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제4의 물결 인간게놈혁명] 4. 국내의학계 현황·과제

[제4의 물결 인간게놈혁명] 4. 국내의학계 현황·과제암 유전자연구등 활발 "선진국의 60%수준" 인간 게놈 프로젝트가 발표되기를 가장 애타게 기다렸던 분야는 의학계. 이번 유전자 지도의 완성은 곧 인간의 모든 질병을 정복, 수명을 2배까지 늘릴 수 있는 「의학의 궁극적인 꿈」을 실현할 수 있기 때문이었다. 전 세계 의학자들은 게놈정보가 발표되자 마자 남 보다 한발이라도 빠른 치료법 개발을 위해 말그대로 「총성없는 전쟁」에 돌입한 상태. 국내의 김규찬(金圭燦·국립보건원 특수질환부 종양연구과장)박사는 『인간 게놈정보가 공개되고 유전자의 기능이 밝혀지면 생로병사 전과정이 어떤 프로그램을 거쳐 진행되는 지 낱낱이 드러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에서는 96년 이후 한국인에게 많이 발생하고 있는 암과 관련해 유전자 정보를 해석하는 연구가 활발해지기 시작했다. 지금까지는 소규모로 이뤄지면서 한계를 보이고 있으나 이미 위암 관련 유전자 3~4개와 간암과 관련 20여개의 유전자를 발견, 현재 유전체 분석과 기능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이 분야에서는 게놈의학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수 있을 정도로 상당한 진척을 보이면서 『뒤늦게 출발한 한국이 게놈관련 전쟁에서 살아남을 유일한 길은 선진국에서 소외되고 있는 특정분야를 설정, 집중하는 것』이란 평가도 나오고 있다. 암 분야와 함께 단일 염기다형성(SNP)에 의한 개체변이 분석이 삼성의료원 임상병리학과·현대중앙병원 소아과·세브란스병원 소아과·아주대병원 소아과 등에서 임상과 함께 연구되고 있다. 또 다음달 국내 생명공학자들은 위암과 간암의 조기진단과 치료법을 개발하기 위해 게놈기능분석을 이용한 신유전자기술개발사업에 본격 착수한다. 이번 사업은 10년간 총 1,700억원이 투입, 약품개발에 쓸수 있는 신약후보물질 5종 발굴과 진단 치료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목표다. 인간유전체사업단의 김용성(金溶聲) 박사는 『게놈관련 국내 연구수준은 선진국의 60%선』이라며 『한국인 특이체질 분석과 호발성 질환 등 「틈새」에 집중한다면 자금과 기술의 열세를 충분히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포스트 게놈시대(POST GENOME ERA)에 가장 먼저 상용화가 가능한 분야는 바로 「DNA 칩」. 지난 98년 미국에서 처음으로 제품화된 DNA 칩은 인간의 유전정보인 DNA를 컴퓨터의 반도체 칩 기술을 응용해 우표크기 정도의 판(板)위에 심어놓은 장치. 이 칩에 환자의 혈액이나 조직에서 추출한 DNA 샘플을 반응시켜 몇시간안에 질병의 유무와 이상유전자 등을 밝혀낼 수가 있는 것이다. 아울러 게놈의학의 만개는 병원과 의사의 역할이 지금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일 것으로 전문가들은 전망한다. 서정선(徐廷渲) 서울대 의대 교수는 『앞으로는 게놈정보를 이용치 않고서는 의학적 판단이 불가능해지는 정보의학으로 변화될 것』며 『전문성보다는 정보가 더 중요해져 의사의 역할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徐 교수는 또 『집단투약도 개별진단 치료로 바뀌며 질병진단에 DNA 칩 등이 사용돼 대규모 시설이나 장비를 가진 종합병원이 더이상 의미가 없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유전자 정보를 이용한 질병의 치료가 일반화되면 「산업의 지도」도 역시 대폭 바뀔것으로 점쳐진다. 徐 교수는 『무병장수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크게 늘어 헬스케어와 관련된 보건의료 비즈니스가 그 어느 분야보다도 유망사업으로 부상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우리 보다 한참 앞서 관련연구를 진행해온 선진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시스템 구축과 다각적인 지원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개별의학과 맞춤의학의 실현은 오로지 신속한 정보축적과 방대한 정보에서 유용한 정보를 찾아내는 정보분석력에 좌우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의료, 생물, 정보, 통계, 전산, 반도체 등 다양한 학문과 기술 분야의 전문가들이 협력해 연구를 진행할 시스템을 하루빨리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게놈의학은 급변하는 상황에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 정형화된 정부의 계획도 중요하나 다양한 창의성이 현실화될 수 있게 바이오 기업이나 벤처 등 민간의 참여 유도와 이에 대한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다. 김태현기자 THKIM@SED.CO.KR 입력시간 2000/06/29 19:29 ◀ 이전화면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