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리벳 구멍 뚫는 법 검색하기’

Wearable Technology 웨어러블 기술<br>‘Search: How Do I Punch This Rivet Hole?’

소비자보다 웨어러블 기술에 더 열광하는 사람들은 누구일까? 바로 현장 기술자들이다.
By Erin Griffith


내슈빌 Nashville에 소재한 건물수리업체 리 코퍼레이션 Lee Co.은 수십 년 동안 수리공, 엔지니어, 전기 기사, 배관공 등 숙련된 기술자들을 고용해왔다. 그러나 최근 많은 미국 현장 노동자들이 줄지어 은퇴하기 시작하면서 이 회사는 빈 자리를 채우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CEO인 리처드 퍼코 Richard Perko는 “회사의 핵심인력이라고 할 수 있는 숙련된 기술자들이 더 이상 없다”고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그리고 회사가 우려하는 또 다른 문제는 은퇴를 앞둔 기존 기술자들이 장비가 설치된 지붕까지 올라가 작업을 하는 게 항상 최선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 때문에 그는 중앙지휘본부를 세워 ‘제도적 지식(institutional knowledge)’을 축적하고자 한다. 어떻게 하는가? 나이든 전문 기술자들을 핵심 인력으로 구성하고, 기술을 도입해 덜 숙련된 젊은 기술자들의 현장 작업을 돕는 것이다. 젊은 기술자들은 카메라와 마이크, 스피커, 분리가 가능한 메모리 기억장치, 무선 안테나 등이 탑재된 특수 보안경을 장착한다. 그리고 휴대폰에 연결된 블루투스를 통해 작업 과정을 중앙지휘본부에 실시간 비디오로 전송한다. 베테랑 근로자들은 중앙지휘본부에서 이 과정을 지켜보며 지시사항을 하달한다.

리처드 퍼코는 내슈빌의 신생기업 엑스오아이 테크놀로지스 XOEye Technologies가 만든 이 ‘스마트’한 보안경이 시장 판도를 완전히 뒤집을 ‘게임 체인저’라고 말한다. 이 기술 덕분에 보다 빠른 문제 해결이 가능해졌고, 젊은 현장 기술자들이 더 빠르게 배울 수 있게 됐기 때문이다. 한편 클라이언트에겐 작업 완료 확인을 받을 수 있도록 보고서가 전송된다. 시험 결과에 만족한 그는 전체 직원 800명 중 300명에게 499달러짜리 이 보안경을 씌울 작정이다.

일반적으로 정비업계는 기술도입이 늦다. 지난 10년 동안 이 업계의 가장 큰 혁신은 차량의 GPS센서 장착이었다. 하지만 이제 정비업계도-건설, 제조, 에너지, 유전서비스, 그리고 원격의료업계와 더불어-시간 절약과 실수 줄이기라는 장점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의 도입을 간절히 기다리는 얼리어답터가 되고 있다.

투자자들도 이러한 분위기를 감지하고, 인터넷이 연결된 아이웨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여러 신생기업에 수백만 달러를 투자했다. 샌프란시스코의 웨어러블 인텔리전스 Wearable Intelligence는 헬스케어와 에너지 분야에 집중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뉴욕의 필드렌즈 FieldLens와 캘리포니아 주 카핀테리아 Carpinteria의 프로코어 Procore는 건설관련 소프트웨어를, 버지니아 주 헌든 Herndon에 위치한 APX랩 APX Labs은 제조, 물류, 그리고 유전서비스 관련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있다. 또 오스틴 Austin의 신생기업 프리스틴 Pristine은 원격의료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초기 투자금을 확보했다. 샌프란시스코의 오그메딕스 Augmedix는 의사들을 위한 소프트웨어를 만들고 있고, 뉴욕의 오그메이트 Augmate는 창고 및 유통 업계에 이용될 산업용 ‘스마트 아이웨어’에 집중하고 있다.

이머전스 캐피털 파트너스 Emergence Capital Partners의 제너럴 파트너 케빈 스페인 Kevin Spain은 현장직을 위한 기술이기 때문에 오그메딕스에 투자했다고 말했다. 그는 “미국 기업들이 사무직을 위한 기술에 매년 2,500억 달러가량을 쓰고 있지만 사무직은 전체 인력의 20%에 불과하다”고 지적하며 “나머지 80%의 현장직도 이제 웨어러블 기기와 스마트폰을 이용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지난해에는 시계, 반지, 속옷, 심지어 가발 분야에까지 ‘스마트’ 전자기기들이 대량으로 쏟아져 나왔다(지난해 소니는 스마트위그 SmartWig의 특허를 출원했다). 이들 대부분이 일반 소비자를 겨냥한 제품들이었기 때문에 웨어러블 기기가 애당초 업무용 기기로 등장했다는 사실은 쉽게 잊혀졌다. 지난 1996년 미국 군사기술연구소인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첫 웨어러블 컴퓨팅 콘퍼런스 Wearable computing conference를 열고, 관련 산업 및 군 인사들을 초대해 벨트 팩 Belt packs, 로보글러브 Robogloves, 헤드업 디스플레이 Heads-up display *역주: 스마트안경과 비슷한 용도로 앞 유리창에 운행 정보를 비춰주는 장치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기도 했다.

그리고 약 20년이 지난 현재에는 무선인터넷 기반 시설의 구축과 작고 강력해진 컴퓨터칩 덕분에 스마트 아이웨어의 실현이 가능해졌다.

산업 기술자들이 일반 소비자들보다 웨어러블 기술을 더 빨리 받아들일 것이라는 주장은 충분히 일리 있는 얘기다. 이들은 손을 쓰며 일하기 때문에 이 기술은 반드시 손을 이용할 필요가 없는 기술이어야 한다. 작업 중 보안경을 쓰는 건 흔한 일이기 때문에 그들은 남들 눈에 어떻게 비칠지는 신경 쓰지 않는다. 작업만 더 용이하게 해준다면 음성 제어 컴퓨터를 얼굴에 착용하지 말아야 할 이유도 없다.

유전 현장의 작업자들은 조립 및 보수 절차에서 반드시 안전 체크리스트를 확인해야 한다. 보통 종이로 체크하기 때문에, 작업자는 반드시 작업을 멈추고 한 손의 장갑을 벗어야 한다(체크리스트를 생략하면, 작업 단계 중 하나를 건너뛰는 위험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손을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면, 설비를 조립하면서 체크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시간이 절약되고 실수가 줄어들 것이다. 유전 분야에서 오랜 경력을 쌓은 웨어러블 인텔리전스의 CEO 얀 데이비드 에를리히 Yan-David Erlich는 “새삼스러운 문제들이 아니다. 오랫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나타난 것”이라고 말했다. 웨어러블 인텔리전스는 현재 1,320억 달러 규모의 거대 유전서비스기업 슐름베르거 Schlumberger, 세계 최대 원유 생산기업 사우디 아람코 Saudi Aramco와 파트너십을 맺고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공장 수리공들도 상황은 유사하다. 스마트 글라스를 착용하면 공장 기계가 고장 날 때마다 주변 시야로 경고를 확인할 수 있다. 인디애나 주에 위치한 가공서비스 기업 아이탬코 Itamco는 수리공들이 작업 중 부품과 도구를 잘 구분하도록 이미지 인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고 있다. 의사들의 경우, 클립보드나 아이패드를 이용한 데이터 기록에 상당한 시간을 소요하지만, 스마트 글라스를 이용하면 음성 명령을 통해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더 많은 관심과 시간을 쏟을 수 있다. 또 건설 현장에 스마트 글라스를 도입하면, 머리 위에서 배관작업을 하는 박판공들이 클립보드의 지시사항을 읽느라 작업을 중단할 필요가 없다.

필드렌즈의 CEO 더그 챔버스 Doug Chambers는 지금은 건설업계 고객들에게 스마트 글라스의 효용을 알리는 단계라고 말했다. 어떤 사람들은 점차 현실화되고 있는 구글 글라스 Google Glass 같은 헤드셋이 안전을 위협하는 원인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또 어떤 이들은 안경 화면이 착용자의 가시 범위에서 충분히 벗어나 있기 때문에 괜찮다고 말한다. 하지만 답이 무엇이든 부직스 Vuzix, 엡손 Epson, 소니 Sony, 코핀 코퍼레이션 Kopin Corp 같은 기업들은 가능성이 있는 사업이라고 생각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 Microsoft, 에스에이피 SAP, 오라클 Oracle, 세일즈포스 Salesforce 같은 기업들이 전사적 자원 관리(ERP) 소프트웨어를 웨어러블로 확대한다면 아마 웨어러블 기술의 도입은 더욱 가속화될 것이다. APX랩의 CEO 에릭 욘센 Eric Johnsen은 벌써 웨어러블 기술에 대한 고객들의 문의가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모두가 스마트 글라스의 현실화를 인정하고 있다. 남은 건 시간 문제일 뿐”이라고 덧붙였다.

기업들의 웨어러블 기술 도입은 구글에겐 희소식이다. 구글 글라스가 비록 일반 소비자들 사이에선 외면당하고 있지만 웨어러블 기술 분야에선 독보적이기 때문이다(구글 글라스는 1,500달러짜리 부유층의 장난감으로 전락했다. 디자인은 사이보그를 연상시키며 카메라도 착용감이 불편하다). 지난 4월 구글은 ‘글라스홀 Glassholes *역주: 주변을 전혀 신경쓰지 않고 구글 글라스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신조어 ”이라는 부정적 이미지와 거리를 두면서 글라스 앳 워크 Glass at Work라는 프로그램을 시작했다. 글라스 앳 워크는 기업들이 업무에 구글 글라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기업용 앱을 개발하는 프로그램으로, APX랩과 오그메딕스, 웨어러블 인텔리전스 등 5개의 업체들이 개발파트너로 참여했다. 구글 대변인 소피 밀러 Sophie Miller는 “(구글 글라스)에 더 많은 호응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글라스 앳 워크는 기업용 앱에 대한 관심과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구글의 전략이다. 그렇다면 소비자용은 언제 나올까? 얀 데이비드 에를리히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과거처럼 이 기술을 지금 당장 필요로 하는 곳은 기업들이다”라고 말했다.


마크 앤드리슨 Marc Andreessen의 최근 트위터 메시지
그는 기술 벤처기업들의 지출에 대해 할 말이 많다. 아래는 그가 올린 18개의 트위터 중 일부를 발췌한 것이다.
· 지난 10년 동안 벤처기업가들은 고평가된 기술로 투자금을 쉽게 모을 수 있는 환경에만 있었다. 하지만 이런 현상은 결코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 시장이 요동친다면, 아니 반드시 요동칠 것이다. 그러면, 우리는 어떤 신생기업들의 자본 소진율(burn rate)이 높은지 알게 될 것이고, 그런 기업들은 곧 사라질 것이다.
· 자본 소진율이 높으면 시장 변화에 적응하는 능력을 기르기 어렵다. 회사가 비대해져 변화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 많은 직원들, 번쩍이는 사무실, 높은 지출 비용은 ‘성공했다’는 환상이나 다름 없다. 눈에 보이는 결과를 보여줘야 한다는 강박관념에서 벗어나라.
· 새로운 투자금을 조성하는 일이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키워야 할 불독의 몸집이 커진다면, 더 높게 평가돼야 하고 더 많은 돈이 필요해진다.
· 친절한 헤지펀드 투자자가 당신 회사를 높게 평가하고 있는가? 그가 지분의 80%를 갖고 있고 회사 가치가 하락했다고 상상해보자. 이런 상황에서도 투자자는 과연 친절한 모습일까?
· 시장이 요동치면 M&A 거래는 일어나지 않는다. 아무도 돈 먹는 하마인 벤처기업을 인수하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다. 대안은 없다. 그저 시장에서 사라질 뿐이다.


포춘 홈페이지에서 마이클 케이시 Michael Casey가 쓴 ‘공장 현장에 적합한 구글 글라스’를 읽어보라.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