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정책에 직격탄을 맞은 두산그룹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발전 확대 기조를 유지하는 가운데 그나마 남은 연료전지 분야마저 소외돼 그룹 주축인 발전사업의 위기가 심화하는 모양새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두산중공업의 지난해 수주 실적은 지난 2016년 9조534억원에서 지난해 5조510억원으로 급감했다. 당초 목표치로 내세웠던 10조6,000억원의 절반을 겨우 넘은 수치다. 나이스신용평가와 한국신용평가도 일제히 신용등급을 ‘A-(부정적)’에서 ‘BBB+(안정적)’로 내렸다. 두산중공업의 앞길이 순탄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업계 관계자는 “두산중공업이 그룹 전체 매출에서 30%를 차지할 정도로 비중이 만만찮은데 부진을 면하지 못하고 있어 시장에서 매각설이 심심치 않게 흘러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두산중공업의 이 같은 부진은 발전 분야에서 거듭 난항을 겪고 있는 탓이다. 글로벌 발전 시장 불황 탓에 해외 수주가 여의치 않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정부의 탈원전·탈석탄 에너지 정책 추진에 따라 국내 시장에서 활로를 모색하기도 쉽지 않다. 신고리원전 5·6호기 공사 진행은 재개됐으나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신규 원전 건설계획은 백지화됐다.
이처럼 정부 정책으로 타격을 입은 두산그룹은 친환경 에너지를 통해 이를 극복할 계획이다. 두산그룹은 원전·석탄 외에도 신재생에너지 연계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사업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연료전지 부문의 경우 지난해 5월 전라북도 익산시에 약 400억원을 투자해 연료전지 생산공장을 건설하는 등 공을 들이고 있다.
하지만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기조 속에도 탈원전·탈석탄 정책으로 인한 피해를 만회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정부는 오는 2030년까지 발전량의 20%를 재생에너지 전원으로 대체하겠다는 ‘재생에너지 3020’을 발표했다. 하지만 정작 내용을 뜯어보면 연료전지 등 에너지에 대한 언급은 빠져 있다. 두산그룹 관계자는 “연료전지 부문과 달리 태양광과 풍력 부문 정책적 지원은 충분하다”며 “계열사인 두산중공업이 해상풍력발전 실적을 보유한 유일한 기업인 만큼 수혜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현실과 맞지 않는 제도도 골칫거리다. 발전용 가스요금 적용은 100㎿ 이상 대형 발전소에만 적용되고 연료전지발전에는 상대적으로 12% 이상 비싼 열병합발전용이나 가정용 가스요금이 적용된다. 업계 관계자는 “연료전지에 쓰이는 수소 80%는 화석연료인 액화천연가스(LNG)·액화석유가스(LPG) 등 가스에서 추출한다”며 “이 때문에 연료전지를 여전히 친환경에너지로 보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구경우·김우보기자 bluesquar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