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
소진공, 지역 대학과 업무협약 체결…"전통시장 활성화"
산업중기·벤처 2024.09.27 10:00:21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대전 지역 4개 대학과 소상공인·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소진공은 26일 대전 공단본부에서 대전과학기술대·대전대·목원대·우송정보대와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대전지역 대학생들의 재능 기부 활동을 통해 소상공인 및 전통시장 지원을 연계하고 지역 상권을 활성화하고자 마련됐다. 각 기관은 앞으로 △전통시장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관리 △소상공인 우수제품 서포터즈 △온누리상품권 판매 확대 홍보 △매체를 활용한 협업 사업 및 정책 홍보 등을 협력 추진할 계획이다. 특히 대학생들의 전공을 연계해 소방관련 학과 학생들은 대전지역 전통시장 내 노후화된 옥내소화전 점검 등 화재예방활동을 실시하고, 광고홍보학과 학생들은 우수 소상공인 제품 대상 온·오프라인 매체를 활용한 홍보 등 맞춤형 지원활동을 전개할 예정이다. 박성효 소진공 이사장은 “학생들의 다양한 지식과 경험은 시장 환경개선 및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홍보 등 소상공인 지원과 관련한 활동을 무궁무진하게 펼칠 수 있을 것”이라며 “소상공인과 전통시장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지역경제 회복의 밑거름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닥은 41:59으로 매수우위, 매수강세 업종은 일반전기전자업(0.01%↑)
증권News봇 2024.09.27 10:00:1727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닥은 전일 대비 2.49p(-0.32%) 하락한 776.69로, 41(매도):59(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약세업종은 제약업(-1.50%), 기타서비스업(-1.17%), 건설업(-0.69%)이며, 강세업종은 오락·문화업(+3.30%), 섬유·의류업(+2.07%), 의료·정밀기기업(+0.53%)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일반전기전자업이 31:69의 매수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종이·목재업은 53:47의 매도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과 기관이 동반 매도세를 보이며 지수 하락을 부추기고 있는 가운데, 개인이 홀로 '사자'에 힘을 실어 지수 하락을 방어하는 모양새다. 개인은 1,265억을 순매수 하는 데 반해, 외국인은 942억, 기관은 239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 종목별로는 자이언트스텝(289220)이 29.94% 오른 8,420원을 기록 중이고, 맥스트(377030)(+29.86%), 형지I&C(011080)(+26.81%)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에프앤가이드(064850)(-29.83%), 한국테크놀로지(053590)(-20.00%), 엔젠바이오(354200)(-12.17%)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하락종목은 771개, 상승종목은 상한가 2개 종목을 포함해 765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오전 10:00 현재 코스피는 47:53으로 매수우위, 매도강세 업종은 운수창고업(0.83%↑)
증권News봇 2024.09.27 10:00:1027일 오전 10시 0분 현재 코스피는 전일 대비 0.54p(+0.02%) 상승한 2672.11로, 47(매도):53(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 중이다. (※매수비율(%)=매수잔량/잔량합계*100, 매수우위=매수비율>매도비율)강세업종은 섬유의복업(+3.92%), 화학업(+1.97%), 철강금속업(+1.12%)이며, 약세업종은 의약품업(-2.80%), 통신업(-1.60%), 운수장비업(-1.27%)이다. 수급측면으로는 운수창고업이 70:30의 매도우위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건설업은 24:76의 강한 매수우위세를 기록 중이다.투자자별 동향을 살펴보면, 외국인이 홀로 매수 포지션을 취하고 있는 반면, 개인과 기관은 동반 매도세를 보이고 있다. 외국인은 2,591억을 순매수 중이며, 개인은 360억, 기관은 2,030억을 각각 순매도하고 있다.종목별로는 형지엘리트(093240)가 29.83% 오른 2,520원을 기록 중이고, 한화인더스트리얼솔루션즈(489790)(+16.04%), 코스맥스(192820)(+10.47%)가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하이트론(019490)(-6.83%), 한미약품(128940)(-5.77%), 대성산업(128820)(-5.60%) 등은 하락 중이다.현재 상승종목은 상한가 1개 종목을 포함해 469개, 하락종목은 383개를 기록하고 있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특징주] 中 대규모 재정지출 예고에…화장품株 또 강세
증권국내증시 2024.09.27 09:58:3927일 화장품주가 전날의 조정을 딛고 다시 강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가 24일 지급준비율을 0.5%포인트(p) 인하하겠다고 발표한 데 이어 전날 오후 재정정책을 강화하겠다고 밝히면서 간밤 뉴욕 증시에선 중국 소비관련 종목들이 급등했다. 이날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오전 9시 45분 현재 아모레퍼시픽(090430)은 전일 대비 3.27% 오른 15만 1600원에, LG생활건강(051900)은 3.43%오른 37만 6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코스맥스(192820)(8.08%)와 토니모리(214420)(3.28%), 한국화장품(123690)(2.25%) 등 화장품 관련 종목들은 일제히 큰 폭으로 오르고 있다. 전날 중국 당국이 대규모 재정지출과 투자를 강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간밤 뉴욕 증시에서는 중국 관련 소비재 종목들에 훈풍이 불었다. 알리바바가 100.07%, 핀둬둬가 13.57%, 징둥닷컴이 14.39% 상승했다. 앞서 중국 당국은 24일에도 지급준비율을 큰폭으로 인하하고 주식시장에 1조위안(약 188조 9300억 원)에 달하는 유동성을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은 전날 시진핑 총서기 주재로 경제 상황을 분석·연구하는 회의를 한 뒤 “재정·통화정책 역주기조절(경제가 하방 압력을 받으면 금리 인하 등으로 완화하고 상승세가 과열되면 열기를 식히는 거시경제 정책) 강도를 높이고 필요한 재정 지출을 보장해 기층 '3보'(三保·작은 지방정부의 기본적 민생과 임금, 운전자금을 보장함) 사업을 잘 수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올 잔액 227% 껑충…한화운용, 디폴트옵션 TDF 성장률 1위
증권재테크 2024.09.27 09:54:50올해 디폴트옵션(사전지정운용제도)에 편입된 한화자산운용의 ‘한화 LIFEPLUSE TDF(타깃데이트펀드, 생애주기에 맞춰 자동적으로 포트폴리오를 조정해주는 펀드)'의 잔액이 경쟁사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27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한화자산운용의 올해 디폴트옵션 TDF 잔액은 연초 약 452억 원에서 지난 24일 기준 약 1482억 원으로 무려 227% 증가했다. 이는 적립금 기준 디폴트옵션 TDF 설정액 100억 원 이상인 타 운용사 상품들 중 가장 높은 수익률이다. 한화자산운용은 해당 상품이 다양한 퇴직연금사업자(디폴트옵션 판매사)와 퇴작연금가입자 모두에서 고른 인기를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디폴트옵션이란 퇴직연금(DC·IRP형) 가입자가 별다른 운용 지시를 하지 않을 경우에 사전에 정한 적격투자상품으로 운용하는 것을 말한다. 은행, 증권사, 보험사 등 각 퇴직연금사업자는 자산운용사의 TDF, BF펀드(Balanced Fund)를 비롯한 다양한 상품을 편입해 디폴트옵션 포트폴리오를 구성한다. 한화자산운용은 JP모간과의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글로벌 리서치 능력과 자산 배분 역량이 뒷받침된 자문을 받아 TDF를 운용하는 등 차별화된 행보를 보이고 있다. 투자 지역 및 자산의 특성에 맞게 액티브·패시브 운용 방식을 선택하는 '하이브리드 운용전략'과, 자산별로 환오픈·환헤지를 다르게 적용하는 '환 전략 차별화'를 통해 3년 이상 장기 성과에 강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신흥국 주식이나 회사채와 같이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상대적으로 추가 수익을 창출하기 용이한 자산에 대해서는 액티브 운용전략을 적용하여 수익을 극대화한다 . 미국 대형주나 국채와 같이 지수 복제가 용이하고 종목 선택의 영향이 크지 않은 자산군에 대해서는 패시브 운용전략을 통해 비용을 최소화하며 투자효율을 극대화하고 있다. 차덕영 한화자산운용 연금솔루션사업본부장은 "한화 LIFEPLUS TDF는 앞으로도 합리적인 글라이드패스(Glide path)의 자산 배분 경로를 준수하면서, 역사적으로 검증된 자산 배분 전략을 안정적으로 추구할 것"이라고 밝혔다. -
<유>형지엘리트, 상한가 진입.. +29.83% ↑
증권News봇 2024.09.27 09:52:30오전 9시 52분 현재 형지엘리트(093240)가 +29.83% 오른 2,520원(▲579)으로 장중 상한가에 진입했다. 거래대금은 185억3,581만, 거래량은 819만1,371주를 기록하고 있으며, 수급측면으로는 44(매도):56(매수)의 매수우위를 보이고 있다.형지엘리트는 전일 하락(1,941원, ▼-244, -11.17%) 마감했으나, 이 시각 현재 장중 상한가를 기록하며 강세를 보이고 있다.지난 1개월간 형지엘리트는 상한가 2회, 상승 17회, 하락 11회를 기록했고, 주가수익률은 135.51%였다. 이 기간 '섬유의복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13.72%를 기록했다.현재 '섬유의복업' 총 25개 종목 중 상한가 종목은 1개, 상승 종목은 15개로, 일부 종목만이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F&F(383220) +5.19%, 한섬(020000) +2.63%, 한세실업(105630) +2.16%)[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부산시 생활공감정책 참여단,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 촉구 서명운동 동참
사회전국 2024.09.27 09:50:10부산시 생활공감정책 참여단은 27일 부산역 유라시아플랫폼 야외광장에서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제정을 촉구하는 서명운동을 한다고 밝혔다. 참여단은 특별법 입법에 대한 시민 관심을 제고하고 서명운동 참여 분위기를 확산하기 위해 부산역 인근 유동 인구를 대상으로 서명운동을 실시하고 입법 촉구 퍼포먼스도 진행할 계획이다. 함성용 참여단 대표는 “특별법은 부산을 청년 일자리가 가득한 도시, 아이들 키우기 좋은 도시, 전 세계 사람과 기업이 몰려드는 도시로 만들기 위한 법”이라며 “ 부산의 혁신적 성장을 위해 이번 특별법의 조속 통과를 적극 지지한다”고 말했다. 지난 8월 27일 범시민추진협의회 출범식과 함께 시작한 100만 서명운동은 31일째인 9월 26일 기준 누적 서명자수 90만 명을 넘어섰다. 특별법은 지역 여야 국회의원 18명 전원이 공동 발의한 여야 1호 법안으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법안심사 1소위원회에 상정된다. 부산시는 법안의 조속한 통과를 위해 다음 달 국회에 서명운동 결과를 전달할 예정이다. -
<코>퀀타매트릭스, 현재가 6.40% 급등
증권News봇 2024.09.27 09:47:21오전 9시 47분 현재 퀀타매트릭스(317690)의 현재가는 11,470원으로 1분전 10,780원 대비 6.40% 급등했다. 수급측면으로는 46(매도):54(매수)의 매수우위를 기록하고 있다.지난 1개월간 퀀타매트릭스는 41.84% 하락했으며, 표준편차는 8.10%를 기록했다. 이 기간 '의료·정밀기기업' 업종 평균 주가수익률은 2.59% 로 나타났으며, 변동성은 1.06%를 기록했다. 이 시각 현재 '의료·정밀기기업'은 0.91% 상승 중이다.[이 기사는 증시분석 전문기자 서경뉴스봇(newsbot@@sedaily.com)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
네이버웹툰, 10월 대표작 3개 팝업스토어 오픈…굿즈 사업 확대
산업IT 2024.09.27 09:42:32네이버웹툰이 다음 달 서울에서 팝업스토어를 잇따라 열면서 굿즈 사업 확대에 나선다. 네이버웹툰은 다음 달 3일부터 16일까지 서울 성수동 공간와디즈와 삼성동 스타필드 코엑스몰에서 팝업스토어를 연다고 27일 밝혔다. 공간와디즈에서는 웹툰 ‘가비지타임’과 ‘마루는 강쥐’ 팝업스토어가 총 190평 규모로 2개 층에서 열린다. 사전 예약자만 입장이 가능하며 현재 예약을 받고 있다. 1층은 가비지타임 지식재산권(IP)을 기반으로 160여 종의 신규 굿즈를 판매한다. 가비지타임은 2019년 3월부터 연재를 시작해 올해 1월 완결된 농구 웹툰이다. 원작 IP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으로 지난해에만 부가 수익 70억 원 이상을 벌어들였다. 2층의 마루는 강쥐 팝업스토어에서는 140여 종의 신규 굿즈를 포함해 총 170여 종의 굿즈를 판매한다. 마루는 강쥐는 2022년 6월부터 연재 중인 작품으로 강아지 ‘마루’가 사람이 돼 펼쳐지는 이야기다. 지난해 세 차례 팝업스토어에서 역대 IP 팝업스토어 중 최대 매출·방문객을 기록할 정도로 팬덤이 입증됐다. 지난달에는 웹툰 캐릭터 최초로 프로야구 구단 LG트윈스와 콜라보 상품을 출시하고 ‘마루’가 시구에 나서기도 했다. 코엑스몰에서는 웹툰 ‘집이 없어’의 팝업스토어가 열린다. 140여 종의 굿즈를 선보이는데 23일 입장 사전 예약에 3000명 이상의 동시접속자가 몰리는 등 성황을 이뤘다. 이 작품은 버려진 옛날 기숙사에서 살게 된 두 고등학생의 성장기를 다룬 작품이다. -
GS25, 팔도비빔장 활용한 도시락·주먹밥·비빔국수 출시…“식품사 IP 제휴 영역 확대”
산업생활 2024.09.27 09:42:12편의점 GS25가 종합식품기업 팔도와 손잡고 팔도비빔장을 활용한 간편식 3종을 출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번 신제품인 팔도비빔장 간편식 3종은 소셜네트워크(SNS)에서 입소문을 탄 ‘꿀조합 레시피’에서 착안해 만든 상품이다. 이 중 팔도 삼겹구이한판도시락은 팔도비빔장과 필승 조합인 ‘삼겹살 구이’를 메인 반찬으로 구성했다. 여기에 고사리, 콩나물 등 나물을 곁들여 비빔장과 밥 그리고 고기를 함께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스틱형 팔도비빔장 소스가 동봉된 것이 특징이다. 팔도 우삼겹주먹밥은 팔도비빔면과 우삼겹 조합을 주먹밥으로 구현해냈다. 팔도 비빔국수 & 왕교자는 팔도비빔장과 잘 어울리는 소면에 오이와 계란을 추가하여 아삭한 식감은 물론 포만감을 높였다. 여기에 튀김 왕교자 만두를 더해 비빔면과 곁들여 먹을 수 있도록 했다. 박종서 GS25 도시락 MD는 “GS25는 식품사와 협업을 통해 고객에게 익숙하면서도 색다른 즐거움을 선사하는 간편식 제품을 출시하고자 한다”면서 “앞으로도 국내 대표 식품기업과 협력 관계를 지속하며, 차별화 간편식 메뉴를 지속 확대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GS25는 편의점 간편식 시장에서 차별화한 맛을 선사하기 위해 식품 기업과 제휴를 확대하고 있다. 지난달에는 동원F&B, 대상 등 식품기업과 전략적 협업을 통해 간편 도시락 상품 4종을 출시했다. 특히 동원맛참정찬도시락의 경우 첫 발주 수량이 일반 신상품 도시락 평균 발주 수량보다 20% 이상 높았다. 이에 대해 GS25 관계자는 “식품사 컬래버 상품에 대한 인지도와 신뢰감이 발주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
GS, LLM 개발기업 라마인덱스와 동맹…한국서 첫 ‘AI 워크숍’
산업기업 2024.09.27 09:41:50GS(078930)그룹이 대규모언어모델(LLM) 개발 전문 기업인 라마인덱스와 인공지능(AI) 기술 및 트렌드를 공유했다. GS는 라마인덱스와 AI 관련 협력과 교류를 이어가면서 구성원들의 업무 효율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GS그룹은 26일 서울시 역삼동 GS타워에서 ‘라마인덱스&52g-GenAI 커넥트 데이’를 개최했다고 27일 밝혔다. GS그룹의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커뮤니티 ‘52g(5pen 2nnovation GS)’와 라마인덱스가 공동 주관한 이번 행사는 글로벌 AI 엔지니어들이 모여 LLM 활용 노하우를 공유하고 협력하기 위해 진행됐다. 라마인덱스가 한국에서 워크숍을 개최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라마인덱스는 LLM을 기반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보다 쉽게 개발할 수 있도록 돕는 종합 서비스 회사다. 업계에서는 랭체인(LangChain)과 양대 산맥을 이루면서 생성형 AI 혁신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행사에는 외부 AI 엔지니어 70명을 포함해 100여 명이 참석했다. 또 세계 4대 AI 석학으로 불리는 앤드류 응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만든 교육 플랫폼인 딥러닝 AI를 통해 전 세계에 공개됐다. 연사로는 라마인덱스의 피에르 로익 둘셋 문서분석도구 담당 엔지니어와 초개인화 AI 에이전트 솔루션 개발 스타트업 라이너의 허훈 테크리드 등이 나섰다. 이들은 LLM을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과 운영 전략에 대한 관점 등을 공유했다. GS그룹 내부 DX 관련 커뮤니티인 ‘52g’는 노코드(No-Code) 방식의 생성형 AI 개발 플랫폼인 ‘미르’를 공개했다. ‘52g’가 자체 개발한 미르는 코딩을 할 줄 모르는 직원도 개발자의 도움 없이 생성형 AI를 제작할 수 있도록 돕는 플랫폼이다. GS그룹은 라마인덱스와의 협업을 이어가면서 임직원들이 생성형 AI를 활용해 개인 업무 역량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예정이다. 강병진 ㈜GS 매니저는 “AI에 대한 GS의 열정과 수준을 증명하고 글로벌 커뮤니티와 소통할 수 있었던 유의미한 자리였다”며 “앞으로도 꾸준히 기회를 넓히겠다”고 말했다. -
삼성전자, 대만 칩 탑재 태블릿 ‘갤럭시탭S10’ 공개
산업IT 2024.09.27 09:39:48삼성전자(005930)가 태블릿PC 신제품 ‘갤럭시탭S10’ 시리즈를 27일 공개했다. 시리즈 최초로 퀄컴 ‘스냅드래곤’이나 자체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두뇌칩) ‘엑시노스’ 시리즈가 아닌 대만 미디어텍의 ‘디멘시티9300플러스’를 탑재한 게 특징이다. 이는 삼성전자가 AP 비용 부담이 커지는 상황에서 퀄컴에 대한 의존도를 낮추고 수급을 다각화하려는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2분기 삼성전자의 스마트폰 판매를 담당하는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NW)사업부는 전년 동기 대비 매출 성장에도 불구하고 AP 비용 부담 등으로 영업이익은 26.6% 감소한 2조 2300억 원에 그쳤다. 디멘시티9300플러스는 조만간 출시될 ‘디멘시티9400’을 제외하면 미디어텍 제품 중 최고 성능을 가졌다. 스마트폰 ‘갤럭시S24’ 등에 들어간 퀄컴의 ‘스냅드래곤8 3세대’와 동급으로 평가되면서도 비용은 더 저렴한 것으로 알려졌다. 갤럭시탭S10은 이를 통해 생성형 AI 기능인 ‘갤럭시 AI’를 지원한다. ‘삼성 노트’ 애플리케이션의 녹취와 요약은 물론 PDF 문서 번역을 지원하는 ‘노트 어시스트’, 간단한 이미지 검색 기능인 ‘서클 투 서치’, S펜으로 그린 그림을 정교한 이미지로 바꿔주는 ‘스케치 변환’, AI 기반 ‘대화 선명하게 듣기’ 등이 있다. 별도 판매되는 키보드에는 AI 음성비서 ‘빅스비’나 ‘구글 제미나이’를 부를 수 있는 ‘갤럭시 AI 키’가 들어갔다. 온도, 습도, 공기 질, 에너지 사용량 등 집안의 정보를 한눈에 확인하는 ‘3차원(3D) 맵 뷰’ 기능도 지원한다. 신제품은 전작의 기본형 없이 ‘갤럭시탭S10 플러스’와 ‘갤럭시탭S10 울트라’ 2종으로 이뤄졌다. 각각 12.6인치와 14.6인치 크기의 화면을 가졌다. 울트라 기준으로 전작보다 중앙처리장치(CPU)가 18%, 그래픽처리장치(GPU)는 28%, 신경망처리장치(NPU)는 14% 향상됐다고 삼성전자는 설명했다. 국내 출시일은 다음달 4일이다. 가격은 미정으로 전작 ‘갤럭시탭S9 울트라’가 159만 8300원이었다. 이민철 삼성전자 MX사업부 갤럭시에코비즈팀장은 “갤럭시탭S10은 한 차원 높은 AI 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태블릿”이라며 “사용자는 창작 활동 등에 있어 한층 강화된 AI 기능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가상자산·뱅킹·결제 융합… 두나무·케이뱅크·BC카드 손잡았다
블록체인블록체인 2024.09.27 09:39:24두나무는 케이뱅크, BC카드와 디지털 금융서비스 협력 모델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협약식은 이석우 두나무 대표,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 최원석 BC카드 사장 등 주요 관계자가 참석한 가운데 지난 26일 서울 중구 케이뱅크 본사에서 진행됐다. 이번 협약으로 3사는 중장기적 협력 관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두나무가 보유한 가상자산 거래 사업 인프라와 케이뱅크 모바일 뱅킹 인프라, BC카드가 보유한 지급결제 프로세싱 인프라를 바탕으로 디지털 금융서비스 협력 모델을 구축하는 게 골자다. 각 사가 보유한 기술력과 서비스 간 시너지를 토대로 디지털 금융 생태계 대중화를 이끌겠다는 포부다. 이석우 두나무 대표는 “3사 강점과 독창성을 바탕으로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할 것”이라며 “3사 협력 관계가 금융 산업에 기여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최우형 케이뱅크 은행장은 “케이뱅크는 그동안 실명확인 입출금 서비스 제휴로 안정적 가상자산 시장 정착에 힘써왔다”면서 “이번 제휴로 3사 공동 서비스 및 마케팅을 통해 보다 안전하고 믿을 수 있는 가상자산 거래 환경을 만드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최원석 BC카드 사장은 “이번 업무협약으로 3사 간 협력 관계를 공고히하고 시너지 영역을 실명 계좌 발급을 넘어 지급 결제와 뱅킹으로 확장할 것”이라고 밝혔다. -
코스맥스바이오, 수국 추출물에 美NDI 인증…수출 활로 열렸다
산업중기·벤처 2024.09.27 09:38:45코스맥스바이오가 자체 개발한 개별인정형 원료 ‘수국잎열수추출물(리세린지)’이 미국 식품의약국(FDA)에서 NDI(New Dietary Ingredient) 인증을 획득했다. 이번 인증으로 리세린지 제품의 해외수출이 대폭 증가할 전망이다. 코스맥스바이오는 미국 NDI 인증으로 리세린지 제품을 미국 내 건강기능식품으로 유통·판매할 수 있게 됐다고 27일 밝혔다. 코스맥스바이오가 개발한 리세린지는 토종 수국을 원료로 한 코스맥스바이오의 대표 이너뷰티 소재다. 피부건강 2중 기능성과 체지방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는 3중 복합 기능성 원료다. 2020년과 2022년 두 차례에 걸쳐 세가지 기능성에 대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개별인정형 원료로 인정받았으며 이후 독성시험과 2년여 간의 상온 유통기한 시험 등 FDA 규정에 맞춘 추가 시험을 거쳐 NDI 인증을 획득했다. NDI는 한국의 개별인정형 원료와 비슷한 제도다. FDA에 성분의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자료를 제출해야 하며 국내 판매 이력을 통해 실제 소비자 섭취의 안전성도 증명해야 해 인증을 획득하기 까다롭다. 이번 인증으로 코스맥스그룹은 미국 내 판매가 가능한 NDI 인증 원료 두가지를 확보하게 됐다. 2021년 코스맥스엔비티는 피부건강 기능성 개별인정형 원료 ‘배초향추출물(아가트리)’로 NDI인증을 획득한 바 있다. NDI 인증에 따라 리세린지 제품의 해외수출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코스맥스바이오는 인증 자료를 기반으로 유럽식품안전청(EFSA)에서 인증하는 신소재식품원료(Novel Food) 승인까지 추진할 계획이다. 코스맥스바이오 관계자는 “국내 건기식 시장에서 해외 시장 진출을 타진하는 고객사가 늘어가는 가운데 리세린지를 해외시장에 널리 알릴 수 있게 됐다”며 “리세린지에 대한 추가 기능성 연구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롯데렌터카, 한국산업고객만족도 1위…"9년 연속"
산업산업일반 2024.09.27 09:38:31롯데렌터카가 ‘한국산업의고객만족도(KCSI)’ 렌터카 부문에서 9년 연속 1위를 기록했다. 올해로 33회를 맞는 KCSI는 국내에서 가장 오래되고 공신력 있는 고객만족도 지수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이 △전반적 만족도 △평가 요소 종합 만족도 △재구입(이용) 의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지수를 산출한다. 올해에는 소비재 제조업, 일반 서비스업 등 총 119개 산업의 398개 기업과 1만 1253명의 소비자에 대한 일대일 면접을 통해 진행했다. KCSI 조사 결과 롯데렌터카는 종합 점수 87.8점으로 업계 내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다. 브랜드 경쟁력 강화를 위한 브랜드 개편과 고객의 니즈를 반영해 혜택을 확대하는 적극적인 행보가 좋은 평가를 얻었다는 설명이다. 롯데렌탈은 지난해 11월 대표 브랜드인 롯데렌터카의 다양한 서비스를 직관적으로 알리기 위해 신차 장기렌터카를 개인(마이카)과 법인(비즈카)으로 나눠 리브랜딩했다. 브랜드 개편과 함께 이효리를 모델로 발탁하고 다양한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마이카는 방문정비, 멤버십 혜택, 차량 안전관리가 핵심인 개인 장기렌터카 서비스다. 연 1회 엔진오일을 무상으로 교체해주는 차량 방문 정비 서비스를 기본으로 제공하며 멤버십 서비스를 스탠다드∙프리미엄∙프레스티지로 고객 혜택을 세분화했다. 주행거리 기반 차량 안전점검 서비스인 ‘Safety 365’로 고객의 안전도 책임진다. 법인 장기렌터카 서비스인 비즈카의 키워드는 고객 맞춤형 정비 서비스, 비용과 시간 절감, 고객 맞춤 차량이다. 주행거리 등에 따른 정비상품 선택지를 확대했으며 비즈니스 차량 관리 솔루션 ‘커넥트프로’를 고도화해 도입했다. 또 전문 매니저의 상담을 통해 법인의 여건 및 차량 사용 용도를 종합적으로 고려해 맞춤형 차량을 찾을 수 있도록 지원한다. 최진환 롯데렌탈 대표이사 사장은 “롯데렌터카가 KCSI 렌터카 부문 9년 연속 1위라는 영예를 안을 수 있는 것은 오랜 시간 아낌없는 성원과 지지를 보내주신 고객과 전국의 직원들 덕분” 이라며 “고객을 떠나서는 어떠한 성장도 없다는 신념 아래 앞으로도 혁신적인 서비스와 상품을 출시하고 고객 만족도와 브랜드 가치를 제고하는데 힘쓰겠다”고 말했다.
이시간 주요 뉴스
영상 뉴스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