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전통 춤·발레 미학적 차이 느껴보세요

국립무용단·발레단 '춤, 춘향' '지젤' 국내 첫 교차 공연

버선을 본떠 만든'코슈즈', 발레용 신발'토슈즈'를 신고 표현하는 몸짓은 각각 어떤 차이가 있을까? 고상한 한복과 순백색의 튀튀(발레리나가 입는 스커트)를 입고 그려내는 춤사위는 어떤 점이 다를까?

전통 춤과 한국 발레의 미학적 차이를 느껴볼 수 있는 무대가 펼쳐진다. 국립극장이 국내 최초로 국립무용단의'춤, 춘향'과 국립발레단의'지젤'을 서울 장충동 해오름극장 무대(17∼23일)에 번갈아 올린다.

미국 메트로폴리탄 오페라극장·영국 런던 로열 오페라하우스 등 해외 대도시 유명 공연장의 경우 같은 작품을 연달아 무대에 올리지 않는다. 대부분 복수의 작품을 번갈아 올려 관객 선택의 폭을 넓혀준다. 관객은 이틀 연속 공연장을 찾아도 전날과 다른 무대를 즐길 수 있다. 그러나 국내 공연장 여건에선 쉽사리 구현해낼 수 없는 무대였다. 런던 로열 오페라하우스의 경우 30개 무대 세트를 보관할 수 있는 백 스테이지가 갖춰져 있어 다른 공연을 연달아 올릴 수 있지만 국내 극장의 상황은 이와 정반대이기 때문이다.

열악한 조건으로 그 동안 구현해내지 못했던 교차 공연을 국립극장이 선보인다. 날마다 무대를 헐고 밤샘 작업을 통해 다시 무대를 꾸며야 하는 수고까지 마다하지 않았다.



같은 무대에 오르는 국립무용단·국립발레단 각각의 작품은 모두 한 여인의 운명적 사랑을 다뤘다는 공통점이 있다. 17일·19일·23일 무대를 책임지는 국립무용단의'춤, 춘향'은 우리에게 익숙한 춘향과 몽룡의 사랑 이야기를 한국 전통 춤으로 풀어낸 작품이다. 2001년 안무가 배정혜 씨가 선보인'무용극 춘향전'을 이듬해 한태숙 연출가와 김태근 작곡가가'춤, 춘향'으로 만들었다. 계절에 따라 변하는 춘향과 몽룡의 사랑을 55명의 무용수가 화려한 몸짓으로 풀어낸다. 이 작품은 2009년 중국·홍콩·필리핀, 이듬해 미국 뉴욕 링컨센터에서 공연해 큰 호응을 끌어내기도 했다. 올해에는 국립무용단의 차세대 무용스타 장윤나와 조용진이 각각 춘향과 몽룡을 맡아 연기한다.

국립발레단은 대표 레퍼토리'지젤'을 18일·20일·22일 무대에 올린다. 사랑의 배신으로 죽음에 이른 시골 처녀 지젤이 처녀귀신 윌리가 돼서도 사랑했던 알브레히트를 지켜내는 아름다운 사랑을 그린다. 1841년 초연된 이후 지금까지도 낭만발레의 대명사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본 공연에는 국립발레단의 스타무용수가 총 출동한다. 김지영·이은원·박슬기가 지젤을, 이동훈·김기완·이영철이 알브레히트를 번갈아 연기한다. 두 작품 모두를 관람하면 30% 할인 혜택도 주어진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