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한국 제품 쓰고 예뻐질래"…불티나게 팔리더니 '세계 3위' 오른 수출품, 뭐길래?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자료 사진. 연합뉴스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액과 수출액이 100억달러를 돌파하며 나란히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세계시장 순위에서는 3위를 석권했다.

27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2024년 국내 화장품 생산실적은 전년(14조5102억 원)보다 20.9% 늘어난 17조5426억 원, 수출액은 20.3% 증가한 102억 달러로 집계됐다. 생산액과 수출액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지난해 수출 실적은 프랑스(232억5823만 달러), 미국(111억9858만 달러)에 이어 세계 3위 수준이다. 전년 3위였던 독일(90억7601만 달러)을 10억 달러 이상 차이로 제쳤다.

국내 화장품이 수출된 국가는 172개국으로 전년보다 7개국 늘었다. 국가별로는 중국(24억9000만 달러)이 1위였지만 전년에 비해서는 10.3% 감소했다. 미국이 56.4% 급증한 19억 달러로 2위였고 일본(10억4000만 달러), 홍콩(5억8000만 달러), 베트남(5억3000만 달러) 순이었다.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의 수출 증가로 새로운 시장인 아랍에미리트(1억7000만 달러·9위)에서 91.0%의 큰 폭 증가세를 보였고 인도네시아(1억4000만 달러·13위), 폴란드(1억3000만 달러·14위)에서는 각각 69.9%와 161.9% 급증했다.

지난해 화장품 수입은 전년보다 0.8% 증가한 13억 달러(1조8062억 원)로 무역수지 흑자가 사상 최대인 89억 달러를 기록했다.

올해 1~4월 화장품 수출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5% 증가한 36억 달러로 1~4월 기준 역대 최대실적을 보였다. 지난달 한 달 수출 실적은 10억3000만 달러로 지난해 10월에 이어 두 번째로 10억 달러를 웃돌았다.



화장품 수출액 추이. 사진 제공=식약처


지난해 국내 화장품 생산은 기초화장용이 10조2961억 원으로 58.7% 늘었고 색조화장용(2조6755억 원·15.3%), 인체세정용(2조770억 원·11.8%), 두발용(1조5280억 원·8.7%) 등 대부분 유형에서 증가했다. 기초화장품과 색조화장품 중심의 수출 증가가 생산 증가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기초화장품 중 로션·크림, 에센스·오일 생산액은 2023년 4조4405억 원에서 지난해 5조7515억 원으로 늘었고 팩·마스크 생산액은 같은 기간 9868억 원에서 1조3169억 원으로 증가했다. 색조화장품 중 립스틱·립글로스 생산액은 2023년 6540억 원에서 지난해 9904억 원으로 늘었다.

기능성화장품에서는 주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제품의 생산액이 71.0% 급증한 2조5593억 원을 기록해 최근 소비자의 관심인 노화 속도를 자연스럽고 건강하게 늦추는 ‘슬로우에이징’ 트렌드를 반영한 결과로 분석됐다.

그러나 제조시설 없이도 아이디어만 있으면 위탁생산이 가능한 책임판매업체 수는 2만7932개로 전년 3만1524개보다 3592개 감소했다. 지난해 7월 화장품법 시행규칙 개정으로 화장품 책임판매업 직권 취소가 가능해진 식약처는 세무서에 폐업 신고한 책임판매업체 6292개를 직권 취소했다.

화장품 생산실적 보고 업체 1만3976개 중 생산액 1000억 원 이상 업체 수는 21개로 전년 12개보다 9개 늘었다. 이 중 생산액이 전년 대비 2배 이상으로 증가한 업체는 8개였다. 생산실적을 보고한 화장품 책임판매업체 1만3976개에 종사하는 인원은 총 11만4237명이었지만 종사자가 10명 미만인 업체가 1만2266개로 전체의 88%를 파지할 정도로 대부분 영세했다.

퇴직연금 ETF 투자 3조원 몰린 이유 [AI PRISM x D•LOG]
금값 100배 폭등에 중국 반도체 독립 선언 [AI PRISM x D•LOG]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