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준표 "지금은 朴 전 대표 시대"… 정몽준 "대권주자 조기등판해야"<br>40~50대 젊은 대표론도 솔솔
| 4·27 재보선 결과에 책임을 지고 자신을 포함한 당 지도부 총사퇴 결의를 전한 안상수(아래) 한나라당 대표가 28일 한·EU FTA 비준동의안 처리를 위해 열린 국회 외통위 전체회의에서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 /오대근기자 |
|
| 홍준표(사진 윗줄 왼쪽), 박근혜 (사진 윗줄 오른쪽), 전여옥(사진 아래) |
|
충격에 휩싸인 한나라당이 '로렐라이의 언덕'이라는 소용돌이를 헤쳐나오기 위해 '박근혜 역할론'과 '젊은 지도부론'이 부상하고 있다.
4ㆍ27 재보궐선거 패배 이후 한나라당이 처한 상황은 마치 독일 라인강에 있는 로렐라이 언덕(회오리가 심해 뱃사람을 파멸로 빠뜨리는 곳)을 건너는 것과 비슷하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특히 4ㆍ27 후폭풍을 헤쳐가기 위해 당정청 쇄신과 함께 친이명박계와 친박근혜계의 화합을 바탕으로 한 '박근혜 역할론'과 세대교체를 통한 '젊은 대표론'이 나오고 있어 주목된다.
◇박근혜 역할론=당 지도부가 다음주 중 총사퇴하기로 한 만큼 박 전 대표가 유럽특사 임무를 마치고 오는 5월8일 귀국한 뒤 열리는 이명박 대통령과의 회동을 계기로 당 전면에서 역할을 해야 한다는 요구다.
홍준표 최고위원은 28일 보완재를 자처한 뒤 "지금은 '박근혜 시대'"라며 전략적 제휴의사를 밝혔다. 그는 최근 청와대 측의 입각제의도 거절했다. 친박근혜계 중진인 허태열 의원도 "박 전 대표가 전면에 나서야 한다는 요구는 앞으로 봇물이 터질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당헌당규의 '선출당직과 대선주자 분리' 조항에 따라 대선 1년6개월 전(올 6월 전당대회 시점)에 사퇴하도록 돼 있어 현재는 가능성이 없다. 다만 친이계까지 박 전 대표의 리더십을 필요로 하는 만큼 다음주 구성되는 비상대책위원회에서 당헌당규를 바꿔 박 전 대표에게 역할을 요청한다면 구원투수가 될 가능성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이날 유럽 방문길에 오른 박 전 대표는 "여태까지도 제 위치와 입장에서 노력해왔지만 당이 다시 국민의 지지를 받을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역할론'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인 것은…"이라고 말을 아끼며 "당에서 많은 토론이 있지 않겠느냐"고 여운을 남겼다. "(선거패배에 대해) 저도 책임을 통감하고 있다. 정당과 지역을 떠나서 진정성 없이는 국민의 지지를 받기 힘들다는 것을 느꼈다"는 말도 덧붙였다.
◇세대교체 '젊은 대표론' 부각=쇄신을 위해 6월 전대에서 남경필ㆍ정두언ㆍ원희룡ㆍ나경원ㆍ김태호 의원 등 소장파를 간판으로 내세우는 '젊은 지도부론'이 부상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대표후보로 거론되는 김무성ㆍ홍준표 의원 등 중진과의 차별화를 꾀하겠다는 것이다. 차기 대선출마를 저울질하는 남 의원은 최근 기자와 만나 "소장파 단일화를 위해 밀알이 될 각오가 돼 있다"고 전했다.
청와대 등 여권 핵심부도 젊은 대표론이 박 전 대표와의 차별화는 물론 야권 대표주자로 부상한 손학규 대표와도 경쟁이 가능하다며 선호하는 분위기다. '민본 21' 등 한나라당 소장파도 40~50대 '젊은 대표론'을 내세울 방침이다.
이는 젊은층은 물론 중산층까지 여권에 적지 않게 등을 돌린 상황에서 당의 체질과 이미지가 환골탈태해야만 내년 총선ㆍ대선을 치를 수 있다는 위기의식에 따른 것이다. 이 대통령이 이날 "정부 여당이 거듭나는 계기로 삼아야 한다"고 밝힌 것도 곱씹어볼 대목이다.
◇정몽준ㆍ정두언 등도 쇄신 촉구=정몽준 전 대표는 이날 '당권과 대권 분리' 조항 개정 등 전면쇄신을 주장했다. "관리형 지도체제로는 변화를 가져올 수 없으며 당의 미래를 이끌 리더들이 전면에 나서 당을 책임지고 끌고 가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자신을 포함해 여권 잠룡들의 전대출마 길을 열어 달라는 소위 '대선주자 조기등판론'이다.
정 최고위원은 트위터에 글을 올려 "정부와 여당이 제2의 6ㆍ29선언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국민이 한나라당에 확실한 옐로카드를 보여줬다. 당정청의 대대적 변화와 혁신이 없으면 국민은 내년 총선에서 한나라당에 레드카드를 들 것이고 정권 재창출도 불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소장파 모임인 민본21은 이날 근본적인 당 쇄신과 국정운영 방식의 대전환, 당청관계 재정립 등을 요구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