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벼랑 끝 청년 창업가]창업하느라 취업 타이밍 놓쳐 알바 전전..."결혼은 꿈도 못꿔요"

<상>저커버그 꿈꾸다 신불자 된 청년들

지원기간 1년 지나면 1억 이후 추가대출 쉽잖아 제품화 난항

30代 법인사업자 폐업 2015년 7,177명서 1년만에 40% 급증

청년창업센터 졸업기업 휴폐업률 45%...일반업체 더 심할 듯

지난해 7월 16일 용산 한국폴리텍대학 서울정수캠퍼스에서 열린 ‘제1회 벤처창업아이템 경진대회’에서 참가자들의 제품을 전시하고 있다. 사진은 스포츠용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그룹 스포츠를 즐기는 구성원들이 각자의 위치와 상태 정보 등을 공유할 수 있는 장비다. /연합뉴스








정부지원사업을 계기로 창업에 뛰어든 박모씨는 지난해 사업을 접었다. 박씨는 “또래 창업가들과 다르게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1억원의 창업 보증을 받아 부러움을 사기도 했지만 이제는 족쇄가 됐다”며 “결국 사업은 망하고 빚을 감당하지 못해 개인회생을 최근에 신청했는데 이것마저도 문턱이 높아 최종적으로 승인이 될지 모르겠다”고 하소연했다. 이어 “정부 부처는 물론이고 최근 기보·신보와 일반 금융권에서도 정부 기조에 맞춰 창업 대출을 늘린다고 들었다. 창업 지원 대책과 연대보증 등 문제는 별반 달라진 게 없는데 대출만 늘리면 결국 신용불량자만 양산하는 것 아니냐”고 덧붙였다.

서울경제신문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 등으로부터 창업 지원금을 받고 창업에 뛰어든 청년들을 추적 조사한 결과 상당수 청년들이 사업을 그만두고 신용불량자 신세에 빠진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은 정부와 국세청 등에서 발표하는 공식 폐업률보다 현실이 훨씬 심각하다고 입을 모았다.

실제로 지난해 작성된 서울산업진흥원 청장년 창업센터 졸업기업 추적조사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2011~2013년 지원받은 청년창업기업의 공식 휴폐업률은 약 40~45% 수준이었다. 청년창업센터 출신의 한 전직 창업가는 “청년창업센터 입주 기업은 이미 서울시 창업지원금을 받던 청년 중에서도 엄선된 경우”라며 “그동안 서울시 지원을 통해 사무실 무상 제공 등의 기회를 누렸던 예비 창업가들이 수천명인데 이 중 지금까지 사업을 하는 경우는 극소수”라고 말했다.

이처럼 정부와 지자체에서 엄격한 절차를 거쳐 선발한 창업 인재조차도 시장에 안착하는 비율이 낮은 만큼 실제 일반 청년 창업가들이 처한 현실은 이보다 훨씬 심각할 것이라는 게 대학가와 전문가들의 공통된 의견이다.

실제 창업을 시도했다 문을 닫는 청년들의 수는 증가하는 실정이다. 2017 국세청 통계에 따르면 2016년 폐업 신고한 20·30 개인 및 법인사업자는 23만9,806명으로 집계됐다. 2015년 폐업 신고자는 20만8,870명으로 약 15% 증가했다. 특히 청년 창업의 주축을 이루는 30대 법인사업자의 경우 폐업자가 2015년에는 7,177명이었지만 2016년에는 1만58명으로 1년 만에 약 40% 급증했다.



폐업 기업이 본격적으로 늘어나며 신용불량의 늪에 빠진 청년들 역시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는 지적이다. 중소기업진흥공단의 청년전용창업자금 대출현황이 단적인 예다. 2014년 약정해지 금액은 65억원이었지만 매년 꾸준히 증가추세를 유지하며 2017년에는 2배 이상 증가한 139억원을 기록했다. 올해는 더욱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2018년 5월 현재 약정해지 금액은 135억원으로 상반기도 채 지나지 않아 이미 지난해 수준에 이르렀다. 청년들의 창업 자금 통로가 중진공 외에도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 일반 금융권 등 다양한 만큼 실제 부채금액은 이보다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청년들이 이처럼 빚을 떠안게 되는 것은 창업지원금을 최대 1억원 받더라도 결국 제품 출시단계까지 나아가려면 추가 대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주요 정부지원사업 합격자는 별다른 매출이 없어도 기보와 신보 등에서 문턱을 대폭 낮춰준 탓에 어렵지 않게 1억~2억원의 대출은 받고 보는 관행이 자리 잡았다.

올해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됐다는 한 창업가는 “지원기간인 1년이 지나면 공공금융기관으로부터 추가 대출이 쉽지 않다는 생각에 대다수의 창업자들이 5,000만~1억원 안팎의 대출을 미리 받아놓았다”며 “막상 지원금과 대출 받은 돈은 다 써가는데 매출을 일으킬 방법은 마땅치 않아 속만 태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처럼 부채의 늪에 빠진 청년들이 갈수록 늘고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을 찾지 못해 이들은 발만 동동 구르는 실정이다.

정부로부터 1억원이 넘는 창업지원금을 지금까지 받았다는 최모씨는 “막상 법인 폐업 신고를 하면 들이닥치게 될 부채와 신용불량자라는 딱지 등을 감당할 자신이 없어 법인 이름만 걸어 놓고 편의점 알바나 개인 소일거리로 빚을 갚아나가는 동료 창업가들이 부지기수”라고 말했다.

대구에 거주하는 이모(33)씨는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전국적인 창업 붐에 편승해 부모님의 주택 담보 대출자금까지 빌려 자영업에 발을 내디딘 것이 화근이 됐다”며 “취업하기에는 이미 늦었고 1억원에 가까운 빚을 갚기 위해 배달업·주차대행서비스·대리운전 등 밤낮없이 일하지만 빚을 갚으려면 최소 4~5년은 걸릴 것 같아 결혼은 진작 포기한 지 오래”라고 하소연했다. /박진용기자 yongs@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