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과 일부 공공택지 아파트에만 청약자가 몰리고 그 외 지역은 청약 미달이 속출하며 양극화가 커지고 있다. 강남 지역 아파트는 1순위에서 세자릿수 경쟁률을 보이며 마감되지만 지방 아파트는 2순위 접수에도 청약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
8일 부동산R114와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올해 1~4월 청약을 받은 전국 43개 아파트 단지 가운데 1순위 마감에 성공한 곳은 17곳으로 전체의 40%에 못 미쳤다. 2순위에서 청약 미달이 발생한 곳도 절반에 가까운 21곳에 달했다.
서울 쏠림 현상에 따른 양극화는 더욱 극심해졌다. 2월 서울 서초구 방배동에서 분양된 ‘래미안 원페를라’는 1순위 평균 경쟁률이 151.62대 1에 달할 정도로 인기를 끌었으나 지방 아파트는 상당수가 2순위 청약에서도 모집 가구 수를 채우지 못했다. 높은 시세차익 보장되는 일부 ‘무순위 청약’ 물량에만 청약자들이 몰린다.
이런 가운데 예상치 못한 대통령 탄핵과 조기 대선 등 정치적 변수까지 겹치며 건설사들은 분양 일정 조정에 애를 먹고 있다. 이달 12일부터 본격적으로 정당들의 대선 홍보가 시작되면서 이달 분양 예정 물량 가운데 6월 이후로 연기되는 곳도 많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쌍용건설이 이달에 부산 동래구 온천동과 부산진구 부전동에 각각 공급할 예정이던 쌍용 더 플래티넘 아파트는 6월 이후로 분양 일정이 연기됐다. HDC현대산업개발의 안양시 만안구 박달동 재건축 사업인 '호현 센트럴 아이파크'도 분양 일정이 6월로 미뤄졌다.
다만 포스코이앤씨가 대구 수성구 범어동 옛 대구 MBC 부지에 짓는 '어나드범어'는 일단 5월 말 예정대로 분양에 들어간다는 계획이다. 이 아파트는 예상 분양가가 3.3㎡당 4000만∼4500만원으로 대구지역 역대 최고가가 될 전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