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들의 일자리와 창업 기회가 동시에 얼어붙고 있다. 고금리와 내수 부진 속에 문을 닫거나 창업 자체를 접는 청년 사업자들이 빠르게 늘면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4일 국세청 국세통계포털 자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30세 미만 청년 가동사업자는 월평균 35만 467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1년 전보다 2만 6247명 줄어든 수치로 2017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큰 감소 폭이다.
경제 규모가 성장하면 가동 사업자 수는 대체로 증가하는 경향이 있지만 최근에는 창업보다 휴·폐업이 더 많아지는 모습이다. 실제로 청년 사업자 수는 2020~2022년 코로나19 시기에도 증가세를 보였고 2023년 고금리 여파로 폐업이 늘어나는 와중에도 분기별로 소폭이나마 증가해왔다.
하지만 지난해 하반기부터 상황이 급변했다. 2023년 3분기 처음으로 1만 9400명 감소했고 4분기엔 2만 1527명이 줄더니 올해 1분기 감소폭은 더욱 커졌다. 전문가들은 자본력과 경영 경험이 부족한 청년층이 고금리 시대에 특히 취약하다고 지적한다.
업종별로는 청년 창업이 집중된 소매업과 음식업에서 타격이 컸다. 1분기 소매업 청년 사업자는 12만 7089명으로 전년 동기보다 1만 6185명 감소했다. 이는 전체 청년 사업자 감소의 62%에 해당한다. 음식업도 같은 기간 5507명 줄어들며 관련 통계가 시작된 이래 가장 큰 감소세를 기록했다. 두 업종 모두 작년 3분기부터 분기마다 꾸준히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특히 음식업은 매 분기 5000명 넘게 줄고 있다.
건설경기 부진도 영향을 미쳤다. 1분기 건설업 청년 사업자는 1만 4472명으로 247명 줄어들며 역시 역대 최대 감소폭을 기록했다. 해당 업종도 지난해 3분기부터 3개 분기 연속 감소세다.
전문가들은 청년 창업이 기술 기반보다는 음식점이나 카페 등 진입장벽이 낮은 업종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위험 요인으로 지목한다. 우석진 명지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런 업종은 이미 포화 상태이거나 수요 자체가 많지 않다”며 “청년들이 생존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청년 창업 부진은 고용시장 악화와도 맞물린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지난해 5월부터 13개월 연속 하락세다. 청년 실업률도 올해 초부터 7% 안팎을 오르내리며 높은 수준을 이어가고 있다.
김광석 한국경제산업연구원 경제연구실장은 “취업이 어려워 창업에 나선 청년들이지만 자본이 부족해 부채 의존도가 높다 보니 고금리 상황에서는 폐업 위험이 크다”며 “청년층의 경제적 기반이 점점 더 취약해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