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일절 배출하지 않는 ‘그린수소(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얻는 방식)’ 생산을 통한 수소경제 확대에 팔을 걷어붙인다. 정부는 또 석유화학·플랜트 산업 기반의 그레이·블루수소 등을 바탕으로 친환경 에너지 기반의 산업 생태계도 구축해나갈 방침이다. 다만 그린수소의 높은 생산원가를 감안하면 24시간 상시 가동하면서도 발전 단가가 낮은 원자력 활용이 필수라는 지적이 제기된다.
28일 산업통상자원부 등 관계 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르면 오는 9월께 그린수소 활성화 방안 등이 담긴 ‘수소경제 2.0’ 로드맵을 공개할 방침이다. 해당 로드맵에는 수소경제를 위한 관련 충전소 및 발전소 구축 계획 외에 호주나 미국 등 수소 부문 ‘규모의 경제’를 갖추고 있는 국가에서 수소를 저렴하게 조달해오는 방안도 담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태양광 등 신재생발전 사업자가 개별 운영 중인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전력 계통 안정망 강화 차원에서 한곳으로 통합해 이를 수소 생산 등에 전력원으로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북한에 가로막혀 여타 국가와 전력망이 어이지지 않은 한국의 ‘전력 고립’ 상황을 감안해 원전을 활용한 수소 생산에 적극 나서지 않을 경우 ‘에너지 자립’이 불가능할 것이라는 지적도 제기된다. 이 같은 원전 기반의 수소경제 활성화 방안은 해외에서 이미 적극 추진되고 있다. 미국 에너지부가 지난해 공개한 ‘수소 프로그램 계획’에 따르면 미국 측은 원전을 통해 생산되는 그린수소 가격을 1㎏당 2달러 수준까지 낮출 방침이다. 영국 원자력산업협회는 2050년까지 12~13GW 규모의 원자력발전을 활용해 연간 75TWh급의 수소를 양산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전문가들은 초고온가스로(HTGR)나 소형모듈원자로(SMR)를 활용한 수소 생산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정용훈 KAIST 원자력 양자공학과 교수는 “현재 탄소 없는 발전 방식은 신재생에너지와 원자력뿐이지만 신재생은 기후나 날씨에 따른 발전량 변동 폭이 크기 때문에 ‘그린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해서는 원전이 필수”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