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3년만에 개막한 베니스비엔날레

[베니스비엔날레 개막]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미술제

본전시 이미래,정금형…한국미술의 미래

한국관 국가대표 김윤철…음악,과학 융합

5·18특별전…미학적으로 본 한국의 역사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미술제인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가 20일(현지시간) 미술계 관계자들 및 언론을 대상으로 사전 공개됐고 23일 공식 개막해 11월 27일까지 열린다. /사진제공=베니스비엔날레재단




세계 최고 권위이자 최대 규모의 국제 미술행사인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 미술제가 20일(현지시간) 카스텔로 자르디니와 아르세날레 전시장에서 미술계 관계자와 언론을 대상으로 베일을 벗었다. 지난 1895년 처음 개최돼 2년에 한 번씩 열리는 ‘비엔날레’의 원조가 된 베니스비엔날레지만 코로나19의 타격으로 3년 만에 막을 올렸다. 오는 23일 공식 개막해 11월 27일까지 7개월의 대장정을 펼칠 예정이다. 최근 글로벌 아트신에서 한국 현대미술의 위상이 눈에 띄게 부상하는 가운데,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한국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두루 살펴볼 수 있는 전시들이 열려 주목을 끈다.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미술제인 제59회 베니스비엔날레가 20일(현지시간) 미술계 관계자들 및 언론을 대상으로 사전 공개됐고 23일 공식 개막해 11월 27일까지 열린다. /사진제공=베니스비엔날레재단


◇본전시 이미래·정금형의 ‘미래’

이번 베니스비엔날레는 뉴욕 하이라인파크의 예술총괄 큐레이터인 체칠리아 알레마니(Cecilia Alemani)가 예술 총감독을 맡아, 초현실주의 여성화가 리어노라 캐링턴(1917~2011)의 책에서 따온 ‘꿈의 우유(The Milk of Dreams)’를 제목으로 택했다. 알레마니 총감독의 주제의식이 집중적으로 투영되는 본전시 참여작가 213명 중 한국작가로는 정금형(42)과 이미래(34)가 이름을 올렸다. 옛 조선소이자 무기공장이었던 아르세날레의 붉고 낡은 벽을 배경으로 놓인 이미래의 설치작품은 동물의 내장을 뽑아 휘감아 놓은 듯한 형상으로 관람객의 시선을 장악한다. 젊은작가 이미래는 ‘곱고 예쁜 작품’을 선보인 적 없다. 그는 인간이나 동물의 기관을 떠올리게 형태로 기괴하게 움직이는 특유의 ‘개념적 조각’으로 일찍부터 주목받은 한국 현대미술의 ‘미래주자’다.

‘에르메스 미술상’ 수상작가인 정금형은 일상적인 사물을 본래의 용도에서 분리해 마치 생명체처럼 대하며 벌이는 독창적 퍼포먼스로 유명하다. 둘의 공통점은 생명체와 인간행위에 대한 재정의로 △신체의 변형 △개인과 기술의 관계 △신체와 지구의 연결이라는 본전시의 주제를 정확히 꿰뚫는다. 비엔날레 본전시는 일정 수준 이상의 명성을 확보한 작가들이 초청되던 통념이 있었으나, 이번에는 180명이 비엔날레에 처음 참가한 새 얼굴일 정도로 전복적이며 미래지향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대표작가 김윤철의 '채도(Chroma)' /사진제공=한국문화예술위원회


◇한국관 김윤철의 ‘현재’

한국문화예술위원회가 운영하는 한국관의 작가는 전자음악과 움직이는 기계조각의 김윤철이다. 베니스비엔날레는 과거 민족주의와 제국주의가 위용을 떨칠 때 ‘국가관’ 제도를 만들었다. 각 국가관 대표작가는 현재 가장 왕성하게 활동하는 ‘국가대표’인 셈이다. 김 작가는 윌리엄 버틀러 예이츠의 시(詩) ‘재림’에서 나선이라는 주제어를 제안했고 “지금같이 혼란스러운 상황과 도래하는 우리 시대의 부풀은 경계를 상징한다”고 밝혔다. 신작 3점을 포함해 총 7점의 설치작품이 공개됐다. 우주 입자가 지구 대기권에 충돌할 때 생성되는 뮤온 입자를 실시간 검출하고 그 신호가 마치 심장박동처럼 작동해 작품을 움직이게 하는 ‘백 개의 눈을 가진 거인’, 금속광이 물고기 비늘처럼 반짝이는 대형 신작 ‘채도’는 물리 알고리즘에 의해 수학적으로 생성된 매듭이 미세하게 움직일 때마다 382개 셀의 밝기와 색이 변화한다. 1995년 백남준의 영향력으로 건립된 원통형, 유리벽 구조의 한국관 지붕을 처음으로 뜯어낸 채 작품을 설치해 눈길을 끈다. 한국관을 하나의 육체로서 상상하고 작품을 배치하기 위해 과감한 시도를 강행했다. 예술감독 선정 과정의 논란, 예술감독이 작가를 선택하는 구조적 문제로 인한 감독과 작가 간의 갈등이 불거졌고 ‘커미셔너’임에도 이를 무마하기 급급했던 문예위의 한계가 도마 위에 올랐지만 전시는 무사히 막을 올렸다.

518민주화운동 특별전 ‘꽃 핀 쪽으로’가 이탈리아 베니스 스파지오 베를렌디스 전시장에서 20일 개막하고 222일 대장정을 이어간다. 사진은 전시 설치 전경


◇새로운 맥락으로 새로 본 ‘과거’

세계 미술계가 집중하는 베니스 비엔날레에서 5·18민주화운동의 가치를 미학적으로 재조명한 특별전 ‘꽃 핀 쪽으로’(to where the flowers are blooming)가 20일 스파지오 베를렌디스 전시장에서 개막했다. 전시 제목 ‘꽃 핀 쪽으로’는 작가 한강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제6장 소제목에서 따왔다. 어두운 상처에서 밝게 꽃 핀 쪽으로 이끄는 내용처럼 역사의 아픔을 치유하고 미래 지향적 담론을 되새기자는 뜻으로 국내외 작가 11명이 참여했다. 광주비엔날레재단이 5·18민주화운동 40주년이던 2020년에 기획해 서울·광주와 타이베이,쾰른의 순회전을 거쳐 베니스에 이르렀다. 시민들의 연대를 보여주는 홍성담의 ‘오월 판화집-새벽’이 새로이 제작됐다. 광주 망월동 옛 묘역을 촬영해 색이 바래가는 영정사진을 통해 과거와 현재의 시간을 연결하고 그 과정에서 잊히는 것과 기억되는 것들을 질문하는 노순택의 ‘망각기계’ 등을 만날 수 있다. 베니스비엔날레가 끝나는 11월 27일까지 열린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