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원자재 값 상승 등으로 1ㆍ4분기에만도 5,128억원(연결기준)의 손실을 낸 한국전력은 비상경영체제를 가동하고 있다. 원가는 치솟는데 전기요금 현실화는 쉽지 않은 탓이다.
당장 한전은 발전자회사를 포함해 전부문 효율향상을 통해 1조1,000억원 수준의 원가절감을 추진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또 부동산 임대, 누수 수익 방지 등으로 6,000억원의 수익을 추가로 거둘 방침이다.
이를 위해 지난 3일에는 컨틴전시플랜(비상계획)을 기존의 2단계에서 3단계로 높였다. 아울러 모든 예산은 회수 뒤 건별 검토 후 월별로 배정하고 있다. 배정된 예산도 집행의 필요성ㆍ타당성을 검토해 긴축경영을 하고 있다. 4년 연속 적자를 탈피하기 위해 재무담당 임원(CFO)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TF)를 가동해 상시 위기관리 시스템을 가동하고 있다.
김중겸 사장도 직접 나서고 있다. 매달 '경영보고의 날'을 개최해 최고경영자(CEO)가 직접 회사 경영현안을 전직원과 공유하고 위기상황을 돌파하기 위해 힘을 모으고 있다.
특히 꼭 필요한 대내외 행사만 시행하고 전력사업과 무관한 기부는 잠정적으로 출연을 중단한 상태다. 사내간행물은 전자책(e북)으로 대체하고 냉방온도는 30도 이상, 난방은 16도 이하로 조정했다.
이와 함께 한전은 구조적인 경영건전성 개선을 위해 전기요금 현실화에도 주력하고 있다. 전기요금은 최소한 전력공급에 들어간 실제비용과 기술개발(R&D)ㆍ차입비용 등을 포함하는 수준이 돼야 한다는 게 한전 입장이다. 실제로 지난해 우리나라 전기료의 원가회수율은 87.4%였다. 전기를 만드는 데 100원이 들어간다면 87원만 요금으로 받는다는 얘기다.
특히 한전은 전기요금 인상이 소비자물가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작다는 생각을 가지고 있다. 최근 반려된 전기요금 평균 10.7% 인상안을 기준으로 해도 기업의 제조원가 상승은 0.148%포인트에 불과하다는 게 한전 측 주장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