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모스크바 공격을 명시적으로 제지하며 장거리 무기 지원에 부정적인 입장을 드러냈다.
15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펜실베이니아주 방문을 위해 백악관을 떠나기 전 기자들과 만나 “젤렌스키 대통령은 모스크바를 겨냥해서는 안 된다”고 단호하게 밝혔다. 또 우크라이나에 러시아 영토 깊숙한 곳까지 타격할 수 있는 무기를 제공할 의향인지에 대해서도 “우리는 그것을 할 생각이 없다”고 선을 그었다.
이 같은 발언은 전날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 재개 발표와 대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마르크 뤼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사무총장과의 회담에서 나토를 통한 우크라이나 공격용 무기 공급 계획을 공개했다. 동시에 러시아가 50일 내 전쟁 종식에 합의하지 않으면 러시아 교역국에 100% 2차 관세를 포함한 ‘혹독한’ 제재를 가하겠다고 압박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대통령의 이중적 접근법에 주목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지원을 통해 전장의 균형을 맞추되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을 과도하게 자극해 전쟁이 더 격화되는 상황은 피하겠다는 계산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앞서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달 4일 젤렌스키 대통령과의 전화 통화에서 “미국이 장거리 무기를 제공한다면 모스크바와 상트페테르부르크를 공격할 수 있는지를 직접 물었고 젤렌스키 대통령이 긍정적으로 답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우크라이나의 공격 역량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쟁 종식 ‘50일 시한’에 대해서는 “너무 길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그보다 더 조기에 (휴전 또는 종전) 합의가 이뤄질 수도 있다”고 기대감을 나타냈다. 그러면서 푸틴 대통령에게 매우 실망했다”며 “지난 3개월간 많은 전쟁을 해결했지만 이것은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고 아쉬움을 표하기도 했다.
'앞으로 50일이 지나도 우크라이나 전쟁을 중단하는 합의가 나오지 않을 경우 어떻게 되느냐'는 질문에는 “매우 나쁠 것”이라며 “(러시아를 제재하기 위한) 관세가 시작될 것이고 다른 제재들도 시작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이것은 바이든의 전쟁이지 트럼프의 전쟁이 아니다”라며 전임 행정부 책임론을 제기했다. 동시에 “나는 누구의 편도 아니다. 인류의 편에서 살육을 멈추길 원한다”고 중재자 역할을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달 말 스코틀랜드 방문 시 키어 스타머 영국 총리와 회담할 예정이라고도 발표했다. 이는 우크라이나 사태 해결을 위한 국제 공조 확대 차원으로 풀이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