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정원 타임교육 대치미래탐구 강사는 "수능의 유형이 어떻게 바뀌든지 국어영역에서 측정하는 큰 틀은 독해력과 논리적 사고력"이라며 "수시로 바뀌는 사소한 변화에 부화뇌동하지 말고 1학년과 2학년 때는 독해력과 사고력의 기본기를 향상시키는 공부를 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016년과 2017학년도 수능은 형식에서 상당히 큰 차이가 있어 보인다. 현재 예비 고2가 치르게 되는 2016학년도 수능까지는 A형과 B형이 구분되는 반면 예비 고1이 보는 2017학년도 수능부터는 A, B형 구분이 없어지고 통합되기 때문이다. 예비 고2의 경우 문·이과에 따라 별도의 준비가 필요하지만 2학년까지는 모두 어려운 B형으로 준비하는 것이 좋다. B형이 출제되는 범위가 넓기 때문에 B형을 공부한 학생들은 A형을 풀 수 있지만 A형을 공부한 학생은 B형을 모두 소화하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특히 A형과 B형의 중요한 차이는 고전문학과 고전문법인데 2학년 내신으로 배우는 문학 교과서에는 문·이과 상관없이 고전문학이 원문으로 들어가 있다. A형을 준비한다고 고전문학을 소홀히 하다 보면 내신에서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
장기 로드맵을 세웠다면 기출문제 중심으로 매일 꾸준히 공부해야 한다. 국어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서는 매일 꾸준히 공부하는 습관을 가져야 한다. 적어도 하루에 1시간은 할애해서 끊임없이 읽고 생각하는 과정을 되풀이해야 한다. 읽어야 독해력이 향상되고 문제를 풀고 분석해봐야 사고력이 향상된다.
국어 공부를 하라고 하면 뭘 해야 하는지 몰라서 방황하는 학생이 많은데 가장 좋은 교재는 수능 기출문제다. 그 다음으로 좋은 문제는 평가원과 교육청에서 실시하는 모의고사 문제다. 평가원이나 교육청 사이트에서 쉽게 다운로드할 수 있는 이 문제들은 시중에서 파는 그 어떤 문제집보다 좋다고 할 수 있다. 모의고사는 학년별로 난이도를 조절할 수 있으니 자기 실력에 맞게 선택해서 공부할 수도 있다. 고1 때는 1학년 모의고사부터 풀기 시작해서 안정적으로 95점 이상이 나오면 2학년으로 난도를 높여도 좋다. 2학년 문제도 고득점이 나온다면 3학년 문제나 수능 문제로 연습을 해도 된다.
예비 고1의 경우 기출문제 풀이와 동시에 문학작품 정리를 추천한다. 특히 현대시와 시조를 많이 공부해야 한다. 현대시와 고전 운문은 학생들이 수능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부분이다. 고등 국어에 자신감을 갖기 위해서라도 많은 작품을 접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등 내신은 중등 내신과 달리 교과서에서 배우지 않은 현대시나 시조 등의 작품이 보기나 선택지로 출제되기도 하는 만큼 필수적인 현대시와 시조를 100개 정도만 완벽히 공부해두면 고등 국어에 든든한 자산이 될 것이다. 중학교 때 배웠던 문법을 다시 한번 정리해보는 것도 좋다.
예비 고2는 본격적인 수능 준비에 들어가야 한다. 1학년 모의고사 성적이 1등급인 학생들은 난도를 높여서 2, 3학년 모의고사와 수능 문제를 분석해보는 것이 좋다. 문제만 풀고 지나가는 공부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 지문을 꼼꼼하게 분석하고 문제의 유형을 파악하며 선택지를 보고 답인 이유와 아닌 이유를 철저하게 따져봐야 한다. 특히 성적이 중위권이나 하위권에 머무는 학생들은 대부분 독해에 문제가 있는 만큼 1학년 모의고사 지문부터 다시 시작해서 독해 훈련을 해야 한다. 비문학 지문을 반복해서 읽고 단락별로 내용을 정리하는 연습을 꾸준히 하면 독해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이다. 물론 기초가 완성되면 차츰 난도를 높여가야 한다.
/김연하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