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과 상용화를 위해 정부가 생태계 구축에 앞장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재권 에이로봇 최고기술책임자(CTO)는 28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열린 ‘서울포럼 2025’의 ‘초인간 혁명: 휴머노이드의 시대로’ 패널 토론에서 “휴머노이드 발전에 있어 정부의 역할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며 “기업이 혼자 감당하기 힘들기 때문에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 CTO는 휴머노이드 로봇을 교육시키기 위해 필요한 그래픽처리장치(GPU) 확보부터 미국·일본 등 다른 국가와의 접점 확대, 인프라 구축까지 모든 부문에서 정부의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한 CTO는 “한국은 앞서 부산항을 만들어서 수출에 주력하고 초고속 인터넷 망을 구축해 정보기술(IT) 혁명을 완수했다”며 “정부가 AI와 휴머노이드를 위한 인프라를 만들어야 한다”고 짚었다.
특히 단순히 데이터센터를 확보하는 것을 넘어 ‘인공지능(AI) 팩토리’라고 불리는 생태계를 국내에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력망부터 통신망, GPU 관련 기업까지 AI와 휴머노이드 로봇 발전에 필요한 모든 산업이 한 곳에 집중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최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데이터센터는 이미 옛말이고 AI 팩토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며 “이미 대만 정부는 엔비디아와 협력해 이를 추진하고 있다”고 꼬집었다.
한 CTO는 이미 한국이 미국·중국 등 다른 국가에 비해 뒤처져 있다는 점에 대해서도 우려 섞인 시선을 드러냈다. 그는 “우리나라 얘기를 하면 한숨부터 쉬게 된다”며 “미국은 매일 신기한 기술을 공개하고 중국의 성과를 봐도 매우 놀랍다”고 말했다. 게다가 대만의 경우 엔비디아가 본사 이전까지 고려하고 있는 만큼 한국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이라 게 한 CTO의 진단이다.
다만 지나치게 부정적인 태도에 대해서는 경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는 “한국은 손에 꼽히는 제조업 강국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을 투입할 수 있는 현장이 굉장히 많다”며 “이걸 잘 활용하면 실질적인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힘줘 말했다.
이어 “한국은 로봇 분야에 저력이 갖춰져 있는 나라”라며 “새로운 시장을 만들겠다는 창의적 도전을 한다면 빠르게 앞서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러면서도 “휴머노이드 로봇을 산업 현장에 투입할 수 있도록 기반 마련에 정부의 역할이 매우 중요한 시점이다”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