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권의 마지막 '달동네'로 불리는 개포동 구룡마을 재개발 사업이 닻을 올렸다. 서울시는 강남구 개포동 567 일대를 수용해 SH공사가 공영 개발하는 내용의 '구룡마을 정비계획안'을 28일 발표했다. 정비계획안에 따르면 구룡마을 25만2,777㎡ 부지에는 아파트 2,793가구와 학교ㆍ복지시설ㆍ공공청사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시는 우선 전체 아파트 중 1,250가구를 영구ㆍ공공임대 아파트로 구성해 구룡마을 무허가 판자촌 및 비닐하우스에 거주하고 있는 1,242가구 전원의 재정착을 유도할 방침이다. 강맹훈 서울시 도시개발과장은 "현행법상 도시개발사업에 따라 임대주택을 받으려면 기초생활수급자 요건을 갖춰야 한다"며 "구룡마을 거주가구 중 기초생활수급자는 151가구에 불과하기 때문에 나머지 거주민들에게도 임대주택을 공급할 수 있도록 오는 6월 중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 개정'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사실상 무허가 판자촌 주민들에게 '특혜'를 주는 셈이지만 20년 넘게 열악한 주거환경에서 살아온 점을 감안할 때 사회 여론이 이를 인정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서울시는 다만 '물딱지(무허가 주택을 매매해 입주권을 확보하는 것)' 를 사들인 투기세력은 철저히 가려낼 방침이다. 김병하 서울시 도시계획국장은 "실거주 여부 및 재산소유 현황 등을 면밀하게 따져 외지인이 불로소득을 얻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룡마을 재개발 사업이 첫발을 내딛었지만 향후 전망은 불투명하다. 당장 토지보상 단계부터 진통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구룡마을 일대는 500여명의 토지주가 분산 소유하고 있는데 1㎡당 공시가격이 100만원선에 불과해 이 가격에 보상이 이뤄질 경우 반발이 거셀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또 시는 분양전환이 되지 않는 공공임대주택을 공급할 예정인 만큼 분양전환 임대주택을 원하는 현지 거주민들의 요구도 변수가 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