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가계대출 증가 폭이 다섯 달 만에 다시 5조 원을 넘어섰다. 연초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에 따른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이어진 데다 신용대출도 늘어났다. 금융 당국은 대출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과 7월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대출 수요가 증가할 수 있다고 보고 대응에 나섰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말 현재 은행권의 가계대출(정책대출 포함) 잔액이 1150조 1000억 원으로 전월 말보다 4조 8000억 원 증가했다고 14일 밝혔다. 지난해 9월(5조 6000억 원) 이후 7개월 만의 최대치다.
2금융권은 5000억 원이 늘면서 증가세로 전환했다. 저축은행과 보험의 가계대출이 각각 4000억 원, 1000억 원 증가했다. 카드와 캐피털사 같은 여신전문금융사는 1000억 원 줄면서 전월(-9000억 원)에 비해 감소 폭이 축소됐다. 2금융권은 3월에 가계대출 잔액이 9000억 원 감소한 바 있다.
은행과 2금융권을 더한 전 금융권 가계대출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올 들어 △1월 -9000억 원 △2월 4조 2000억 원 △3월 7000억 원 △4월 5조 3000억 원 등이다. 대출 종류별로는 전 금융권의 주담대가 한 달 새 4조 8000억 원 늘어났고 신용대출도 1조 2000억 원이나 증가했다.
시장에서는 3월 말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확대 재시행되면서 가계대출도 시차를 두고 점차 진정될 수 있다고 보면서도 이달까지는 가계대출이 상당 폭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금융위원회는 “연간 가계대출 증가 관리 목표 내에서 현재 수준은 통제 가능하다”면서도 “5월 가정의 달을 맞은 자금 수요와 7월 예정된 DSR 규제 확대 시행을 앞둔 선제 대출 수요, 금리 인하 기대감 등으로 대출 증가세가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이어 “관계기관 간 공조를 통해 월별·지역별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금융회사들이 자율적으로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도록 유도해 관리해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