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기업이 기획하는 자유공모형 연구·개발(R&D)을 현재보다 20% 가까이 늘려 기술 상용·사업화 비율을 높이기로 했다. 또 현장실습을 시행하는 대학 수를 2020년까지 4배 이상 늘려 과학기술 인재의 창업·취업 역량을 강화할 계획이다.
미래창조과학부는 7일 열린 국가과학기술심의회(국과심)에서 이 같은 내용을 핵심으로 한 '제3차 과학기술 인재 육성·지원 기본계획'과 '제3차 연구성과 관리·활용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자유공모형 과제 확대로 정부 R&D에서 기업의 입지를 확대한다. 그 동안 대학·공공기관에서 이뤄지는 연구가 기업 현장과는 동떨어진 경우가 많다는 점이 고질적인 병폐로 지적돼 왔는데, 이를 완화하기 위해 R&D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이다. 세부적으로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 33%에서 2020년까지 50%, 중소기업청은 62%에서 80%까지 자유공모제 과제를 늘릴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이 보유한 연구장비를 중견·중소기업이 공동활용하는 비율도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과학기술 인재의 취업·창업 역량 강화를 위해서는 일·경험 기회를 넓힐 수 있는 산업현장 실습(IPP) 프로그램 시행 대학 수를 2015년 13개에서 2020년 60개로 증가시킬 계획이다. 또 중·고교-대학(창업학위과정 도입 등)-재직자·예비창업자 등으로 이어지는 생애주기별로 맞춤형 기술창업 교육 체계를 마련하며, 전국 17개 시·도에 개소한 창조경제혁신센터 내 고용존(zone)과 연계해 일자리 발굴과 중개에 나서기로 했다.
과학인재 양성과 더불어 전·현직 과학기술인에 대한 지원도 현행보다 늘어난다. 현재 사학연금에 비해 87% 수준인 과학기술인 연금을 2018년까지 90%까지 높인다. 또 과학기술인 재교육을 위한 '과학기술인 경력개발센터'도 설치된다.
한편 이날 국과심은 올해부터 2018년까지 이어지는 정부 R&D 중장기 투자전략 역시 확정했다. 정부는 △ICT·소프트웨어(SW) △생명·보건의료 △에너지·자원 △소재·나노 △기계·제조 △농림수산·식품 △우주·항공·해양 △건설·교통 △환경·기상의 9개 기술분야를 정하고, 다시 분야별 세분 기술을 지정해 집중 투자한다는 계획이다. /조양준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