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한 일본 도요타자동차의 노동조합이 사측에 성과대로 임금을 받겠다고 제안해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업황 악화로 고전하고 있지만 임금을 더 달라며 부분 파업을 진행 중인 국내 자동차 노동조합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일본 교도통신은 26일 “도요타 노조가 내년 봄 회사에 자발적으로 임금체계를 개편을 요청, 성과 연봉제를 도입하자고 제안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일본 경제지 닛케이에 따르면 개편안의 핵심은 성과 기반이다. 5단계(A~E)로 나뉜 개인 평가 결과를 그대로 임금 인상에 적용하겠다는 것이다. 노조 측은 경쟁력 향상을 위한 차등 지급을 불가피한 조치로 보고 있다.
도요타는 지난 상반기(4~9월) 역대 최대 규모 순이익인 13조5,000억원을 기록하며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다. 하지만 노조가 앞장서 임금 제도까지 바꾸려 하는 것은 자동차산업을 둘러싼 급격한 변화가 이유다. 이른바 CASE(커넥티드카·자동운전·공유·전동화)로 대변되는 차세대 기술 대응, 글로벌 정보기술(IT) 업체와 인재 쟁탈 격화 등이 위기감의 배경이다. 자율주행차 등 미래 자동차를 준비해야 하는 차 산업 대 격변기에 사측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노조가 먼저 나선 것이란 해석이다. 도요타는 최근 57년간 노조가 파업을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있다.
반면 국내 자동차 업계 노조는 파업을 이어가는 모습이다. 한국GM은 지난 5년간 4조4,000억원에 달하는 적자에도 올해 1인당 성과급 1,600만원을 요구하며 총파업을 한 바 있다. 르노삼성 노조 역시 회사가 적자 전환할 상황에도 파업을 벌이고 있다. 기아차 노조는 임단협 노사 잠정합의안이 부결되자 18∼19일, 24일 부분파업을 했다. 현대차에선 ‘근무 중 와이파이 제한 조치’를 둘러싸고 노사가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현대차 경영진은 안전사고 예방 차원에서 식사시간과 휴식시간에만 와이파이를 사용하길 원하지만, 노조는 단체협약 위반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현대차의 지난 7~9월 영업이익률은 1.2%였다. 같은 기간 도요타의 영업이익률은 7.9%로 현대차보다 6.6배 높았다. 올해 11월까지 국내 자동차 생산량은 361만3,077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6% 줄어든 바 있다. 올해 생산량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만에 처음으로 400만대를 넘기지 못할 것이란 전망이다.
/강도원기자 theone@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