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세대(6G) 기술이 보급되면 통신망 인프라가 데이터를 주고받는 역할을 넘어 주변을 보고 느끼는 센서로 진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도심 교차로에서 보행자 위치를 10㎝ 이하의 정밀도로 감지하는 등 기술 발전을 통해 통신업과 자율주행 등 고부가가치 산업 간 시너지가 강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LG유플러스는 이 같은 내용을 담아 통신·센싱 융합 기술(ISAC)을 주제로 ‘2025년 6G 백서’를 발간했다고 17일 밝혔다. 이번 백서는 LG유플러스가 2023년부터 발간한 6세대(6G) 백서의 후속판이다.
6G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ISAC은 기존 통신 인프라를 센서처럼 활용해 기기를 가지고 있지 않은 사람이나 사물도 감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을 들고 있지 않은 보행자의 움직임이나 도로 위 장애물, 공장 기계의 미세한 진동까지도 통신망을 통해 인식할 수 있다. 스마트팩토리에선 로봇과 작업자의 실시간 위치를 기반으로 디지털 트윈이 구현된다.
백서에서는 ISAC 기술의 원리와 구조를 설명하며 다양한 센싱 구조를 소개했다. 또한 통신 성능 저하 없이 센싱 기능을 구현하는 최신 기술 동향도 함께 다뤘다. LG유플러스는 통신 네트워크가 단순한 데이터 전달을 넘어 지능형 환경 인지와 실시간 상호작용이 가능한 인프라로 진화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를 통해 통신사는 스마트시티, 자율주행 등 고부가가치 산업 영역으로의 확장이 가능하며 기존 인프라를 활용한 서비스형 센싱 모델을 통해 새로운 수익 창출을 기대할 수 있다.
백서에서는 ISAC의 주요 활용 시나리오로 △센싱 기반 통신 최적화 △통신 기반 센싱 확장 △통신·센싱 융합 서비스 구현을 제시한다. 특히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자원 할당 최적화와 엣지 기반 분산 처리 구조는 ISAC의 실시간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핵심 요소로 평가된다.
이혜진 LG유플러스 기술전략담당은 “ISAC는 6G 시대의 게임 체인저로 통신 네트워크가 단순한 데이터 파이프를 넘어 세상을 감지하고 이해하는 지능형 인프라로 진화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이라며 “LG유플러스는 ISAC 기술 개발과 글로벌 표준화 활동으로 6G 시대를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ldmetal@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