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KT, '국가대표 AI' 사업에 솔트룩스 등과 공동 참여…이수인 교수 자문
산업IT 2025.07.23 15:35:54KT가 글로벌 빅테크에 맞설 국가 대표 인공지능(AI) 모델을 개발하는 정부 사업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프로젝트’에 솔트룩스를 포함한 다양한 기업·기관과 공동 참여한다고 23일 밝혔다. 특히 ‘설명 가능한 인공지능(XAI)’ 분야 권위자 이수인 미국 워싱턴대 교수 등 글로벌 석학의 자문을 받아 기술 경쟁력을 끌어올릴 방침이다. KT 컨소시엄에는 솔트룩스, 크라우드웍스, 매스프레소, 투모로 로보틱스, 경찰청, 고려대 의료원 등이 참여했다. KT는 자체 개발한 AI 모델 ‘믿음’ 시리즈를 보유했다. 솔트룩스는 국내 최대 규모의 한국어 AI 프로젝트 ‘엑소브레인’ 사업을 10년 간 주관해왔다. 크라우드웍스는 지능형 데이터 전처리 기술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가장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구축한 경험을 가졌다. 매스프레소는 글로벌 1억 사용자를 확보한 AI 학습 플랫폼 ‘콴다’를 운영 중이다. 투모로 로보틱스는 범용 로봇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한 피지컬 AI 업체다. 경찰청은 일선 현장에서 축적된 방대한 사건 기록과 이미지, 현장 영상 등의 고품질 치안 데이터를 정제해 모델 학습에 활용하고 이를 ‘예방적 치안’과 ‘예측 기반 대응’ 전환점으로 삼겠다는 방침이다. 고려대 의료원은 세계 최초 클라우드 기반의 정밀의료 병원정보시스템(PHIS)를 도입했고 국내 최고 수준의 임상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인프라를 활용해 AI 연구 중심 의료기관의 위상을 공고히 하고자 한다. 해양경찰청, 헌법재판소, 국내 대표 법무 법인 린·세종·율촌 등의 실제 수요 기관과 리벨리온, 모빌린트, 하이퍼엑셀 등의 국내 AI 반도체 어벤져스 기업들도 협력한다. KT 컨소시엄은 글로벌 석학들에게 기술 자문을 받는다. 이 교수는 세계적으로 표준화된 SHAP 방법론을 개발해 지난해 여성 과학자 최초로 삼성 호암상 공학상을 수상했다. XAI는 AI가 결론을 도출한 이유를 분석하는 기술로 환각과 같은 AI 오류를 줄이는 것은 물론 생명과학·의학 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AI 반도체 분야 권위자 위구연 하버드대 위구연 교수는 AI 인프라를 국가 경쟁력의 핵심으로 끌어올리는 데 기여하고 있다. KT 관계자는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로 구성된 KT의 AI 원팀이 대한민국 국가 대표 AI 기술 뿐만 아니라 국내 AI 대중화와 생태계 확산까지 선도하는 게임체인저가 되겠다”고 말했다. -
[마감 시황] 개인 매수 우위.. 코스닥 813.56(▲0.59, +0.07%) 상승 마감
증권News봇 2025.07.23 15:34:21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닥이 개인의 매수세에 힘입어, 전 거래일(812.97)보다 0.59p(+0.07%) 오른 813.56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개인은 1,469억을 순매수 했으며, 외국인은 327억, 기관은 1,072억을 각각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종이·목재업(+3.64%), 제약업(+2.55%), 운송장비·부품업(+0.62%)이 강세를 보였으며, 통신업(-3.79%), 기타 제조업(-2.45%), 오락·문화업(-1.88%)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도우인시스(484120)가 38.59% 오른 44,350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이렘(009730)(+29.95%), 삼천당제약(000250)(+29.71%)이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하이드로리튬(101670)(-27.10%), 리튬포어스(073570)(-24.43%), 엘에스스팩1호(0041J0)(-23.08%)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580개, 하락종목은 1049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마감 시황]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수세.. 코스피 3183.77(▲13.83, +0.44%) 상승 마감
증권News봇 2025.07.23 15:34:10오전 상승 출발했던 코스피가 외국인과 기관의 '쌍끌이' 매수에 힘입어, 전 거래일(3169.94)보다 13.83p(+0.44%) 오른 3183.77로 상승 마감했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은 3,169억, 기관은 2,923억 순매수를 기록하며 상승장을 이끌었으며, 개인은 6,828억을 순매도 했다.업종별로는 운수장비업(+1.86%), 철강금속업(+1.71%), 전기가스업(+1.63%)이 강세를 보였으며, 종이목재업(-2.44%), IT 서비스업(-1.99%), 오락·문화업(-1.42%) 등은 내림세로 장을 마감했다.종목별로는 하이스틸(071090)이 29.89% 오른 5,780원으로 장을 마감했고, 풀무원(017810)(+20.50%),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8.76%)가 오름세를 보였다. 반면 YG PLUS(037270)(-12.36%), 부국증권(001270)(-12.15%), 신대양제지(016590)(-9.36%) 등은 하락 마감했다.금일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91개, 하락종목은 500개를 기록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또' 노후 아파트 화재…野김미애, 스프링클러 설치 의무화법 추진
정치국회·정당·정책 2025.07.23 15:33:55최근 노후 아파트에서 발생한 대형 화재로 다수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공동주택의 화재 예방 강화를 위한 스프링클러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추진된다.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은 23일 이 같은 내용의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대표 발의했다고 밝혔다. 현행 소방시설 기준은 일부 층수 이상 건물이나 일정 규모 이상 건축물에만 설치 의무가 있다. 이에 제도 시행 이전에 지어진 노후 주택의 경우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는 지적이 있었다. 실제로 최근 부산 화재가 발생한 공동주택도 과거 기준에 따라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지 않아 초기 진화에 실패하며 큰 피해로 이어졌다. 이번 개정안은 아파트·연립·다세대주택 등 공동주택의 모든 층에 스프링클러 또는 간이 스프링클러 설비를 화재 안전 기준에 따라 설치·관리하도록 의무화하고, 이를 법률에 명시했다. 또 해당 설치 의무는 신규 공동주택뿐 아니라 기존 건축물에도 적용되며, 법 시행 후 2년 이내에 설치를 완료하도록 했다. 아울러 개정안은 장애인·노인·임산부 등 화재 취약계층이 사용하는 경보설비 및 피난구조설비에 대해서도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기준에 따라 적합하게 설치·관리하도록 했다. 강화된 기준에 따른 소방시설 설치에 필요한 비용은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전부 또는 일부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입주민들의 재정적 부담을 완화하고 제도의 실효성을 확보하도록 했다. 김미애 의원은 “공동주택은 대규모 인명이 밀집된 생활공간이자 화재 발생 시 대피가 어려운 구조적 특성을 갖고 있다”며 “노후 공동주택에 스프링클러를 설치하는 것이 늦었지만 반드시 필요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은 과거와 현재의 기준을 따질 문제가 아니다”며 "화재에 더 취약한 구조의 주거 공간일수록 더욱 강력한 예방 장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코스피] 13.83포인트(0.44%) 오른 3183.77 마감
증권국내증시 2025.07.23 15:32:33[코스피] 13.83포인트(0.44%) 오른 3183.77 마감 -
[코스닥] 0.59포인트(0.07%) 오른 813.56 마감
증권국내증시 2025.07.23 15:31:56[코스닥] 0.59포인트(0.07%) 오른 813.56 마감 -
中광시자치구 문화관광·계림예술제 설명회 25일 개최
문화·스포츠문화 2025.07.23 15:28:30중국 광시좡족자치구가 주최하는 문화관광 설명회가 25일 서울 삼성동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 호텔 2층 국화홀에서 열린다. 이날 행사에는 중국 광시좡족자치구 문화관광청 당위원회 서기이자 광시 당위 선전부 부부장인 한류, 계림시 정치협상회의 주석 천리화, 주한 중국문화관광청 서울사무소 장뤄위 주임 등이 참석해 ‘수려함이 절경인 장대한 광시’의 독특한 문화관광 자원을 집중 홍보할 예정이다. 또 ‘다시 만나는 산수, 달콤한 광시’라는 콘셉트의 3가지 특선 관광 노선을 소개할 예정이다. 문화관광설명회에 이어 중국 광시성 계림시에서 주최하는 계림예술제에 대한 한국 특별 설명회와 초청 공연도 펼쳐진다. 올해 4회째를 맞는 계림예술제는 중국 정부와 광시자치구가 지역 및 국가 차원에서 국제 문화 교류의 대표 브랜드이자 세계적인 예술제로 육성하기 위해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행사다. 계림예술제에 한국 대표단의 참여를 성사시키는 등 한중 연극·예술 교류에 기획 및 가교 역할을 하고 있는 김보연 프로듀서는 “올해 계림예술제에 대한민국연극제 대통령상 수상작과 우수작들을 대거 초청해 한국 연극과 예술을 중국에 더 많이 소개할 예정”이라며 “이번 설명회를 통해 더 많은 한국 연극인과 예술인들이 중국 무대에 설 수 있는 기회를 잡기 바란다”고 말했다. -
용인시, 경북 안동시와 자매결연…지역 특산물 직거리장터 등 운영
사회전국 2025.07.23 15:26:06용인시는 23일 이날 경상북도 안동시와 자매결연을 맺고 두 도시의 상생 발전을 위한 교류 협력을 약속했다고 밝혔다. 안동시청 청백실에서 열린 협약식에는 이상일 용인시장과 권기창 안동시장을 비롯해 두 도시 관계 공무원, 민간단체 대표 등 30여 명이 참석했다. 특히 이 자리에는 안동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해 지원했던 용인지역의 YMCA, 영남인 총연합회, 호남향우 단체연합회, 이동읍 기업인협의회 대표단과 안동 지역 민간단체 대표들도 참석해 민관이 뜻을 모은 자매결연으로 의미를 더했다. 양 도시는 협약을 통해 행정, 경제, 문화, 관광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약속했다. 구체적으로 △지역 특산물 교류와 직거래장터 판로 지원 △문화예술단체 및 축제 홍보·참여 △관광지 입장료 할인 혜택 제공 △행정·복지·경제 분야 우수정책 공유 등 다양한 교류를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관광 분야에서는 두 도시 시민들이 상대 도시의 주요 관광지를 할인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용인시민은 안동의 대표 관광지인 하회마을과 도산서원을 할인된 가격에 이용할 수 있고, 안동시민은 용인 자연휴양림과 농촌테마파크 입장료를 감면 받는다. 안동시 기업은 용인시의 특색사업인 ‘시민 통번역 서포터즈’를 활용해 해외진출도 가능해진다. 권기창 시장은 “안동시를 찾아주신 이상일 시장님과 대표단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와 존경의 인사를 드린다”며 “역동적인 용인시와 사유와 성찰을 중심으로 한 안동시가 만나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도시로 함께 성장해 나갈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상일 시장은 “안동은 전통문화를 잘 보존하면서도 바이오 생명산업, 백신 클러스터, 헴프 규제자유특구 등 미래 산업을 적극적으로 준비하며 역동적으로 발전하고 있고, 용인특례시는 인구 110만의 대도시로, 현재 진행 중인 초대형 반도체 프로젝트가 완료되면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태계를 갖춘 도시가 될 것이며 전통문화도 잘 보존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안동과 용인이 대한민국의 정신문화를 잘 계승하고 미래산업을 함께 선도해 나가자”고 말했다. 한편 이번 협약으로 용인시의 국내 자매도시는 총 12곳으로 늘었다. 시는 2006년 진도군을 시작으로 영천시, 제주시, 완도군, 사천시, 고성군, 함평군, 속초시, 단양군, 전주시, 광양시와 자매결연을 맺어왔으며 오는 24일에는 충북 괴산군과의 자매결연도 예정돼 있다. -
"아들부자·딸부자 집 우연 아니네"…산모 첫 출산 나이가 성별 가른다?
국제국제일반 2025.07.23 15:25:56산모의 나이가 자녀의 성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학교 연구진은 두 명 이상의 자녀를 둔 여성 5만 8007명을 대상으로 산모의 신체적 특성과 자녀 성별의 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에 포함된 요소는 키, 체질량지수(BMI), 인종, 머리색, 혈액형, 수면-각성 주기, 초경 시기, 첫 출산 당시 나이 등 총 여덟 가지였다. 이 가운데 자녀의 성별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인 것은 '첫 출산 시 산모의 나이'였다. 나머지 일곱 가지 특성은 자녀 성별과 별다른 상관관계를 나타내지 않았다. 특히 첫 출산 당시 산모의 나이가 많을수록 한쪽 성별의 자녀만 낳을 확률이 높게 나타났다. 첫 출산 나이가 28세 이상인 여성의 경우 같은 성별의 아이만 가질 확률은 43%였지만, 23세 미만인 여성은 34%에 그쳤다. 연구진은 이러한 결과가 여성의 나이에 따른 생리적 변화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나이가 들수록 질 내 pH(산성도) 높아지고, 난포기가 짧아지는 등의 변화가 나타나는데 이는 정자의 생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다. 질 내 산성도가 높아지면 X염색체를 가진 정자의 생존 가능성이 높아지고, 난포기가 짧아질수록 빠르게 움직이는 Y염색체 정자가 유리해진다. 결과적으로 산모의 신체 환경이 특정 성별 정자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같은 성별 자녀만 연달아 출산할 확률이 높아진다는 해석이다. 연구는 이뿐만 아니라 형제나 자매가 세 명 이상인 가정일수록 같은 성별 자녀가 계속 태어날 확률이 높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예를 들어 세 명의 자녀가 모두 아들인 가정은 네 번째 아이도 아들일 확률이 61%에 달했고 모두 딸인 경우는 같은 조건에서 58%였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성별 확률이 임신마다 50 대 50이라는 통념과는 다른 결과다. 호주 멜버른대학교의 산부인과 전문의 알렉스 폴리아코프 박사는 "이번 연구는 부모에게 자녀 성별이 반드시 동등한 확률로 결정된다고만 말할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며 "특히 이미 같은 성별 자녀가 여럿 있는 가정은 다음 아이도 같은 성별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염두에 둬야 한다"고 전했다. 다만 연구진은 "이번 결과가 모계 연령이 자녀 성별을 결정짓는 유일한 요인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며 "향후 생활습관, 영양 상태, 환경 노출, 유전자 간 상호작용 등 다양한 요인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해당 연구 결과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Science Advances)'에 최근 게재됐다. -
대한전선, 한기평 신용 상향…국내 3대 신평사 모두서 'A' 등급 획득
산업기업 2025.07.23 15:24:52대한전선(001440)이 국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신용등급 A를 획득했다고 23일 밝혔다. 한국기업평가는 이날 대한전선에 기업신용등급(ICR) A, 등급 전망 안정적(Stable)을 부여했다. 2022년 ‘A-, 긍정적(Positive)’에서 한 단계 상향됐다. 한기평의 등급 상향으로 대한전선은 국내 3대 신용평가사 모두로부터 A 등급을 받았다. 지난달 나이스신용평가가, 이달 10일에는 한국신용평가가 각각 대한전선을 ‘A’로 평가했다. 한기평은 대한전선 신용등급 상향 배경으로 △매출·이익 규모 확대 △안정적인 재무구조 △양질의 수주 등을 꼽았다. 한기평은 보고서에서 "다각화된 제품 포트폴리오와 수주 성과에 기반해 수익성이 개선되고 영업 현금 창출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사업 확장 과정에서 투자 자금 소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지만 재무 완충력과 영업 현금 창출력을 통해 재무 안정성을 양호한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국내 3대 신용평가사로부터 모두 A 등급을 획득해 사업 성장성과 재무 안정성을 대외적으로 인정받았다”며 “해저케이블 등 사업 확장을 통해 시장 경쟁력을 한층 강화하고 고객으로부터 신뢰받는 기업으로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나가겠다”고 말했다. -
5월 출생아 2만명 돌파…11개월 연속 증가세
경제·금융경제·금융일반 2025.07.23 15:24:30올해 5월 출생아 수가 2만 명을 넘어서며 전년 동월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5월 기준으로 2011년 이후 14년 만에 가장 큰 폭의 증가율로 본격적인 출산율 반등 신호라는 해석이 나온다. 통계청이 23일 발표한 ‘2025년 5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5월 전국 출생아 수는 총 2만 309명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달보다 3.8% 증가했는데 2011년 5월(5.4%) 이후 14년 만에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것이다. 또 2021년 5월(2만 1922명) 이후 4년 만에 출생아 수도 가장 많았다. 특히 올해 1~5월 누계 출생아 수는 10만 6048명을 기록하며 10만 명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6.9% 늘어난 것으로 1981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증가율이다. 출생아 수는 지난해 7월부터 11개월 연속 늘면서 본격적인 출산 회복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시도별로 보면 서울과 대구 등 12개 시도에서 출생아 수가 증가했고, 부산과 대전 등 5개 시도에서 감소했다. 첫째 아이가 전체 출생아의 61.9%를 차지했는데 전년보다 그 비중이 1.2%포인트 상승했다. 이와 함께 혼인 건수도 증가세를 이어갔다. 5월 혼인 건수는 2만 1761건으로 전년 동월(2만 921건)보다 4.0% 늘어났다. 지난해 5월에는 전년 대비 21.6% 급증했는데 올해도 상승세가 이어진 것이다. 실제 지난해 4월 이후 14개월째 혼인 건수가 계속 늘고 있다. 통계청의 한 관계자는 “지난해에 21.6%라는 기록적인 혼인 증가율을 보였는데 올해도 증가 추세를 이어가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라고 말했다. 거기에다 2019년 5월(2만 345건) 이후 6년 만에 가장 많은 혼인 건수를 기록한 점도 눈에 띈다. 특히 결혼과 출산 지표가 11개월 연속 상승한 것은 1991년 3월~1992년 12월(22개월) 이후 처음이다. 이 때문에 코로나19 이후 미뤄졌던 결혼 수요가 다시 본격적으로 반영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출생아 수가 늘었음에도 여전히 자연 감소는 지속되고 있다. 5월 사망자 수는 2만 8510명으로 출생보다 8202명 더 많아 자연 증가 수치는 마이너스를 기록했다. 다만 감소 폭은 지난해 5월(-8950명)에 비해 축소됐다. -
'7+2 민생회복' 정책 펼치는 광주…"이재명 정부와 손에 잡히는 소비진작 전략"
사회전국 2025.07.23 15:23:15‘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을 13%로 확대, 온누리상품권 5% 환급,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광주광역시가 골목상권에 새로운 활력과 민생경제를 회복하기 위해 이 같은 정책을 중심으로 한 ‘7+2 민생회복 정책’을 펼친다. 이재명 정부와 발맞춰 내수 소비를 촉진해 침체된 골목상권에 온기를 불어넣고 경제 선순환 구조 만들기에 나선 것이다. 광주광역시는 23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7+2 민생회복 지원 정책보고회’를 열고, 골목상권 중심의 지역경제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을 공개했다. 이번 정책보고회는 당초 지난 18일 예정됐으나 집중호우로 인해 연기돼 이날 개최했다. 보고회에는 강기정 광주시장을 비롯해 김이강 서구청장, 박필순·김용임·안평환 시의원, 광주지방중소벤처기업청·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관계자, 골목상권 핵심 주체인 소상공인 160여명 등 300여명이 참석했다. 강기정 시장은 이날 보고회에서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 방안을 발표했다. 강 시장은 “지금 골목경제가 너무 어렵다”며 “광주시 살림도 빠듯하지만 골목경제를 살리기 위해 우선 소비쿠폰 지급, 광주상생카드 할인율 확대, 공공배달앱 할인율 확대 등 이재명 정부와 함께 손에 잡히는 소비진작 전략으로 시민들이 피부에 와닿는 정책들을 속도감 있게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광주시는 올해 추진사업 7개와 내년 이후 과제 2개로 구성된 총 6224억원 규모의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를 시행한다. 광주시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는 정부와 함께 광주시·자치구 소비쿠폰 지급, 광주상생카드 13% 할인, 온누리상품권 소비액 5% 환급, 공공배달앱 할인쿠폰 5억 4000만 원 확대 발행, 골목상권지원단 운영 등이 주된 내용이다. 우선 정부와 함께 광주시, 5개 자치구가 총 400억원을 투입해 모든 시민에게 민생회복 소비쿠폰을 지급한다. 시민 1인당 18만 원에서 53만 원이 지급될 예정이다. 9월부터 12월까지 광주상생카드 할인율을 기존 7%에서 13%로 대폭 상향한다. 광주시는 윤석열 정부의 예산지원이 없는 상황에서도 자체 시비를 투입해 상생카드를 지원했으며, 9월부터 본격적으로 이재명 정부와 발맞춰 골목경제 살리기에 나선다. 이를 통해 시민의 소비 여력을 높여 지역상권 매출 증대를 도모한다. 또 시비 16억 원을 들여 온누리상품권 소비액의 5%를 환급한다. 광주시는 ‘골목상권 지원단’을 운영해 골목형 상점가 지정, 온누리상품권 가맹 등록 등 소상공인의 행정업무를 전방위로 지원한다. 1700억원 규모의 특례보증을 통해 자금 지원을 확대하며, 광주시와 공공기관이 골목상권과 1대 1로 매칭, 월 2회 이상 인근 식당 이용이나 장보기를 통해 소비를 유도하는 상생활동도 추진한다. 내년 이후 과제로는 소상공인 기반시설 구축(150억 원), 옛 방직공장 부지에 상생복합시설 조성(1130억 원) 등이 포함돼 지속가능한 소상공인 생태계 조성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날 보고회에서는 광주시와 자치구, 유관기관 등 12개 기관·단체가 ‘7+2 소상공인 지원 패키지’의 성공 추진을 위한 ‘골목형 상점가 광주전역 확대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
6·27 규제 효과…집값 상승 기대심리 3년만에 최대폭 하락
경제·금융경제동향 2025.07.23 15:22:186·27 부동산 대출 규제 발표 이후 집값이 상승할 것이라는 기대 심리가 급격히 식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3일 발표한 ‘7월 소비자동향조사’에 따르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9로 전달보다 11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2022년 7월(-16포인트) 이후 약 3년 만에 가장 큰 낙폭이다.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0이 넘으면 앞으로 1년 뒤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보는 소비자들이 더 많다는 뜻이다. 집값 상승에 대한 기대감이 한 달 전보다 약해졌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 지수는 올해 들어 2월 99에서 시작해 3월(105), 4월(108), 5월(111), 6월(120)까지 4개월 연속 상승했지만 7월 들어 처음으로 하락 반전했다. 이번 조사는 대출 규제 발표 직후인 7월 8일부터 15일까지 이뤄져 정책 효과가 소비자 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부채 관리 강화 대책 이후 주택가격 하락 기대가 커졌고,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세 둔화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7월 첫째 주(7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전주 0.40%에서 0.11%포인트 하락한 0.29%로 상승 폭이 축소됐다. 정책 여파는 가계대출 흐름에도 나타나고 있다. 18일 기준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57조 327억 원으로, 6월 말(754조 8348억 원)보다 2조 1979억 원 증가했다. 하루 평균 증가액은 1566억 원으로 6월(3594억 원)과 비교해 절반 이상 감소했다. 7월 가계부채전망지수는 96으로 6월보다 1포인트 하락하며 2018년 5월(96) 이후 약 7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 지수는 6개월 뒤 가계부채 증감을 전망하는 소비자 인식을 보여주는 지표로 100 미만이면 부채가 줄어들 것으로 보는 소비자가 더 많다는 뜻이다. 전체적인 소비 심리는 개선 흐름을 나타냈다. 7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0.8로 전달보다 2.1포인트 오르며 2021년 6월(111.1) 이후 4년여 만에 최고치를 경신했다. 소비자심리지수는 경기·소득·생활형편 등 6개 항목을 종합해 산출되며 100을 넘으면 장기 평균보다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지난해 말 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12월에는 88.2까지 추락했던 지수는 올해 들어 1월 91.2, 2월 95.2, 이후 꾸준히 반등세를 보이고 있다. 이후 올해 3월 93.4로 주춤했다가 4월 93.8, 5월 101.8, 6월 108.7에 이어 7월까지 넉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왔다. -
오후 3:20 현재 코스피는 46:54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전기가스업(1.31%↑)
증권News봇 2025.07.23 15:20:2923일 오후 3시 2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14.03p(+0.44%) 상승한 3183.97로,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운수장비업(+1.80%), 철강금속업(+1.73%), 기계업(+1.66%)이며, 약세업종은 종이목재업(-2.37%), IT 서비스업(-2.02%), 오락·문화업(-1.59%)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전기가스업이 68:32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섬유의복업은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쌍끌이' 매수세로 상승장을 이끌고 있으며, 개인만 '팔자'에 힘을 실었다. 외국인은 1,521억, 기관은 4,170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6,483억을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하이스틸(071090)이 29.89% 오른 5,780원을 기록 중이고, 풀무원(017810)(+20.82%), HD현대인프라코어(042670)(+19.39%)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성문전자우(014915)(-28.39%), YG PLUS(037270)(-12.64%), 부국증권(001270)(-11.56%)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397개, 하락종목은 494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포돌이와 숙취 잡는다"… 광동제약, 스틱형 숙취해소제 출시
산업바이오 2025.07.23 15:18:06광동제약(009290)이 젤리 타입의 숙취해소제 ‘헛개파워 스틱’ 2종(포도·망고맛)을 출시한다. 23일 광동제약에 따르면 이번 신제품은 헛개나무열매추출농축액·유산균 사균체·타우린 등 숙취 완화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다양한 기능성 원료를 담았다. 인체적용시험 결과에 따르면 음주 후 15분이 지난 시점부터 숙취 증상을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효과가 관찰됐다. 제품은 젤리 타입 스틱 형태로 휴대가 간편하며 맛은 포도와 망고 두 가지로 구성돼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이번 제품 패키지 디자인에는 경찰청 공식 캐릭터 ‘포돌이&포순이’가 등장한다. 광동제약은 서울강남경찰서와 정식 협업을 통해 음주 후 숙취에 대한 경각심을 재미있게 전달하고 공공성과 브랜드 신뢰도를 함께 제고한다는 전략이다. 출시를 기념한 이벤트도 함께 진행한다. 제품 내 삽입된 QR코드를 통해 경품 증정 행사에 참여할 수 있다. 아울러 광동제약 SNS 채널을 통해 ‘포돌이&포순이와 함께하는 안전한 음주문화 캠페인’을 전개해 올바른 음주문화 정착에 힘쓸 예정이다. 광동제약 관계자는 “쫀득한 식감과 상큼한 맛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숙취해소제”라며 “포돌이·포순이와 함께 사회적 공감대 형성은 물론 브랜드 신뢰까지 아우르는 시도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