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4.02%↑)
증권 News봇 2025.07.17 15:20:2517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2.41p(+0.08%) 상승한 3188.79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4.02%), 운수장비업(+1.94%), 보험업(+1.71%)이며, 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0.90%), 종이목재업(-0.82%), 기계업(-0.7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68:3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IT 서비스업은 29:71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기관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기관은 1,419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2,404억, 외국인은 17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약품(004310)(+25.78%), 유한양행(000100)(+20.5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6.01%), 카카오페이(377300)(-14.41%), 부국증권(001270)(-10.4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75개, 하락종목은 48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30 현재 코스피는 42:58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4.28%↑)
증권 News봇 2025.07.17 14:30:1817일 오후 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98p(+0.12%) 상승한 3190.36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4.28%), 운수장비업(+2.29%), 보험업(+1.90%)이며, 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0.95%), 종이목재업(-0.81%), IT 서비스업(-0.7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57:43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기관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기관은 656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1,166억, 외국인은 53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약품(004310)(+26.50%), 유한양행(000100)(+16.8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5.30%), 카카오페이(377300)(-12.93%), 부국증권(001270)(-9.12%)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28개, 하락종목은 549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2: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의약품업(4.25%↑)
증권 News봇 2025.07.17 14:00:1717일 오후 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11p(+0.03%) 상승한 3187.49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의약품업(+4.25%), 운수장비업(+2.21%), 보험업(+1.35%)이며, 약세업종은 증권업(-0.95%), IT 서비스업(-0.92%), 금융업(-0.8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의약품업이 58:4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타업은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기관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기관은 405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744억, 외국인은 637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약품(004310)(+20.51%), 유한양행(000100)(+16.24%)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5.07%), 카카오페이(377300)(-12.33%), 부국증권(001270)(-10.15%)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21개, 하락종목은 54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30 현재 코스피는 43:57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0.48%↓)
증권 News봇 2025.07.17 13:30:1317일 오후 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3.68p(-0.12%) 하락한 3182.70로, 43(매도):57(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1.21%), 증권업(-1.07%), 유통업(-1.05%)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3.84%), 운수장비업(+2.34%), 보험업(+1.1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전기전자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06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389억, 기관은 70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약품(004310)(+20.09%), 일동제약(249420)(+14.9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3.64%), 카카오페이(377300)(-11.74%), 부국증권(001270)(-9.2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62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1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00 현재 코스피는 44:56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0.40%↓)
증권 News봇 2025.07.17 13:00:1417일 오후 1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63p(-0.02%) 하락한 3185.75로,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1.07%), 금융업(-0.63%), 종이목재업(-0.58%)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3.34%), 운수장비업(+2.01%), 보험업(+1.4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7:73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운수장비업은 60:40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843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392억, 기관은 1,27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약품(004310)(+22.56%), 유한양행(000100)(+14.20%)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3.52%), 카카오페이(377300)(-11.00%), SK스퀘어(402340)(-8.18%)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47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22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30 현재 코스피는 41:59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0.56%↓)
증권 News봇 2025.07.17 12:30:1217일 오후 12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74p(-0.24%) 하락한 3178.64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1.27%), 금융업(-0.88%), 전기가스업(-0.74%)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2.66%), 운수장비업(+1.90%), 보험업(+1.3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보험업은 57:43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659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784억, 기관은 1,636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현대약품(004310)(+19.94%), 선진(136490)(+14.76%)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4.95%), 카카오페이(377300)(-11.00%), SK스퀘어(402340)(-8.3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98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91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정오 시황] 코스피 3179.59, 하락세(▼6.79, -0.21%) 반전
증권 News봇 2025.07.17 12:00:25상승 출발했던 코스피이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에 장 중반 들어 약세 전환했다.17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6.79p(-0.21%) 내린 3179.59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72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821억, 기관은 1,59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업(-1.26%), 금융업(-0.84%), 전기가스업(-0.73%) 등 대부분의 업종이 내림세를 보이고 있으며, 의약품업(+2.70%), 운수장비업(+1.80%), 보험업(+1.03%) 등 일부 업종만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시가총액 상위 20개 종목 중 7개 종목이 내림세로 출발한 가운데, 티와이홀딩스우(36328K)(-13.88%), 카카오페이(377300)(-11.00%), SK스퀘어(402340)(-8.16%)도 내림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흥국화재우(000545)(+29.91%), 일동제약(249420)(+15.67%), 현대약품(004310)(+15.24%) 등은 상승 출발했다.현재 하락종목은 583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9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후 12:00 현재 코스피는 40:60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비금속광물업(0.50%↓)
증권 News봇 2025.07.17 12:00:1417일 오후 12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8.36p(-0.26%) 하락한 3178.02로, 40(매도):60(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1.36%), 금융업(-0.86%), 전기가스업(-0.83%)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2.72%), 운수장비업(+1.81%), 보험업(+1.02%)이다. 수급측면으로는 비금속광물업이 25:75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72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821억, 기관은 1,593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제약(249420)(+15.67%), 선진(136490)(+14.83%)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3.88%), 카카오페이(377300)(-11.00%), SK스퀘어(402340)(-8.1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585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00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1:30 현재 코스피는 39:61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섬유의복업(0.28%↓)
증권 News봇 2025.07.17 11:30:1117일 오전 11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7.27p(-0.23%) 하락한 3179.11로, 39(매도):61(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1.14%), 금융업(-0.94%), 전기가스업(-0.87%)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2.35%), 운수장비업(+1.66%), 보험업(+1.38%)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섬유의복업이 20:80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의약품업은 59:41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05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129억, 기관은 1,52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제약(249420)(+15.17%), 선진(136490)(+14.37%)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티와이홀딩스우(36328K)(-13.88%), 카카오페이(377300)(-10.55%), SK하이닉스(000660)(-7.94%)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21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268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한투운용, 시장 지수형·금현물 포함 자사 ETF 5종 총보수 인하…S&P500은 업계 최저
증권 국내증시 2025.07.17 11:29:03한국투자신탁운용이 상장지수펀드(ETF) 보수 정책에 대한 근본적인 방향 전환을 위해 일부 상품에 대한 보수 체계를 재정비했다. 보수 경쟁을 넘어 투자자의 장기적인 자산 증식을 보장하는 ‘투자 기본권’ 관점에서 인하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17일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국내 코스피200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ACE 200’과 ‘ACE 200TR’ ETF의 총보수를 기존 0.09%와 0.03%에서 국내 최저 수준인 0.017%와 0.01%로 인하했다. 미국 대표 지수를 기반으로 하는 해외 주식형 ETF의 총보수도 전격적으로 인하했다.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500 지수를 추종하는 ‘ACE 미국S&P500’ ETF의 총보수는 기존 0.07%에서 업계 최저 수준인 0.0047%로 하향 조정했다. 아울러 ‘ACE 미국나스닥100’ ETF의 총보수도 기존 0.07%에서 0.0062%로 내려 잡았다. 최근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새 상품 출시로 경쟁 관계에 놓인 ‘ACE KRX금현물’ ETF의 총보수도 기존 0.50%에서 0.19%로 조정했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그동안 보수 인하가 장기적으로 상품의 질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우려해 보수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취해왔다. 그러나 ETF의 장기간 품질 유지와 안정적인 운용에 대한 검증을 바탕으로 투자자에게 더 많은 혜택을 제공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최근 인하를 단행했다. 이상원 한국투자신탁운용 상품전략본부장은 “이번 보수 인하는 회사 이익 추구보다는 전적으로 투자자 편익을 높이기 위한 결정”이라며 “보수 정책 개편을 통해 국내 ETF 시장에 새로운 투자 기준을 정립하기 위함”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번 결정은 당사가 추구하는 투자자 중심 철학을 실천하기 위해 시행됐다”며 “향후에도 투자자의 장기 자산 증식에 실질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향을 고민해 ETF 운용 철학을 이어가겠다”고 덧붙였다. -
서유석 금투협회장 "코스피 5000, 지금이 골든타임…금소원은 부담"
증권 정책 2025.07.17 10:13:45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이 “지금이야 말로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코리아 프리미엄의 시대로 나아갈 수 있는 중대한 골든타임이라고 생각한다”고 16일 밝혔다. 서 회장은 이날 서울 여의도에서 열린 금융투자협회 기자단 하계 간담회에서 “새 정부가 부동산 중심의 자산 축적 구조에서 벗어나 모험자본이 주식시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정책 방향을 제시한 것은 매우 고무적인 변화”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어 “코스피 5000은 단순한 지수의 상승이 아니라 우리 자본시장과 실물경제가 질적으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도록 사회 구조적 틀도 함께 변화해야 도달할 수 있는 목표”라며 “코스피 5000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국민적 담론으로 이끌어낸 데에 협회의 노력도 일정 부분 역할을 해왔다”고 덧붙였다. 그간 성과로는 △종합금융투자사업자의 IMA(종합금융투자계좌) 지정요건 구체화 △디딤펀드 출시 △성과 연동형 공모펀드 도입 등을 언급했다. 특히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 방안’에 대해서는 “모험자본 공급은 은행에서 하기가 어렵다”며 “종합금융투자사업자 제도가 도입되고 난 이후 또 한 번의 획을 긋는 아주 중요한 사건”이라고 강조했다. 다만 중소형 증권사에 대한 규제 완화 필요성도 제기했다. 서 회장은 “자금 조달 여건이 열악한 중소형 증권사에 현행 NCR(영업용순자본비율) 규제를 대형사와 똑같이 적용하는 것은 과도하다”며 “중소형 증권사들은 리테일 부문에서도 수익을 내지 못하고 있고 상황은 점점 나빠지고 있다”고 말했다. NCR은 증권사의 경영 건전성을 판단하는 대표적인 지표로, 일정 수준 이상을 유지하지 못할 경우 업무 범위 제한 등 제재를 받는다. 서 회장은 “대형사는 투자에 실패해도 자금 여력이 있어 다시 도전할 수 있지만, 중소형사는 실패하면 회사 전체가 휘청인다”며 “중소형사에는 NCR 규제를 보다 유연하게, 규모와 업무 범위를 감안해 적용할 것을 건의드린다”고 강조했다. 새 정부 들어 논의되고 있는 금융감독체계 개편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입장을 밝혔다. 서 회장은 “금융감독원과 독립된 조직인 금융소비자보호원이 생기면 금융투자업계 입장에서는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라며 “금융투자업은 혁신적인 사업에 적극적인데 주저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 생긴다”고 했다. 배당소득 분리과세와 관련한 의견도 내놨다. 서 회장은 “배당소득 분리과세가 이뤄지면 대주주들이 배당을 더 많이 할 것”이라며 “과거 49.5%였던 세금이 확 줄어들면서 배당 규모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대주주뿐만 아니라 일반 투자자들도 더 많은 배당금을 받을 수 있고, 배당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주가가 상승한다는 설명이다. 또한 “주가 상승으로 국민연금 등 공제기금의 국내 주식 투자 성과가 개선되는 효과도 있을 것”이라며 “이로 인한 소비 증가는 법인세, 부가가치세 세수 증가로도 이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서 회장은 올해 말 임기가 만료된다. 연임 여부를 묻는 질문에는 “말할 때가 아니다”며 “지금은 ‘코스피 5000’을 갈 수 있는 과제들을 빨리 구체화시키고 성문화시키는게 더 중요하다”며 말을 아꼈다. -
오전 9:30 현재 코스피는 37:63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철강금속업(0.26%↑)
증권 News봇 2025.07.17 09:30:0717일 오전 9시 3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94p(-0.47%) 하락한 3171.44로, 37(매도):6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전기전자업(-1.33%), 비금속광물업(-1.17%), 의료정밀업(-1.01%)이며, 강세업종은 의약품업(+1.97%), 보험업(+0.96%), 서비스업(+0.3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철강금속업이 22:78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통신업은 58:42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2,817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1,828억, 기관은 1,171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29.91% 오른 10,510원을 기록 중이고, 일동제약(249420)(+15.67%), 일동홀딩스(000230)(+8.48%)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SK스퀘어(402340)(-7.70%), 티와이홀딩스우(36328K)(-6.64%), 카카오페이(377300)(-6.39%)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698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176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개장 시황] 코스피 3201.42.. 개인의 순매수에 상승 출발 (▲15.04, +0.47%)
증권 News봇 2025.07.17 09:05:05전일 하락세를 보였던 코스피가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상승 반전했다.17일 오전 9시 5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5.04p(+0.47%) 오른 3201.42로, 42(매도):58(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개인은 769억을 순매수 중이며, 외국인은 595억, 기관은 255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업종별로는 전기가스업(+2.08%), IT 서비스업(+1.75%), 보험업(+1.34%)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며, 오락·문화업(-0.22%), 운수창고업(-0.07%) 등은 내림세다.종목별로는 흥국화재우(000545)가 18.67% 오른 9,600원을 기록 중이고, 진흥기업우B(002785)(+7.34%), 티와이홀딩스우(36328K)(+5.34%)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반면 진원생명과학(011000)(-5.44%), SK하이닉스(000660)(-4.22%), 한국화장품(123690)(-1.7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378개, 하락종목은 44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코스피] 15.04포인트(0.47%) 오른 3201.42 출발
증권 국내증시 2025.07.17 09:02:18[코스피] 15.04포인트(0.47%) 오른 3201.42 출발 -
“코스피 4000도 가능”…고수들 ‘조·방·원’ 콕 찍은 이유는 [머니트렌드 2025]
부동산 정책·제도 2025.07.17 08:47:00이재명 대통령 취임 이후 코스피 3200선을 돌파한 국내 증시가 하반기에도 상승세를 지속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다만 기업 오너 등 최대주주의 상속·증여세 완화 등의 후속 조치가 뒤따라야 ‘코스피 4000 돌파’ 등 주식시장 재도약의 동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됐다. 국내 최고의 재테크 전문가들은 16일 올해 미국 증시보다 한국 증시의 상대적 수익률이 높을 것이라며 하반기에도 상승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민재기 KB증권 프라임클럽 부장은 “과도한 상속·증여세 때문에 주가를 낮게 만드는 문제만 확실하게 해결할 수 있다면 증시 재평가가 순식간에 이뤄지면서 코스피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못지않은 성과를 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주주 환원에 이어 상속·증여 문제에서 구체적 성과가 있어야 코스피가 3200에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염승환 LS증권 리테일사업부 이사는 “국내 주식이 크게 오르면 급락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나오지만 정부 정책이나 유동성 등을 보면 쉽게 꺾일 장세가 아니다”라며 “과거 증시 고점을 감안하면 코스피 3400은 무난하고 4000도 이상하지 않다”고 분석했다. 하반기 주목할 업종으로는 올해 주도 분야인 조선·방산·원전과 함께 증권, 바이오, 인공지능(AI), 반도체 등이 골고루 꼽혔다. 부동산 분야에서는 6·27 대책 시행으로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지만 오히려 경매를 통한 ‘내 집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투자 수요 거품이 빠진 경매 시장이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 위주로 재편된 상황에서 낙찰가율은 낮아질 수밖에 없어 저렴한 가격에 원하는 집을 매입할 수 있는 ‘찬스’가 생길 가능성이 크다는 이유에서다. 이주현 지지옥션 선임연구원은 “6·27 부동산 대책으로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투자 수요가 경매 시장으로 진입하기 어려워졌다”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영끌족들의 매물이 경매 시장에 싼 가격으로 넘어오기 때문에 무주택자들은 내 집 마련의 기회로 삼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늘의 핫토픽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