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애플 아이폰 5 프리뷰

진화를 택한 혁신 아이콘

이 시대의 혁신 아이콘 아이폰의 최신 모델 '아이폰5'가 미국, 일본 등지에서 공식 출시됐다. 이번 아이폰5에는 이전 모델에서 보여줬던 특유의 '혁신'은 없었다. 하지만 그에 버금가는 '진화'가 있다. 그 진화는 디스플레이, 다이어트, 롱텀에볼루션(LTE)이라는 세 가지 키워드로 요약된다.

박철진 IT칼럼니스트 chuljin.park.1973@gmail.com

애플은 IT 기업이지만 명품 가방을 만드는 공방의 장인정신이 있다. 간결함과 편의성, 안정성을 위해서라면 수익이 줄어도 기꺼이 수용한다. '애플=제품'이라는 가치관이 기업 구석구석에 배어있는 덕분이다.

이런 맥락에서 아이폰5는 제품에 대한 애플의 궤도가 수정된 작품이다. 일단 아이폰 5는 한 손으로 쓰기에 최적화된 3.5인치(8.9㎝)화면이 4인치(10.1㎝)로 커졌다.

또 이전 모델보다 두께와 중량을 10% 이상 줄이는 등 다이어트에도 신경을 썼다. 아직 안정성과 대중성이 담보되지 않은 최신 이동통신 기술인 LTE를 적용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풀이된다.

인셀 디스플레이로 터치감 UP

아이폰5는 4인치 인셀(In-Cell) 디스플레이로 무장했다. LCD 패널과 터치센서를 하나로 통합, 두께를 줄인 신개념의 디스플레이다. 패널은 아이폰4와 4S, 뉴 아이패드와 동일한 고선명 '레티나(Retina)'를 택했다.

그 결과, 원래부터 좋기로 유명한 터치감이 더욱 업그레이드됐다. 9월 12일 미국 아이폰5 발표 현장에서 제품을 사용해 본 사람들 역시 하나 같이 아이폰4S보다 터치감이 훨씬 부드러워졌다는 평가를 내렸다.

아이폰5 이전의 스마트폰은 LCD 패널 위에 터치센서를 붙이는 이른바 온셀(On-Cell)방식을 많이 썼다. 때문에 아이폰5를 신호탄으로 인셀 디스플레이가 스마트폰의 대세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이전모델보다 화면 크기가 0.5인치 커진 만큼 화면비율은 4대 3에서 16대 9이 됐다. HF급 동영상 감상에 최적화 된 것이다. 1인치당 픽셀 수는 326개(ppi)며 해상도는 아이폰4보다 18% 증가한 1,136×640이다.

또 화면이 세로로만 길어졌기 때문에 이전 모델처럼 엄지손가락으로 전체 화면을 조작할 수 있는 능력은 여전하며 제품의 전체 길이는 0.35인치(9㎜)밖에 늘어나지 않았다.

아이폰4S 대비 20% 감량

아이폰5는 지금까지 출시된 아이폰 시리즈 중 가장 슬림하고 가벼운 몸집을 자랑한다. 아이폰4S와 비교해 두께는 18% 얇아져 7.6㎜에 불과하며 무게도 20%나 가벼운 112g이다. 화면은 조금 커졌지만 휴대성은 더욱 강화된 것.

'다이어트의 제왕'이라고 칭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다. 이런 자신감 때문인지 필립 실러 애플 수석부사장은 "지금까지 나온 제품들 중 가장 아름답다"며 "세계에서 가장 얇고 가벼운 스마트폰"이라고 아이폰5를 추켜세운 바 있다.

애플에 따르면 엔지니어들은 아이폰5의 혹독한 다이어트를 위해 설계 단계부터 많은 고민을 했다. 설계도를 수 백 번 이상 고치는 것은 물론이고 각각의 부품 크기를 어떻게 줄일지 고민에 고민을 거듭했다는 후문이다.



그 고민의 결과물 중 하나가 바로 '나노심(nano-SIM)'이다. 나노심은 기존의 마이크로심(micro-SIM)보다 44%나 크기가 작다. 따라서 회로기판 설계의 효율화가 가능하다.

아이폰5의 두뇌 격인 'A6' 애플리케이션프로세서(AP) 또한 아이폰4S의 A5 대비 처리속도가 2배 빠르지만 크기는 22% 작으며, 후면 카메라의 덩치도 20% 이상 줄어들었다.

LTE로 5배 빠른 통신 속도 구현

LTE를 지원하는 것도 아이폰5가 가진 이색적인 부분이다. LTE는 전 세계 이동통신 시장에서 이제 막 대세로 자리 잡은 기술이다. 그리고 그동안 애플은 LTE 접목에 소극적 모습을 보여 왔다.

최신기술보다는 안정성이 검증된 기술이 사용자들에게 더 나은 경험을 줄 수 있다는 소신 때문이었다. 그러나 스마트폰 시장에서 통신 속도 경쟁이 심화되고, LTE 가입자 수가 매우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애플도 경쟁력 강화를 위해 LTE의 손을 잡았다.

올해 초 선보인 뉴 아이패드에 시범적으로 LTE를 넣었고 이번에 아이폰5에 확대 적용한 것이다. LTE를 지원함에 따라 아이폰5는 아이폰 4S보다 최대 5배가량 빠른 통신 속도를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진영의 최대 장점인 LTE를 아이폰에서도 사용할 수 있게 돼 제품 경쟁력을 높이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국립전파연구원의 전파인증을 통과, 국내출시가 임박한 아이폰5는 800㎒와 1.8㎓ 대역 주파수를 모두 지원하며 SK텔레콤과 KT에서 가입할 수 있다.




아이폰5 대항마
갤럭시 노트Ⅱ·옵티머스G






아이폰5 출시에 맞춰 삼성전자와 LG전자도 각각 갤럭시 노트Ⅱ와 옵티머스G를 선보인다. 이에 따라 올 하반기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한층 치열한 가입자 유치 경쟁이 펼쳐질 전망이다.

갤럭시 노트Ⅱ는 이전모델보다 0.3인치 큰 5.5인치(14㎝) 슈퍼 아몰레드 HD 디스플레이가 탑재된 것이 특징. 여기에 성능과 기능성이 향상된 S펜이 채용된다. 처리 속도를 좌우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는 쿼드코어 모델을 품었다.

마블 화이트와 티타늄 그레이 등 두 가지 색상의 라인업으로 출시되며 최초 공개된 모델은 3G 전용이었지만 국내출시 모델은 LTE만 지원된다. 옵티머스G의 경우 LG전자, LG이노텍, LG디스플레이, LG화학 등 LG그룹 부품 계열사의 경쟁력을 집대성한 제품이다.

터치센서 일체형 4.7인치(12㎝) 트루 HD IPS+ 디스플레이, 고성능 배터리, 1,300만 화소 카메라 등 고사양 부품이 들어갔으며 편의성과 사용자 경험(UX)를 극대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더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