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11월부터 계좌 기반에서 개인 기반으로의 시장감시 체계가 본격적으로 운영된다. 개인 기반 시장감시 체계가 구축되면 감시 대상과 분석 시간이 줄어들어 불공정거래 적발의 효율성을 지금보다 높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한국거래소는 최근 회원으로 가입된 증권사를 대상으로 개인 기반 시장 감시 체계 구축 관련 설명회를 진행했다. 거래소는 오는 11월 초 대다수의 대형·중소형 증권사들이 전산 작업을 마무리해 개인 기반 시장감시 시스템이 본격 운영될 것으로 보고 있다. 거래소 관계자는 “증권사들이 관련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시뮬레이션을 진행했다”면서 “거래소는 사건 심리 단계에서는 개인 정보를 볼 수 있지만 감시 단계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는데, 개인 기반 시장감시 체계가 구축되면 이같은 애로사항이 해소돼 (감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행 계좌 기반의 감시시스템은 계좌식별번호만 시장감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보니 감시 대상 범위가 넓어 분석 시간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아쉬움이 따랐다. 시장 감시 체계가 개인 기반으로 바뀌는 내용이 담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이 다음 달 2일까지 입법예고를 거쳐 10월 중 적용될 예정이라 전산 작업이 마무리 되면 본격적인 운영이 가능하다고 거래소측은 설명했다.
시장 감시 체계 변경을 놓고 일각에서 제기된 ‘개인정보 유출’ 우려도 잡음 없이 순조롭게 마무리됐다. 거래소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와 관련 사안을 논의하고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추가 조치를 마련했다. 거래소는 증권사와 거래소에서 각각 한번 씩 총 두 차례 개인정보 변환 작업을 거쳐 안전성이 높다는 입장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소 관계자는 “개인정보는 20개가 넘는 문자와 숫자로 변환됐기 때문에 외부에서 해킹을 당해도 어떤 사람인지 특정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