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사흘째 구조 작업 중인 산청…오후엔 강한 소나기 예보

구조대원 150여 명·구조견 등 수색 중

주택 잔해에 유실된 토사로 작업 더뎌

서부 내륙지역 80㎜ 이상 예보로 우려

박완수 경남지사 특별재난지역 지정 요청

산사태로 발생한 토사가 밀려 내려와 피해가 발생한 산청군 산청읍 부리 내부마을 버스 승객 대기소. 박종완 기자




경남 산청군에서 극한호우로 실종된 4명을 찾는 수색 작업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다.

21일 경남도와 경남소방본부에 따르면 경남소방 등은 인력 315명과 장비 98대를 동원해 산청읍 모고리 등 4곳에서 실종자 수색을 이어가고 있다.

산청에서는 이날 오전 9시 기준으로 사망 10명, 실종 4명 등 인명 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실종자가 발생한 지역은 산청읍 모고리(70대), 단성면 방목리(60대), 신등면 율현리(80대), 신안면 외송리(80대) 등 모두 4곳이다.

경남소방본부 구조대 등은 오전 6시부터 다시 실종자 수색에 나섰다. 150여 명의 구조대원과 드론, 구조견, 열화상 카메라 등 장비를 총동원해 실종자 4명을 찾고 있다. 오전 11시 현재까지 추가 발견 소식은 없다. 무너진 주택 잔해와 산사태 등으로 휩쓸려 온 유실된 토사량이 많아 수색 진척이 더딘 상황이다. 집중호우가 걷히고 난 뒤 다시 찾아온 무더위도 앞으로 문제다.

아침엔 비교적 선선한 편이지만, 이날 낮 최고기온이 32도로 예보되는 등 더위와 싸움도 벌이고 있다. 며칠째 수색과 복구 작업을 이어가는 소방·경찰·주민들의 피로도가 오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산청에는 소나기도 예보된 상태다. 경남 지역 예상 강수량은 5~60㎜이지만 산청과 진주, 합천 등 서부 내륙 지역은 80㎜ 이상으로 예보됐다. 특히 비가 집중되는 곳은 시간당 30~50㎜의 소나기가 내릴 것으로 전망돼 주민들은 연약해진 지반 때문에 또 산사태가 날까 우려하고 있다.

산청군은 시천면의 강수량이 798㎜를 기록하는 등 평균 632㎜의 극한 호우가 집중돼 곳곳에서 산사태와 하천이 범람했다. 10명의 사망자 중 7명이 집중된 산청읍 지역에만 697.5㎜의 물폭탄이 떨어졌다. 특히 산사태가 난 19일 하루에만 300㎜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피해가 커졌다.



박완수 경남지사는 이날 실국본부장 회의에서 "유족들에게 애도와 위로를 전하며, 도가 가용할 수 있는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실종자 수색과 응급 복구에 총력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특히 "앞으로 태풍 등 언제 폭우가 쏟아질지 모르기 때문에 2차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산사태 발생 지역의 응급 복구뿐만 아니라 도민 불편이 없도록 도로 등 공공시설도 빠른 복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피에 나섰던 산청 517명, 합천 274명 등 7개 시군 929명은 귀가하지 못하고 있다.

농작물과 가축 피해도 계속 집계되고 있다. 이날 오전 7시 기준 농작물 피해 규모는 3964㏊다. 피해 작물은 주로 벼(3217㏊)이며, 고추·콩·딸기·깻잎 등 다양하다. 하우스 침수도 203㏊로 집계됐다. 산청군이 1222㏊로 가장 많다. 가축 피해도 8개 시군에서 닭과 오리가 집단 폐사하고 양봉 피해도 419군으로 조사됐다. 집계된 추정 피해액만 약 600억 원에 달한다.

한편 박 지사는 산청군 등 호우 피해가 큰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해달라고 요청한 상태다. 이재명 대통령 역시 폭우에 인명 피해가 잇따르면서 피해 지역에 대해 조속히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추진하라고 지시했다.

산사태가 발생한 경남 산청군 산청읍 부리 내부마을 축사에 남겨진 소. 박종완 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