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인공지능(AI) 모델 제미나이를 차량 네비게이션·웨어러블 기기 등 생태계 전반에 적극 도입한다. 삼성전자 갤럭시 등 스마트폰을 넘어서 안드로이드가 탑재되는 모든 곳에 제미나이를 적용해 챗GPT 등과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겠다는 전략이다.
13일(현지 시간) 구글은 “제미나이를 휴대전화뿐만 아니라 스마트워치, 차량, TV, 헤드셋 등 모든 기기로 확대해 유용한 어시스턴트 기능을 제공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안드로이드는 스마트폰 운영체제(OS)로 널리 알려져 있으나 각종 모바일 기기 외 TV·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에도 활용된다. 구글은 수개월 내 스마트워치용 웨어 OS와 차량용 네비게이션인 안드로이드 오토에도 제미나이를 도입한다. 하반기에는 구글 TV에도 제미나이가 적용된다. 제미나이 라이브의 자연스러운 대화 기능을 활용해 AI와 소통하고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구글은 “체육관에서 운동하며 손목에 찬 스마트워치를 통해 사물함 번호나 저녁 식사 장소를 물어볼 수 있다”며 “운전하면서 친구와 이야기하듯이 지역 정보 등을 물어볼 수 있고 출근길에 뉴스 요약을 요청하거나 받은 메시지에 답장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나아가 삼성전자와 함께 개발 중인 확장현실(XR) 헤드셋과 전용 OS ‘안드로이드 XR’에도 제미나이가 도입될 예정이다. 양사는 올해 말 첫번째 헤드셋 제품을 선보일 계획으로, 안경 형태 스마트글래스도 개발 중이다.
구글은 제미나이 도입 대상 확대와 함께 안드로이드 디자인도 개편한다. 기존 ‘머티리얼 디자인’은 최신 버전인 ‘머티리얼3 익스프레시브’로 업데이트 된다. AI를 이용해 개인화된 사용자경험(UX)을 제공하는 데 주안점을 뒀다. 구글이 머티리얼 디자인 개선에 나선 것은 2021년 이후 처음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