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는 아직 먼 단계로 우선은 부분·전문 영역 로봇 중심의 경제성이 입증돼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서울포럼 2025에서 나왔다.
2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 '초인간 혁명: 휴머노이드의 시대로' 세션에 나온 김병수 로보티즈 대표이사는 "휴머노이드가 한 번에 상용화 되는 것은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상체, 팔, 다리 로봇 등 특수 분야, 부분 로봇이 먼저 상용화 돼야 한다"고 전망했다.
휴머노이드 로봇은 인간형 로봇의 다른 말로 로봇 기술의 집약체로 평가받는다. 다만 생산비용이 크고 기술 장벽이 높아 시장성이 부족하단 평가를 받는다.
관련기사
이날 패널로 나온 한재권 에이로봇 최고기술책임자(CTO)도 "단계적으로 인건비 상승과 (휴머노이드 로봇) 비용 감소에 따라 기술도 진화될 것"이라며 "현재까지는 로봇 팔 하나가 두 개로 확장되는 협동로봇부터 바퀴가 달리면서 자율주행로봇이 되듯, 단계별로 발전해야 궁극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이 나올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로봇산업 성장은 우선 시장성이 중심이 될 수밖에 없다고 패널들은 평가했다. 김 대표는 "로봇에 투입하는 시간, 노력, 비용이 인건비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며 "현재는 산업용 로봇이나 전문 서비스 로봇 분야가 막 피어나는 단계"라고 했다.
한 CTO는 "다만 의료쪽 로봇은 수요가 너무 강력해서 ROI(투자수익률)이 충분히 나올 수 있어"라며 "(의료분야) 인건비 상승도 높아 의료분야 로봇은 시장성이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국방 분야 로봇과 같은 전문적인 영역부터 상용화를 생각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