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수입·소비·투자·금융 등 4단 브레이크 걸린 中.. 국내기업 전략 변경 시급

대한상의, ‘중국경제 신창타이시대,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연구’ 보고서

최종재 수출 강화, 대륙의 지갑을 열 맞춤형 제품 아시아 인프라시장 공략, 거래처 금융리스크 관리 강화 등 4대 전략 제시

중국 실물경제에 ‘4단 감속 브레이크’가 걸렸다는 진단이 나왔다. 수입, 소비, 투자, 금융부문에서 중국판 뉴노멀(New Normal)인 신창타이(新常態) 시대로 접어들면서 국내기업들도 중국 사업에 대한 새로운 접근법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4일 ‘중국경제 신창타이시대,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연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대한상의가 국제통화기금(IMF)의 자료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중국의 수입증가율은 2010년 22.1%에서 내년 14.9%로 7.2%포인트 떨어지고, 소비증가율은 같은 기간 9.4%→7.7%, 투자는 15.3%→4.7%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상의는 국내기업들이 △최종재 수출 강화 △대륙의 지갑을 열 맞춤형 제품 △아시아 인프라시장 공략 △거래처 금융리스크 관리 강화 등의 대응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조언했다.

우선, 중국의 중간재 수입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어 중간재가 대중국수출의 73%를 차지하는 한국 기업의 대중 수출전선에 경고등이 켜졌다. 정부가 소재·부품산업을 육성해 중간재 수입을 중국산으로 대체해 나가는 ‘차이나 인사이드(China Inside)’ 정책을 펴고 있다. 실제로 2000년 64.4%에 이르던 중국의 중간재 수입비중은 2010년 들어 52.1%, 지난해에는 49.8%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상의는 “대한민국 수출의 성장비결이던 한·중간 가공무역 공식이 깨지고 있다”며 “중간재 위주 수출구조를 소비재·자본재 등 최종재 비중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환하고, 신흥시장도 발굴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두번째 브레이크는 ‘소비증가율 감소’다. 지난 4년새 자동차 판매증가율은 32.4%에서 6.8%로 25.6%p 감소했고, 가전은 15.0%p(18.0%→3.0%), 의류는 13.2%p(24.8%→11.6%) 줄었다.



상의는 소비부진에도 대륙의 지갑을 열게 한 코리아기업의 비결을 벤치마킹해야 한다며 ‘국내 전기밥솥업체들의 성공스토리’를 소개했다. 2005년만해도 422만달러에 그쳤던 한국 전기밥솥의 중국수출은 10년새 4배가량(1,717만달러) 증가하는 폭발적인 성장을 기록했다.

한국을 방문했던 유커의 입소문과 함께 중국에는 없는 프리미엄 제품(유도가열방식 도입)을 선제적으로 내놓았다는 것. 여기에 죽을 많이 해먹는 중국인들의 식습관까지 고려한 맞춤형 밥통을 내놓은 것도 성공포인트란 지적이다.

또 투자 감속에 대비해 8조 달러에 달하는 아시아 인프라 시장도 적극 공략해야 한다고 상의는 주문했다. 상의는 “인프라 사업의 경우,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만큼 정부주도의 컨소시엄 구성이나 정책금융 지원이 필요하다”며 “동북아개발은행·아시아투자개발은행(AIIB) 구상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만큼 민·관 공조를 통해 인프라 프로젝트 수주에 적극 힘써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마지막으로 급격히 얼어붙고 있는 중국내 금융시장 여건도 국내 기업들의 대중 사업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꼽혔다. 국내 기업들은 주로 중국 현지 대리상을 통해 진출하는데, 결제방식의 60%정도가 외상거래다. 경기둔화로 중국 금융기관들이 기업금융을 더욱 조이기 시작하자 매출채권 회수에 차질을 빚으면서 중국 대리상은 물론 우리기업까지 영향일 미치고 있다.

이에 대해 상의는 “거래처의 금융리스크 관리를 한층 강화하는 동시에 압도적 품질의 제품을 내놓아야 중국의 상거래 관습을 뛰어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한 제과업체는 중국상인과의 모든 거래에서 외상을 받지 않고 물건을 지급함과 동시에 바로 대금을 지급받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중국상인들과 구축한 신뢰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 관리뿐 아니라 철저한 현지화 전략이 그 배경이란 분석이다.

전수봉 대한상의 본부장은 “중국은 인구보너스의 소멸, 제조업과 부동산 공급과잉 등 경제성장을 제약하는 요인들이 많지만, 일대일로(一帶一路) 전략, 신형도시화 등 새로운 성장동력에 대한 기대도 크다”며 “중국이 만들어가는 국제 비즈니스 환경 변화에 잘 적응하기 위해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