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방송학회, 한국심리학회가 21일 개최한 ‘유튜브와 정치 편향성 그리고 저널리즘의 위기’ 세미나에서 이상우 연세대 정보대학원 교수는 20~60대 연령의 국내 뉴스 소비자 555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한 결과 유튜브에서 허위 정보로 판단되는 정보를 접했다고 답한 비율이 19%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그 다음 순서로는 주위 사람(응답률 18%), TV방송뉴스(〃15%), 인터넷검색(〃14%), 페이스북 및 카카오스토리와 같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9%), 카카오톡 및 페이스북 등 모바일 메신저(〃8%)가 꼽혔다.
이 교수는 또한 유튜브를 허위조작정보가 가장 많이 유통되는 경로로 꼽은 응답자가 22%였다고 전했다. 그 다음은 주위 사람(〃15%), 페이스북(〃12%), 카카오톡을 비롯한 메신저(〃12%), TV방송 뉴스(〃12%), 인터넷 뉴스(〃11%) 순서였다. 이런 가운데 지난해 유튜브를 통해 뉴스 관련 영상을 본 비중이 한국인의 경우 40%에 달해 조사대상 38개국중 4위를 기록했다는 로이터 저널리즘연구소의 분석자료도 이날 세미나에서 소개됐다. 38개국 평균은 26%였다.
최홍규 EBS 미래교육연구소 연구위원은 유튜브 정치뉴스가 편파적이었다고 생각했던 사람도 유튜브 이용량이 증가할수록 신뢰하게 되더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해당 연구는 19~75세 성인들을 대상으로 보수성향 콘텐츠 10개, 진보성향 10개를 노출시키는 방식으로 이뤄졌다.
다만 이날 세미나에선 가짜뉴스에 대한 법적 규제에 대해 신중론이 제기됐다. 김현경 서울과기대 IT 정책전문대학원 교수는 현행 법에서도 심각한 허위 정보를 규제할 수 있는 만큼 가짜뉴스에 대한 규제는 신중히 논의돼야 한다는 의견을 냈다. /민병권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