이다. 이후 최종적으로 90% 수준까지 확대해, 검단·송도 등 대규모 택지개발 지역의 교통 수요에 맞춘 맞춤형 광역버스를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하루 이용객 수를 증대시켜, 광역버스가 서울 접근성 향상의 주요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도록 할 방침이다. 더욱이 시는 M버스의 경우 국가 관리 체계로의 전환을 추진해 국비 지원 체계를 구축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전환할 방침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