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당국이 미국과의 무역 협상에서 농산물 추가 개방 가능성을 거론하자 농·축산업 단체들이 잇달아 우려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한국농축산연합회와 한국종합농업단체협의회·축산관련단체협의회·농민의길 등 농·축산업 단체들은 18일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어 “농업인의 양해와 동의 없이 농축산물 관세, 비관세장벽을 허문다면 절대 간과하지 않을 것”이라며 “대한민국 농업의 지속성 확보와 5000만 국민의 건강권 보장을 위해 투쟁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2012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발효 이후 우리나라의 미국산 농축산물 수입액이 56.6% 급증했다며 추가 개방이 이뤄진다면 국내 농업 생산 기반이 붕괴될 것이라고 성토했다.
이들은 이재명 대통령에게 “농·축산업이 한미 상호관세 협상의 희생양이 될 수 있다는 농촌 현장의 우려가 단순 기우였음을 확실히 보여달라”고 부탁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에게는 “그동안의 통상 협상에서 우리 농업인의 희생을 알고 있다면 이제 말이 아닌 행동으로 보여줘야 할 것”이라고 요구했다.
여한구 산업부 통상교섭본부장이 농축산물 개방 확대를 협상 카드로 염두에 두고 있음을 시사한 것에 대해서는 “생존권을 지키기 위한 농업인의 처절한 몸부림을 마치 통상 협상의 장애물인 양 여론몰이하는 통상 당국의 태도는 누구를 위한 것인지 묻고 싶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앞서 16일 한국농축산연합회도 미국의 통상 압력에 굴복하지 말고 식량 주권과 국민 건강권을 사수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한국후계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한농연)도 같은 날 용산 대통령실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단 한 번도 농업계 의견을 수렴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추가 개방을 논하는 것은 우리 농업인을 기만하는 행위로 사회적 갈등마저 부추기고 있다”며 “정부가 미국산 농축산물 추가 개방에 나서면 단체행동을 하겠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