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청이 창업 3년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는 ‘창업 맞춤형 사업’이 고용창출 효자노릇을 톡톡히 하고 있다.
중기청은 창업 3년 미만 기업의 생존율을 높이고 우수제품의 상품화를 유도하기 위해 대학, 투자기관, 연구소 등과 연계해 신생기업의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올해에는 400개사를 선정해 223억원을 투입하게 된다.
개별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R&D)과 투융자, 마케팅 등에 최대 2,500만원을 지원하고 사업모델(BM)개발, 아이템 개발, 시장진입 등에 대해 멘토링이나 액셀러레이터가 필요할 경우 1,000만원을 지원한다. 연구원 특화분야 창업기업으로 선정될 경우에는 지식재산권 취득과 인증비용 등에 1,000만원을 추가로 투입하게 된다.
아울러 창업기업의 성과를 견인하기 위해 자금조달, 유통채널 진출, 글로벌시장 개척 등 후속지원도 마련될 예정이다.
주관기관은 대학(14개), 투자회사(2개), 기술지주회사(1개), 연구기관(15개) 등 모두 32개다. 특히 올해부터 창업기업은 창업 맞춤형 사업의 32개사 주관 기관 특화분야별 프로그램 중에서 창업기업의 사업 아이템 특성에 맞는 프로그램을 직접 선택해 신청할 수 있다.
특화분야를 보면 정보통신이 37.5%로 가장 많고 전기전자(18.7%), 기계재료(15.6%), 생명식품(15.6%), 환경에너지(6.2%) 등의 순이다.
창업맞춤형사업은 2012년 도입돼 일자리 창출에 상당한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2년부터 지난해까지 4년 동안 3,106억원의 매출을 달성했으며 5,399개의 일자리를 새로 만들었다. 39세 이하 기업 대표가 절반에 육박하는 48.8%에 달하는 등 청년 창업 열기를 이끌었다는 평을 얻고 있다.
지난해까지 총 1,722억원의 예산이 투입됐으며 사업신청 경쟁률도 평균 4.3대 1을 나타냈다. 1차 서면평가에 이어 주관기관이 관찰식 멘토링을 통해 꼼꼼하게 2단계 평가를 하고 최종 선정업체를 발표하게 된다. 평가위원 풀(pool)이 2,000명에 달할 정도로 평가 과정은 공정하고 객관적이다.
기술력, 사업성 중심의 기존 평가 방식에서 벗어나 수출역량, 고용창출 능력 등을 평가항목에 포함시켰으며 평가위원장도 호선이 아니라 사전지정제를 도입해 전문성을 높였다. 특히 부실·편중 평가를 선제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기업이 위원들을 평가하는 ‘역 평가’ 제도를 도입했다.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은 케이스타트업(K-startup) 홈페이지(www.k-startup.go.kr)를 통해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모집은 작년과 같이 수시로 진행된다. 주영섭 중기청장은 “기술력으로 무장한 창업기업을 육성하는 것은 대내외적인 위기로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우리 경제에 혁신의 바람을 불어넣게 될 것”이라며 “내수 위주의 아이디어 창업에서 우수 기술인력이 적극 참여하는 해외시장지향형 기술창업으로 정책 혁신을 유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서정명기자 vicsj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