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일명 우한폐렴)에 대응해 신속진단제와 인공지능(AI)으로 기존 약물을 활용한 치료제를 조기에 개발하기로 했다. 위해도 평가를 위한 바이러스 특성 연구, 발생지 역학 정보와 자원 수집·제공을 위한 연구에도 착수하기로 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질병관리본부는 6일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를 개최해 기존 연구개발(R&D) 과제가 기획부터 착수까지 1~2년이 소요되는 것에 비해 신속히 연구개발에 들어갈 수 있도록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에 들어가기로 했다. 이렇게 되면 2월 중 연구기관과 연구책임자를 선정, 과제당 연 2억5,000만원씩 최대 2년 간 지원할 수 있게 된다. 올해 긴급대응 사업의 예산은 50억원이며 이 중 10억원을 신종 코로나 연구에 지원한다.
세부적으로 보면 면역학적 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진단검체 전처리, 항원 진단기술, 시약개발과 임상학적 성능평가를 통해 현장에서 신속히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신속진단제를 들 수 있다. 현재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치료제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가 있는 약물을 AI를 활용해 신속히 선별해 시급히 치료제를 확보하는 것도 중요하다.
바이러스의 성장 특성, 병원성·감염력, 항원성·면역력 등을 분석해 방역당국에 신속히 정보를 제공하고 처치와 치료제 개발에 활용하는 연구도 긴요하다. 국내·외 발생 지역의 감염 발생률과 분포율을 분석·예측하고 해외 바이러스 R&D 네트워크 정보를 제공하는 것도 주요 연구 과제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과학기술 역량을 총체적으로 활용해 필요한 기술을 신속히 개발하고 질병관리본부 등과 긴밀히 협력해 현장에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최원호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이날 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방역대책본부 브리핑에 참석해 “개발 시기를 말하긴 쉽지 않지만 시일내 성과가 나올 수 있게 연구진과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고광본 선임기자 kbgo@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