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평균 가계 순자산이 3%가량 오르며 2억 5000만 원을 넘겼다. 집값 상승 및 미국 등 해외 증시 호조로 비금융·금융 자산이 모두 늘어난 영향이다. 다만 미국과 비교하면 우리 가계의 평균 자산이 3분의 1 수준에 불과해 지속적인 성장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24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1인당 가계 순자산은 2억 5251만 원으로 추정됐다. 2023년 말(2억 4450만 원) 대비 3.3% 증가했다. 증가 폭도 전년(1.7%)보다 확대됐다. 이 수치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 전체 순자산(1경 3068조 원)을 추계 인구(약 5175만 명)로 나눈 값이다.
한은은 “주택 가격이 오르며 비금융자산이 215조 원(2.2%) 늘었고 예금 증가 및 해외 주식시장 호조, 환율 상승으로 금융자산도 263조 원(5.1%) 늘었다”고 설명했다.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의 구성 비중을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주택 50.9% △주택 이외 부동산 23.7% △현금·예금 19.4% △보험·연금 12.1% 순이었다. 주택을 포함한 전체 부동산의 비중은 2023년 말 75.4%에서 지난해 말 74.6%로 떨어졌다.
시장환율(2024년·1달러당 1363원 기준)로 환산한 1인당 가계 순자산은 18만 5000달러다. 주요 선진국인 미국(52만 1000달러), 캐나다(29만 5000달러)보다는 낮은 수준이다.
모든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국민순자산, 이른바 국부(國富)는 2경 4105조 원으로 전년보다 5.3%(1217조 원) 증가했다. 증가율이 2023년(1.3%)보다 높아졌지만 명목 국내총생산(GDP·2557조 원) 대비 배율은 9.4배로 2023년 말(9.5배)보다 떨어졌다. 명목 GDP 증가율(6.2%)이 국민순자산 증가율을 웃돌았기 때문이다.
남민호 한은 국민B/S팀장은 “토지 가격 상승 전환 등으로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늘어났고 해외 주식시장 호조와 환율 상승 등으로 금융자산도 급증했다”며 “특히 지난해 전체 순금융자산 증가 폭은 582조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