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중국과 무역 협상을 시작한다는 기대감으로 뉴욕증시는 상승마감했다.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이날 금리를 동결했으며 앞으로도 한동안 금리 관망기조(wait-and-see) 기조를 유지할 것이란 방침을 밝히면서 주가가 한 때 하락했지만 시장은 무역 전쟁이란 큰 틀의 개선 가능성에 더욱 주목했다.
7일(현지 시간)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284.97포인트(+0.70%) 오른 4만1113.97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은 24.37포인트(+0.43%) 상승한 5631.28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48.50포인트(+0.27%) 오른 1만7738.16에 장을 마감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날 하원 금융서비스 위원회에 출석한 자리에서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될 예정인 중국과의 통상 문제 협상과 관련 “협상은 토요일(10일) 시작된다”라고 확인했다. 그는 “협상은 나와 무역대표부(USTR)의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가 이끌 것”이라고 말했다.
연준은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를 현행 4.25~4.5%로 유지했다. 연준은 지난해 9월 이후 3차례 연속 인하 한 후 올 들어서는 3회 연속 동결했다. 연준은 FOMC 정책 결정문에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Further) 확대 됐다”고 밝혔다. 직전 FOMC에서도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는 점을 지적했지만 연준은 이번 정책결정문에서 ‘더욱’ 이라는 표현을 추가했다.
파월 의장은 이어진 기자 회견에서 “지금의 경제 상태를 보면 고용시장은 견고하고 인플레이션은 낮은 수준에 있기 때문에 경제 상황 변화를 지켜볼 여유가 있다”며 “지금 당장 기다림에 따른 실질적인 비용은 없다”며 당분간 금리 관망 기조를 이어갈 것임을 밝혔다.
이날 늦게 트럼프 대통령이 일부 AI 관련 칩 판매에 대한 바이든 행정부의 규제를 일부 철회할 수 있다는 블룸버그 로의 보도도 막판 증시 상승을 이글 었다. 블룸버그 로(Bloomberg Law)는 이번 조치가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지만 “주요 기술 기업과 외국 정부의 강력한 반대에 부딪혀 온 반도체 거래 제한을 개정하는 것”이라고 보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