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령(003850)이 비소세포폐암 치료제 ‘알림타(성분명 페메트렉시드)’의 자사 생산 전환을 완료했다고 9일 밝혔다. 이로써 보령은 2020년부터 추진해온 LBA(Legacy Brands Acquisition) 전략의 핵심 품목 3종 모두를 내재화하게 됐다.
LBA 전략은 특허 만료 후에도 임상적 가치를 인정받은 글로벌 오리지널 의약품의 국내 권리를 인수하고 자사 생산 체계로 전환하는 방식이다. 보령은 일라이 릴리로부터 △2020년 젬자(젬시타빈) △2021년 자이프렉사(올란자핀) △2022년 알림타 등을 순차적으로 도입했다. 이들 품목은 모두 충남 예산의 예산캠퍼스에서 생산되고 있다. 제조 및 유통 공급망을 해외에서 국내로 전환함으로써 축적된 임상 데이터와 의료진·환자의 신뢰를 유지하며 처방 연속성과 임상 경험의 일관성을 보장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약품 수급 안정화에 기여하는 전략으로 평가된다.
보령은 글로벌 기술이전 및 품질 동등성 확보 절차를 거쳐 2022년 젬자, 2024년 자이프렉사, 올해 2분기 알림타의 자사 생산 전환을 각각 마쳤다. 세 품목은 인수 이후 모두 시장에서 성장세를 이어갔다. 아이큐비아에 따르면 젬자는 인수 당시 연간 처방액 143억 원에서 지난해 295억 원으로 두 배 이상 늘었고, 자이프렉사는 2021년 이후 연평균 11% 성장하며 지난해 167억 원을 기록했다. 알림타 역시 2022년 210억 원에서 2024년 269억 원으로 약 28% 성장했다.
글로벌 수탁개발생산(CDMO) 분야로도 사업 외연을 확장하며 제조 경쟁력을 입증하고 있다. 예산캠퍼스 내 세포독성 항암주사제 생산시설은 2023년 유럽의약품청(EMA)으로부터 EU-GMP 인증을 받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 대만 제약사 로터스와 항암제 CDMO 계약을 체결했다. 해당 제품은 2026년부터 본격 수출될 예정이다.
LBA 전략의 고도화도 이어지고 있다. 보령은 인수 품목의 제형 개선을 통해 환자 편의성과 상품성을 높이는 데 주력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알림타 액상주’는 기존 분말 동결건조 제형의 불편함을 줄이고 조제 시간과 오염 우려를 개선한 제품이다. 앞서 2023년에는 ‘젬자 액상주’를 출시해 올해 상반기 기준 전체 젬자 판매의 70% 이상을 차지하기도 했다.
김정균 보령 대표는 “보령의 LBA 전략은 단순한 품목 인수를 넘어 제조 인프라와 R&D 역량을 활용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성장 전략”이라며 “앞으로도 글로벌 오리지널 품목을 적극적으로 확보하고 자사화 및 글로벌 공급을 통해 ‘인류 건강에 꼭 필요한 기업’이라는 미션을 실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