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6·27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발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거래 가격과 크기가 재편됐다. 중위 거래가격은 대책 전과 비교해 약 1억 6000만 원 하락한 5억 원으로 집계됐고, 전용 면적도 대책 전보다 줄어든 75㎡로 나타났다. 대출 총액 6억 원 제한으로 인해 자금 조달 부담이 커지면서 거래 가능한 아파트의 조건이 바뀜에 따라 수요자들의 선택도 달라진 것으로 풀이된다.
21일 부동산 프롭테크 기업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정부의 6·27대책 발표 이후 거래된 아파트의 중위 가격과 전용 면적이 모두 감소했다. 지난달 10일부터 이달 15일까지 거래된 계약의 실거래가에 따르면 대책 이전 수도권 아파트의 중위 거래 가격은 6억 6000만 원 이었지만 대책 이후 5억 원으로 낮아졌다. 중위 전용 면적은 대책 이전 84㎡에서 대책 이후 75㎡로 작아졌다.
특히 서울 아파트의 중위 가격과 면적 크기 감소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대책 이전 서울 지역 아파트 중위 거래 가격은 10억 9000만 원 이었지만 대책 이후 8억 7000만 원으로 집계되며 한 달 새 약 2억 2000만 원 낮아졌다. 거래된 전용 면적도 84㎡에서 78㎡로 줄며 더 작은 면적 대의 아파트 거래가 늘어난 경향을 보였다.
고가 아파트가 밀집된 강남 지역도 대책으로 인한 변화가 크게 나타났다. 강남구는 아파트 중위 거래가격이 29억 원에서 26억 원으로 약 3억 원 낮아졌고, 서초구는 23억 7500만 원에서 19억 6500만 원, 송파구는16억 5000만 원에서 16억 2000만 원으로 낮아졌다.
당초 6·27 대책으로 서울 내 중저가 아파트 밀집지역으로 수요가 몰리며 풍선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지만 실제로는 대부분 지역에서 중위 가격이 낮아지며 관망세가 이어졌다. 노원구는 거래된 아파트의 중위 면적은 줄어들지 않고 59㎡로 유지된 반면, 중위 가격은 5억 9500만 원에서 5억1900만 원으로 낮아졌다. 금천구도 거래된 중위 면적은 60㎡로 같았지만 중위 가격은 5억 8250만 원에서 5억 4500만 원으로 조정됐다. 구로구는 거래면적이 78㎡에서 74㎡로 줄고, 중위가격도 7억 1900만 원에서 6억 5000만 원으로 하락했다,
김은선 직방 빅데이터랩실 랩장은 “지난달 대출 규제 대책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은 관망세로 접어들었고 중소형의 실현 가능한 가격대 중심의 거래가 늘었다”며 “다만 조정 흐름이 일시적일지 구조적 전환의 신호인지는 관찰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