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화 추세의 산불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법적·제도적 기반을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산림과학회는 11일 충남대에서 2025년 대형산불의 특성과 산불대응 개선 대책 등을 담은 초대형 산불 정책보고서를 발표했다.
학회는 산불예방부터 대비·대응 및 복원 전과정에 있어 범부처 통합 관리의 리더십과 법‧제도적 장치의 마련, 기관간의 정교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산불방지센터를 중심으로 강력한 부처간 협업체계를 구축해 나갈 것도 제언했다.
학회는 해외에서도 산림면적이 넓고 산불 위험이 높은 국가는 산불을 심각한 재난으로 인식하면서 산림 부처가 산불을 주관하고 소방 및 군과 같은 유관 기관과의 협의체를 구성해 유기적인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전문 인력 및 장비를 지속적으로 확충하고 고도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산림재난교육훈련센터’ 설립을 가속화해 인력과 장비를 확충하고 국가와 지자체의 진화자원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체계 마련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학회는 산림 관리 패러다임을 대전환하고 범부처 협력을 강화해야 하며 과학적 산불 위험도 평가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산림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산불에 강한 숲 구조로의 전환을 가속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산불 주관 기관인 산림청이 산림관리 및 산불에 대한 전문성을 더욱 고도화시키고, 소방 및 군 등이 각 기관의 전문성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현장에 정착해 나가야한다고 밝혔다.
이상현 산림과학회장은 “기후위기라는 현실 속에서 법적‧제도적 기반으로한 산림청의 주도적인 역할과 범부처 협력 강화의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 될 때 복합적 산불재난의 피해를 최소화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