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가 분석·설계·코딩·테스트·품질진단에 이르는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해 시스템 개발 생산성 극대화를 추진한다.
LG CNS는 시스템 개발 과정에 AI 코딩 플랫폼인 '데브온 AI 드리븐 디벨롭먼트'를 도입한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LG CNS는 코딩 단계에서만 활용할 수 있었던 해당 AI 코딩 플랫폼을 대폭 고도화했다.
이 플랫폼은 시스템 분석 단계에서는 수십·수백만줄의 복잡한 소스코드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로 요약한다. 이로써 시스템 구조를 분석하는 시간을 대폭 줄여준다. 수천줄의 소스코드로 구성된 은행의 계좌이체 시스템을 분석할 경우 계좌번호 확인 등의 전체 서비스 흐름을 자연어로 풀어 요약하는 방식이다.
설계 단계에서는 개발자가 분석 단계에서 자연어로 요약된 내용에 문장이나 단어를 추가·수정하는 방식으로 손쉽게 시스템을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개발자들은 AI를 통해 손쉽게 '코드생성'과 '코드추천' '코드검사' 등을 활용해 코딩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개발한 코드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의 효율성도 높여준다. 개발자가 일일이 만들어야 했던 수십, 수백여개의 테스트 케이스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각각의 케이스에 맞는 가상 데이터를 활용해 오류 여부를 정밀하게 검증한다. 품질 진단 단계에서는 개발이 완료된 코드가 고객의 요청사항을 잘 반영하고 있는지 여부를 살피고 누락된 항목을 감지해 알려준다.
한현정 LG CNS 어플리케이션아키텍처담당(상무)은 "AI 코딩 플랫폼을 통해 고객 시스템의 개발 생산성을 혁신하고, 차별적 고객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