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시 변동성이 커지자 개인 투자자들이 안전자산인 금 관련 상장지수펀드(ETF)로 몰리고 있다.
20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이달 1∼19일 개인 투자자는 ‘ACE KRX 금 현물’ ETF를 1494억 원 순매수했다. ‘TIGER KRX 금 현물’(561억 원), ‘ACE 골드 선물 레버리지(합성 H)’(3억 원), ‘TIGER 골드 선물(H)’(2억 원) 역시 매수 우위를 보였다.
특히 ‘TIGER KRX 금 현물’ ETF는 이달 들어 하루도 빠지지 않고 순매수가 이어졌고, ‘ACE KRX 금 현물’도 18일 하루를 제외하면 연일 매수세가 유입됐다.
이달 코스피가 약 3%대 급등락을 반복하면서, 개인 투자자들이 금 ETF를 활용해 분산 투자에 나선 것으로 풀이된다. 금은 닷컴버블과 글로벌 금융위기 등 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때마다 주목받는 대표적 안전자산이다.
최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12월 기준금리 인하 기대가 약해지며 금 가격도 숨 고르기에 들어갔지만, 개인 투자자의 금 ETF 매수세는 꾸준히 이어지는 모습이다. 내년 Fed가 통화 완화적 기조로 전환할 가능성이 개인들의 금 선호 심리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금 가격이 트로이온스당 최대 5000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미국 경제의 양방향 리스크와 연준의 완화적 통화정책, 그리고 금의 안전자산·인플레이션 헤지 기능을 고려하면 수요가 여전히 견고하다는 이유에서다.
황병진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골드바, 코인, ETP(상장지수상품) 중심의 투자자 수요와 중앙은행들의 외환 보유고 다변화용 실물 매입세가 2026년에도 금 가격 상승세를 지지할 것"이라며 "내 금 가격 범위는 온스당 3800∼5000달러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diver@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