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에스티(170900)는 인공지능(AI) 신약개발 기업 크리스탈파이(XtalPi)와 면역·염증질환 치료제를 공동 연구개발(R&D)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0일 밝혔다.
이번 협약에 따라 동아에스티는 크리스탈파이의 AI, 양자물리학, 자동화 로보틱스 기술이 융합된 지능형 자동 신약개발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규 타깃을 발굴하고 후보물질을 탐색하기로 했다. 크리스탈파이는 2015년 메사추세츠공대(MIT) 양자물리학 전문가들이 설립한 기업으로 생명과학, 신소재 분야에서 다수의 글로벌 기업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있다.
회사 측은 크리스탈파이의 플랫폼이 AI의 속도와 생성능력, 로봇 기반 자동화 실험의 정확성을 결합해 신약개발 속도를 높이고 탐색 가능한 화학적 공간을 획기적으로 늘릴 수 있다고 전했다. 우선 동아에스티는 크리스탈파이의 플랫폼을 통해 딥러닝 기반 분자 설계부터 약물표적 상호작용 예측을 위한 양자물리학·분자동역학 시뮬레이션, 자동화된 화학 합성에 이어 후보물질의 핵심 약리학적 특성 실험 검증 등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후보물질의 타당성 평가, 약효·안전성 검증, 전임상 및 임상 전략 수립 등 전체 R&D 과정에 참여할 뿐 아니라 향후 후보물질 확대와 상업화 가능성 검토도 함께 한다.
양사는 이미 미국 보스턴에 오픈이노베이션 센터를 운영하는 등 협력을 전개하고 있다. 존 왕 크리스탈파이 신약개발 수석부사장은 “다중 모달리티에 걸쳐 신속하게 신약 후보를 발굴·검증하고, 글로벌 환자들에게 혁신적 치료제를 제공해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박재홍 동아에스티 R&D 총괄 사장은 “동아에스티는 저분자 화합물 중심의 신약개발에서 표적단백질분해제(TPD), 바이오의약품, 항체약물접합체(ADC), 유전자 치료제 등으로 R&D 영역을 전환하고 있으며, 이번 협력이 전환을 가속하는 중요한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