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유플, '1000억 깜짝 자사주 소각'…장중 52주 신고가[이런국장 저런주식]
증권 국내증시 2025.07.22 16:48:50LG유플러스(032640)가 22일 1000억 원 규모의 자사주를 소각한다는 소식에 장중 52주 신고가를 기록했다. LG유플러스 주주들은 시세차익에 더해 주당 250원의 중간 배당금도 받게 됐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LG유플러스는 전장 대비 1.34% 오른 1만 5120원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1만 5320원까지 올라 52주 신고가를 경신했다. 다만 이후 차익 실현 매물이 출회되며 오름폭은 줄어들었다. 전날 장 마감 후 LG유플러스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다음 달 5일 약 1000억 원 어치의 자사주를 소각한다고 공시했다. 2021년 매입한 자사주 678만 3006주를 전량으로, 이는 전체 발행 주식 수 대비 1.55% 수준이다. LG유플러스는 또 800억 원 가량의 자사주를 추가 매입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올해 주 당 250원의 중간 배당금을 지급한다. 증권가에서는 2분기 호실적과 주주환원 기대감에 장기적으로 LG유플러스의 주가 상승 추세가 이어질 것이라면서도, 최근 주가 오름폭이 컸던 만큼 상승 폭은 당분간 제한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이날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LG유플러스에 대해 "2분기 '깜짝 실적'이 기대되는 가운데 이익 전망치 상향 조정 및 주주 이익 환원 규모 급증에도 주가가 8∼9월 탄력적인 상승세를 기록하긴 쉽지 않아 보인다"며 "이미 주가가 이를 선반영한 상태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
기업공시[7월 22일]
증권 국내증시 2025.07.22 16:17:26<코스피 시장> ▲HD현대건설기계(267270)=공정거래위원회가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와의 기업결합신고 승인 ▲콜마홀딩스(024720)='윤동한 콜마회장, 검사인 선임 신청' 기사 관련 청구 내용 미송달 해명 공시 ▲아센디오(012170)=블록체인 관련 사업 목적 삭제 ▲삼성생명(032830)=삼성에스알에이자산운용과 187억 원 상당의 수익 증권 거래 ▲농심홀딩스(072710)=세우 인수 검토 중이나 현재까지 확정된 사항 없음 <코스닥 시장> ▲디에이피(066900)=종속회사 에어로케이홀딩스에 운영자금 90억 원 대여 ▲매커스(093520)=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기취득 자기주식 600만 주 순차 소각 ▲솔디펜스(215090)=주가 안정화 및 기업 가치 제고를 위해 1주당 500원으로 주식 병합 -
[코스피] 40.87포인트(1.27%) 내린 3169.94 마감
증권 News봇 2025.07.22 15:36:30[코스피] 40.87포인트(1.27%) 내린 3169.94 마감 -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 코스피 3169.94(▼40.87, -1.27%) 하락 마감
증권 News봇 2025.07.22 15:34:10오전 하락 출발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전 거래일(3210.81)보다 40.87p(-1.27%) 내린 3169.94로 하락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1,610억과 4,139억을 각각 순매도 해 하락장을 주도했으며,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한 개인은 5,114억을 순매수 했다.업종별로는 기계업(-4.84%), 건설업(-3.01%), 전기전자업(-2.00%) 등 대부분의 업종이 하락 마감했고, 통신업(+1.12%)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였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2.65% 내린 6만 6000원에 장을 마감한 가운데, 태영건설(009410)(-15.83%), 인스코비(006490)(-9.33%), 두산에너빌리티(034020)(-8.48%) 도 내림세를 보였다. 반면 KR모터스(000040)(+29.89%), 비에이치(090460)(+19.34%), 부국증권(001270)(+18.84%) 등은 상승 마감했다.금일 하락종목은 687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10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38:62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IT 서비스업(1.64%↓)
증권 News봇 2025.07.22 15:20:2522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0.07p(-1.25%) 하락한 3170.74로, 38(매도):62(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4.34%), 건설업(-3.11%), 철강금속업(-1.94%)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1.16%), 섬유의복업(+0.08%), 의약품업(+0.0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IT 서비스업이 18:82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증권업은 70:3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5,244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60억, 기관은 4,80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KR모터스(000040)가 27.87% 오른 569원을 기록 중이고, 부국증권(001270)(+20.07%), 비에이치(090460)(+18.40%)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태영건설(009410)(-16.91%), 인스코비(006490)(-9.41%), 두산에너빌리티(034020)(-7.6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88개, 상승종목은 20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달러 약세는 ‘비(非)달러 자산' 랠리 신호탄…코스피, 장기 상승 진입할 것”
증권 국내증시 2025.07.22 14:53:42올해 달러화 약세 기조가 이어지면서 코스피 지수도 장기 상승 국면으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22일 서울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지금 국내 증시가 바닥에서 올라오면서 큰 장이 됐지만 이를 기업 기초체력(펀더멘털)으로 설명할 수는 없다"며 "달러 약세에 따른 비달러 자산 선호가 증시 반등의 핵심 동인"이라고 밝혔다. 김 센터장은 코스피 지수와 원·달러 환율이 반대로 움직인다는 점에 주목했다. 올 4월 9일 코스피 지수는 연저점(2284포인트)을 기록했고 같은 날 원·달러 환율은 연고점(1487원)을 기록했다. 이날 이후 달러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코스피는 반등했다. 지난달 말까지 원·달러 환율은 1300원 중반대까지 내려갔다가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최근 2주 만에 40원가량 올랐다. 이에 코스피도 이달 들어 상승 폭을 줄이기도 했다. 김 센터장은 약달러 기조의 배경으로 우선 미국의 감세 정책과 재정적자를 꼽았다. 그는 역사적으로 미국 공화당이 정권을 잡으면 재정지출 감축과 감세를 동시에 추진한 점을 들어 재정건전성이 개선된 적이 없었음을 지적했다. 그러면서 "미국 정부에 대한 크레딧이 떨어진다면 금리가 올라가도 달러화의 가치가 약해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다른 요인으로는 스티브 미란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 위원장이 지난해 11월에 작성한 보고서를 언급했다. 김 센터장은 '미란 보고서'의 핵심을 환율 조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센터장은 “미국이 타국과의 무역에서 적자를 보고 있기 때문에 달러 가치를 인위적으로 낮춰야 한다는 게 (보고서의) 골자”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스스로 달러 약세를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사례로 올 5월 미국과 대만의 무역 협상을 언급했다. 협상 이후 대만달러의 가치가 치솟았고 증시에는 외국인 자금이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했다. 김 센터장은 "달러 약세와 신흥국에서의 외국인 순매수 반전은 비슷하게 나타난다"며 "2022~2023년 외국인이 국내 주식을 16조 원가량 순매수했던 것도 환율 변동에 따른 결과"라고 말했다. 달러 약세가 장기화하면 비달러 자산 기반 국가의 증시 매력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김 센터장은 신정부가 외친 '코스피 5000 시대'를 두고 "황당한 목표치는 아니다"라고 짚었다. 그는 "과거 강세장을 봤을 땐 지수가 1년에 20% 오를 때도 있었다"며 "이 대통령의 재임 기간인 5년 동안 코스피가 연 10.7%가량 오르면 불가능한 수치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주가는 대외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얽혀있기 때문에 투자에 신중함을 기할 것을 제언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35:6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0.55%↓)
증권 News봇 2025.07.22 14:30:1522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51.82p(-1.61%) 하락한 3158.99로, 35(매도):6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4.94%), 건설업(-3.41%), 철강금속업(-2.43%)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1.0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58:42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5,01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624억, 기관은 3,948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20.49% 오른 16,760원을 기록 중이고, YG PLUS(037270)(+16.52%), KR모터스(000040)(+15.5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태영건설(009410)(-17.27%), 두산에너빌리티(034020)(-8.04%), KCTC(009070)(-7.81%)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749개, 상승종목은 15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 2% 가까이 하락…“쉬어가는 분위기 길어질 수도”
증권 국내증시 2025.07.22 14:09:26장 초반 연고점을 경신하던 코스피가 22일 단기 급등 부담감에 2%대 가까이 하락했다. 증권가에서는 당분간 시장에서 ‘쉬어가는 분위기’가 이어지며 개별 종목 실적에 따라 분위기가 갈릴 수 있다고 보는 모양새다. 이날 오후 1시 51분 기준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50.13포인트(1.56%) 떨어진 3160.68에 거래되고 있다. 지수는 전장보다 0.69포인트(0.02%) 내린 3210.12로 출발했으나 바로 상승 전환한 뒤 오름폭을 키워나가 한때 3220.27을 찍으며 지난 11일 종전 연고점(3216.69)을 넘어섰다. 하지만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의 ‘팔자’가 이어지면서 추가 상승을 하지 못하고 3200선 아래로 내려갔다.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가 단기 급등 부담감에 순매도 행보를 보이는 것이 하방 압력으로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리서치센터장은 “그간 많이 오른 만큼 조정을 받는 것으로 봐야 한다”며 “어닝 시즌이 본격화되면 향후 가이던스가 부담이 될 수 있는 상황”이라고 했다. 또 “향후 주도주에 대한 예측이 어려워서 증시의 쉬어감이 다소 길어질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시장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매크로 이슈는 없다”며 “전반적으로 좀 시장에서 쉬어가는 분위기가 연장되고 있는 것으로 봐야 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약간 과열도 있고 급등한 종목도 있기 때문에 향후 실적 발표에 따라 종목들이 가려질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2842억 원, 4165억 원 순매도하고 있다. 개인은 6904억 원 순매수 중이다. 전날 뉴욕증시는 빅테크(대형 기술기업)의 2분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낙관론이 부상하면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지수가 사상 최고치로 마감했다. 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8.81포인트(0.14%) 오른 6305.6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78.51포인트(0.38%) 오른 2만 974.17에 각각 거래를 마쳤다. 안정된 원·달러 환율과 나스닥 최고치 경신이 국내 증시에도 호재로 작용했지만, 연고점 경신 후 차익실현 매물이 출회되면서 상승 폭을 상쇄했다. 유진증권 허재환 연구원은 “올해 코스피 영업이익을 현재 컨센서스(기대치)에서 10% 하향 조정한다고 가정할 때 적정 코스피는 3140포인트 수준”이라면서 “과거 상승장에서 지수가 적정 수준을 상회했던 점을 고려하면 코스피 고점은 3500포인트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허 연구원은 “코스피는 과하게 높은 수준이 아니라고 판단하며 빠르게 오른 증시가 부담이라면 팔거나 비중을 줄이기보다 순환매 대응하는 것을 추천한다”고 말했다.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는 모두 약세를 보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외국인 매수에 힘입어 장 초반 상승했으나 현재는 2.73% 떨어진 6만 5950원에 거래 중이다. 전날 반짝 상승했던 SK하이닉스도 1.65% 내린 26만 8000원으로 약세다. 같은 시각 코스닥 지수는 전장보다 11.03포인트(1.34%) 내린 810.66다. 지수는 나흘 째 오르다가 상승세가 꺾였다. 코스닥 시장에서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824억 원, 1080억 원 순매도하고 있는 반면에 개인은 1965억 원 순매수 중이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35:65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40%↓)
증권 News봇 2025.07.22 14:00:1622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45.85p(-1.43%) 하락한 3164.96로, 35(매도):65(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4.59%), 건설업(-3.37%), 철강금속업(-2.41%)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0.9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17:8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동산업은 52:48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78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701억, 기관은 3,60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비에이치(090460)가 21.35% 오른 16,880원을 기록 중이고, YG PLUS(037270)(+16.52%), KR모터스(000040)(+12.8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태영건설(009410)(-17.27%), KCTC(009070)(-7.81%), 두산에너빌리티(034020)(-7.7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751개, 상승종목은 15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33:6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1.04%↓)
증권 News봇 2025.07.22 13:00:1222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1.13p(-0.97%) 하락한 3179.68로, 33(매도):6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기계업(-3.42%), 건설업(-2.60%), 철강금속업(-1.91%)이며, 강세업종은 통신업(+0.98%), 전기가스업(+0.79%), 섬유의복업(+0.0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1:79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부동산업은 49:5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5,02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985억, 기관은 3,44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YG PLUS(037270)가 19.05% 오른 10,810원을 기록 중이고, 비에이치(090460)(+18.91%), 율촌화학(008730)(+13.69%)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태영건설(009410)(-17.09%), KCTC(009070)(-7.67%), 동방(004140)(-6.5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87개, 상승종목은 20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192.80, 하락세(▼18.01, -0.56%) 지속
증권 News봇 2025.07.22 12:00:25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로 장 중반에도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다.22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8.01p(-0.56%) 내린 3192.80로, 36(매도):6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4,441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967억, 기관은 2,83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기계업(-2.64%), 건설업(-1.95%), 철강금속업(-1.41%)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1.25%), 통신업(+0.78%), 화학업(+0.67%)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종목별로는 삼성전자가 1.11% 내린 6만 7050원에 거래되는 가운데, 태영건설(009410)(-16.55%), KCTC(009070)(-6.82%), 동방(004140)(-6.82%)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비에이치(090460)(+21.57%), YG PLUS(037270)(+20.37%), KR모터스(000040)(+18.20%)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626개, 상승종목은 277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1년 만에 4배 급등한 '이 종목'…두산에너빌 1위[주식 초고수는 지금]
증권 국내증시 2025.07.22 11:42:01미래에셋증권에서 거래하는 고수익 투자자들이 22일 오전 가장 많이 순매수한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034020)였다. 또 LG씨엔에스(064400)와 알테오젠(196170) 순으로 순매수가 이어졌다. 이날 미래에셋증권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 주식 거래 고객 중 최근 1개월 간 투자수익률 상위 1%에 해당하는 ‘주식 초고수’들이 오전 11시까지 가장 많이 사들인 종목은 두산에너빌리티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이날 오전 11시 25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4.97% 떨어진 6만5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초고수들은 전날에 이어 이틀 연속 두산에너빌리티를 제일 많이 순매수하고 있는 상황이다. 두산에너빌리티는 원자력발전소 해체 관련주로 꼽히며 최근 주가가 급등하고 있다. 약 1년 전인 지난해 8월 5일까지만 해도 1만5000원대였지만, 최근 들어 해외에서 연이어 수주 소식을 전한 데다가 김정관 마케팅 총괄 사장이 이재명 정부의 첫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으로 임명되면서 호재가 이어졌다. 초고수들은 이날 두산에너빌리티 하락을 '줍줍' 기회로 보고 순매수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2위는 LG씨엔에스다. LG씨엔에스는 IT시스템을 구축 및 운영하는 LG그룹의 시스템 통합 업체다. 디지털 화폐와 원화 스테이블 코인 사업 등을 관리 하기 위해서는 IT인프라가 필요하기 때문에 매수세가 쏠린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스테이블코인주'로 묶인 셈이다. 3위는 알테오젠이다. 알테오젠은 최근 주가 48만 원 대를 기록하며 50만 원을 눈 앞에 두고 있다. 알테오젠은 올해 들어서만 주가가 약 57% 상승했다. 알테오젠은 올해 3월 2조 원 규모의 기술 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히알루로니다제 엔자임(ALT-B4)으로만 누적 9조원의 기술 수출을 달성하면서 주가가 연일 우상향하고 있다. 코스피 이전 상장 가능성도 거론되며 호재다. 신한투자증권은 알테오젠의 목표주가를 73만 원으로 제시했고 하나증권도 최근 알테오젠의 적정주가를 44만 원에서 55만 원으로 높여 잡았다. 이날 순매도 1위는 SK하이닉스(000660)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한국전력(015760)과 HD현대일렉트릭(267260) 등 순이었다. 전거래일 순매수는 두산에너빌리티와 SK하이닉스, 한화엔진(082740) 순으로 나타났다. 순매도 상위는 삼성중공업(010140)과 POSCO홀딩스(005490), 실리콘투(257720) 등이었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사 고객 중에서 지난 1개월간 수익률 상위 1% 투자자들의 매매 종목을 집계해 실시간·전일·최근 5일 기준으로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상에서 공개하고 있다. 이 통계 데이터는 미래에셋증권의 의견과 무관한 단순 정보 안내이며 각각의 투자자 개인에게 맞는 투자 또는 수익 달성을 보장하지 않는다. 또 테마주 관련종목은 이상 급등락 가능성이 있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
오늘의 메모[7월 23일]
증권 종목·투자전략 2025.07.22 10:45:17<코스피> ▲공모주청약=대한조선(주관사 KB) ▲보통주추가상장=제이에스코퍼레이션(194370)(국내CB) <코스닥> ▲신주배정기준일=형지글로벌(308100)(무상) ▲구주주유상청약=스코넥(276040) ▲신규상장=도우인시스(484120) -
오전 10:30 현재 코스피는 37:6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의료정밀업(0.64%↓)
증권 News봇 2025.07.22 10:30:0822일 오전 10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07p(-0.44%) 하락한 3196.74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92%), 기계업(-2.44%), IT 서비스업(-1.55%)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1.20%), 통신업(+0.73%), 화학업(+0.71%)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료정밀업이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49:5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3,482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744억, 기관은 1,91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YG PLUS(037270)가 19.05% 오른 10,810원을 기록 중이고, 비에이치(090460)(+16.32%), 율촌화학(008730)(+13.3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태영건설(009410)(-15.11%), KCTC(009070)(-7.10%), 한화갤러리아우(45226K)(-5.9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93개, 상승종목은 28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IT 서비스업(1.15%↓)
증권 News봇 2025.07.22 10:00:1122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17p(-0.19%) 하락한 3204.64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건설업(-2.46%), 기계업(-1.64%), IT 서비스업(-1.15%)이며, 강세업종은 전기가스업(+1.98%), 통신업(+1.32%), 화학업(+0.95%)이다. 수급측면으로는 IT 서비스업이 27:7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가스업은 65:35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858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353억, 기관은 1,682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YG PLUS(037270)가 16.52% 오른 10,580원을 기록 중이고, 미래산업(025560)(+11.30%), 율촌화학(008730)(+11.2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태영건설(009410)(-9.17%), KCTC(009070)(-6.53%), 현대건설(000720)(-5.6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494개, 상승종목은 36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