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튀르키예 강진' 벌써 사망자 1800명…피해 규모 예측 불가
국제 국제일반 2023.02.06 23:09:396일(현지시간) 튀르키예 남부를 강타한 강진으로 튀르키예와 인근 지역 시리아를 합쳐 사망자가 180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고 AFP, 로이터 등 외신이 보도했다. 또 튀르키예에서 강한 여진이 잇따르며 수색 작업에 난항을 겪는 가운데 피해 규모는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현재 튀르키예에서는 사망자가 1000명이 넘고, 시리아에서도 약 8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유나 세제르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장은 현재까지 튀르키예 10개 지역에서 2824개의 건물이 붕괴해 1014명이 사망하고 7000여 명이 부상을 당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사상자가 계속 늘고 있다. (피해 규모를) 예상하기 어렵다”며 “추운 날씨에다 야간에 발생한 지진으로 상황이 매우 어렵지만 모두가 힘을 모아 노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시리아에서도 사망자 수가 늘고 있다. 시리아와 반군 지역을 합하면 사망자가 최소 783명에 달한다고 AFP 통신이 전했다. 시리아 보건부는 현재까지 사망자를 403명, 부상자를 1284명으로 집계했다. 여기에 반군 측 민간 구조대인 '하얀 헬멧'은 반군 지역에서 최소 380명이 사망하고 1000명 이상이 다쳤다고 현지 상황을 알렸다. 게다가 이날에도 강한 여진이 잇따라 발생하면서 피해가 더욱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이날 최초 지진은 현지시간으로 이날 오전 4시 17분 튀르키예 동남부에서 발생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날 지진의 진앙은 튀르키예 남부 도시 가지안테프에서 약 33㎞ 떨어진 내륙 지역이다. 진원의 깊이는 17.9㎞로 분석됐다. 이후에도 80차례에 가까운 여진이 발생하고 있으며 규모 6이 넘는 강한 여진도 여러 차례 관측되고 있다. -
외교부 "튀르키예 강진 한국인 피해 아직 없다"
정치 통일·외교·안보 2023.02.06 20:57:23외교부가 “오후 2시까지 튀르키예 강진으로 인해 접수된 한국인 사상자는 없다”고 6일 밝혔다. 다만 구조작업이 한창 진행 중인 만큼 한국인 사상자가 파악될 가능성도 있다. 윤석열 대통령도 튀르키예와 이란 등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와 관련해 인도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라고 정부에 지시했다. 대통령실 대변인실은 이날 언론 공지에서 “윤 대통령은 이란과 튀르키예에서 연이어 발생한 재난에 대해 인도적 차원에서 적극적 지원 방안을 마련하도록 국가안보실과 외교부에 지시했다”고 말했다. 앞서 이날 새벽(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했다. 이번 강진이 발생한 튀르키예에서는 지금까지 912명이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시리아 정부군이 장악한 북서부 내륙지역인 알레포, 하마, 라타키아에서 250명. 지중해 쪽 이들립 지역에서 150명 등 시리아에서만 400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
[속보]'최소 900명 사망' 튀르키예 또 흔들…규모 7.5 여진
국제 국제일반 2023.02.06 20:47:066일(현지시간) 강진 피해를 본 튀르키예(터키)에서 규모 7.5의 여진이 또다시 발생했다.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에 따르면 지진은 이날 오후 1시 24분 튀르키예 카흐라만마라슈 북북동쪽 59㎞ 지점에서 발생했다. 진원의 깊이는 10㎞로 분석됐다. EMSC는 당초 이 여진의 규모를 7.7로 알렸다가 30여분 만에 규모 7.5로 낮췄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도 지진 규모를 7.5로 분석했으며, 한국 기상청도 해외 기관을 인용해 이 지진의 규모를 7.5로 알렸다. 다만 로이터 통신은 튀르키예 재난위기관리청(AFAD)을 인용해 이 지진의 규모가 7.6이라고 보도했다. 튀르키예 남동부와 시리아 북부에서는 앞서 이날 오전 4시 17분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해 지금까지 튀르키예에서만 최소 900여 명이 숨진 것으로 집계됐다. 시리아의 피해자까지 합치면 사망자 수는 최소 1300명 이상으로 추산된다. 규모 7.8 지진은 튀르키예에서 1939년 12월 이후 기록된 가장 강력한 지진이다. -
'강진' 튀르키예 중부서 여진 발생… "규모 7.5"
국제 정치·사회 2023.02.06 20:00:10튀르키예(옛 터키)에서 6일(현지 시간) 새벽 4시17분께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한 데 이어 강력한 여진이 발생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이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이스탄불의 칸딜리 천문관측소는 이날 오후 1시24분께 튀르키예 중부 카흐라만마라스 지역에서 규모 7.5의 지진을 관측했다. -
[사진] 튀르키예 7.8 역대급 강진…최소 1400 사망
국제 정치·사회 2023.02.06 18:03:556일(현지 시간) 규모 7.8(미 지질조사국 추산)의 지진이 강타한 튀르키예 남동부 도시 디야르바키르의 무너진 건물 잔해에서 소방대원들이 생존자 구조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이날 튀르키예 남부 가지안테프에서 약 33㎞ 거리의 내륙에서 발생한 ‘역대급’ 강진으로 튀르키예와 시리아 등에서 최소 1400명이 사망했고 진앙에서 약 1000㎞ 떨어진 이집트 수도 카이로에서도 진동이 느껴졌다. AP연합뉴스 -
새벽 4시에 덮친 84년 만의 '최악 강진'…1000㎞ 떨어진 카이로서도 진동
국제 정치·사회 2023.02.06 17:56:39튀르키예 남부의 가지안테프 인근 지역을 6일(현지 시간) 규모 7.8의 ‘역대급’ 강진이 강타했다. 이번 지진으로 튀르키예와 인접 시리아에서 최소 사망자 1400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날 새벽 4시 17분께 가지안테프에서 서쪽으로 약 30㎞ 떨어진 내륙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원까지의 깊이는 24.1㎞로 관측됐다. 이날 지진은 1939년 북동부 지역을 강타해 3만 명 이상의 사망자를 낸 튀르키예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과 동일한 규모로 튀르키예 역사상 최악의 지진으로 기록될 것으로 전망된다. 인근 국가인 레바논과 키프로스 등에서도 지진이 감지됐을 정도다. 멀게는 진앙에서 1000㎞ 떨어진 이집트 카이로에서도 진동이 느껴졌다고 외신들은 전했다. 또 유럽지중해지진센터(EMSC)는 첫 지진 이후 9시간여 만인 이날 오후 1시24분께 튀르키예 중부 카흐라만마라슈 지역에 규모 7.5의 강한 여진을 관측했다. 터키 정부는 첫 지진 이후 이날에만 70여 차례 여진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이번 지진으로 터키에서만 현재까지 총 900명 이상이 숨지고 5300여명이 부상 당했다고 밝혔다. 튀르키예 동남부와 국경을 맞댄 시리아 북서부 지역의 피해도 컸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시리아 당국이 파악한 사망자 숫자만 500명 이상이다. 다만 양국에서 인명 피해 파악과 생존자 구조가 계속되는 만큼 사상자 수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제기된다. 특히 진앙지 인근인 튀르키예 남동부에는 시리아 난민 수십만 명이 거주하고 있는 데다 10년 넘게 이어진 시리아 내전으로 건물 대부분이 취약하다는 점이 우려를 키우는 상황이다. 지진 피해가 유독 컸던 시리아 알레포·하마 지역에서 300㎞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건물이 무너지는 등 피해 범위 또한 넓다. 곳곳에서 부상자가 넘쳐나자 시리아 국영TV는 시민들에게 부상자를 병원으로 후송해줄 것을 요청했다. 국제사회는 이번 지진으로 막대한 피해를 입은 튀르키예와 시리아 등에 전폭적인 지원에 나섰다. 미국 백악관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연방정부에 지진 피해자를 돕기 위한 대응책을 모색할 것을 지시했다”고 밝혔으며, 유럽연합(EU)은 피해 지역에 긴급 구호팀을 급파했다. 최근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NATO) 가입을 놓고 튀르키예와 갈등을 빚은 스웨덴과 핀란드도 신속한 지원 의사를 표명했다. 지각판이 교차하는 단층대에 위치한 튀르키예는 세계에서도 손꼽히는 지진 다발 지역이다. 1999년 서북부 도시 뒤즈제에서 규모 7.4의 강진으로 1만 7000여 명이 목숨을 잃었고 이듬해에도 1월과 10월 연이어 7.0 안팎의 지진이 일어나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했다. -
[속보] 튀르키예서 규모 7.8 강진 발생
국제 국제일반 2023.02.06 11:08:436일(현지시간) 튀르키예에서 규모 7.8의 강진이 발생했다고 신화통신이 보도했다. 미국 지질조사국(USGS)에 따르면 이날 그리니치 표준시(GMT) 기준 새벽 1시 17분께 누르다으에서 동쪽으로 23㎞ 떨어진 곳에서 규모 7.8의 지진이 발생했다. 진앙은 북위 37.20도, 동경 36.99도다. 지진 발생 깊이는 24.08㎞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