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분기 출생아 수가 10년 만에 증가세로 돌아섰다. 증가율 역시 통계 작성 이후 44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해 초저출산 흐름에 변화 조짐이 나타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28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3월 인구동향’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출생아 수는 6만 5022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했다. 분기 기준으로 출생아 수가 늘어난 것은 2015년 1분기 이후 10년 만이며 증가율(7.4%)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1년 이후 역대 가장 높은 수치다. 같은 기간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동안 낳는 아이의 수) 또한 0.82명으로 전년 동기(0.77명) 대비 0.05명 상승했다.
월간 출산율 추이도 긍정적이다. 3월 출생아 수는 2만 1041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8% 증가했는데 2015년 이후 10년 만의 첫 반등이다. 또 3월 기준으로 1993년 이후 32년 만에 최대 증가율(6.8%)을 기록했다.
출산율 반등의 주요 원인으로 혼인 건수의 증가가 지목된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혼인 건수는 5만 8704건으로 전년 동기보다 8.4% 증가했다. 3월 혼인 건수 역시 1만 9181건으로 1년 전보다 11.5% 늘면서 지난해 4월부터 12개월 연속 증가했다.
특히 1980년대 후반이나 1990년대 후반에 비해 인구가 더 많은 1990년 초·중반생(1991~1996년생)이 결혼 적령기인 30대 초반에 접어들면서 혼인도 함께 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통계청 관계자는 “1990년 초반생 인구가 결혼 적령기에 진입하면서 혼인 건수가 급증하고 있다”며 “코로나19 이후 변화된 결혼 인식과 맞물리면서 출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이번 출산·혼인 증가세는 팬데믹 기간 연기됐던 수요가 일부 반영된 데다 1990년대 초중반 출생자들이 결혼 적령기에 본격 진입하면서 나타난 인구구조적 요인의 영향이 크다는 분석 또한 있다. 현재의 반등이 일시적 현상에 그칠지, 지속적인 반등으로 이어질지는 여전히 불확실하다는 것이다. 박현정 통계청 인구동향과장은 “출산율 반등이 추세적 흐름으로 이어질지는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특히 1990년대생 혼인 증가에도 불구하고 출산율이 0명대에 머물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여전히 최하위권을 기록하고 있는 만큼 안정적인 주택 공급, 청년 일자리 확대 등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더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결혼과 출산에 대한 긍정 인식이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정책 효과를 체감하는 데 있어 가장 결정적인 변수는 ‘주거 안정’이기 때문이다.
실제 최근 공개된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정부의 저출생 대응 정책 가운데 인지도와 기대 효과가 모두 가장 높았던 과제는 ‘신혼·출산·다자녀 가구에 대한 주택 공급 확대’였다. 구정우 성균관대 사회학과 교수는 “출산율 반등의 모멘텀이 확보된 것은 의미가 있다”면서도 “신혼부부 특별공급이 젊은 세대의 호응을 얻고 있는 만큼 주거 안정 문제나 청년들의 일자리 문제에 더 관심을 갖고 지원하면 출산율이 더 반등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출생아 수 증가에도 불구하고 사망자 수가 더 많아 인구 자연감소는 계속됐다. 올해 1분기 전체 사망자 수는 10만 896명으로 전년 대비 8.1% 늘었다. 우리나라 전체 인구는 2019년 11월 이후 65개월째 자연감소하고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