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별자(ID) 기반기술로 5G·IoT 시대 대비
국내 연구진이 그동안 우리가 사용하는 인터넷 프로토콜(IP) 기반의 유·무선 통신의 네트워크 기술을 대체할 수 있는 핵심기술을 개발했다. 식별자(ID)에 기반한 이 기술은 앞으로 수많은 기기들이 연결되는 5세대(5G) 이동통신·사물인터넷(IoT) 시대에 긴요하게 쓰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는 28일 ID 기반 차세대 네트워킹 핵심 기술개발에 성공, 이를 검증 완료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대규모성 네트워크에서도 빠르게 정보전달 경로를 찾는 라우팅 프로토콜 ▲대규모 통신 객체의 위치를 실시간 찾고 구조적 이동성을 제공하는 매핑시스템 ▲인증 정보가 포함된 식별자를 이용, 네트워크 자체적으로 송신자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디도스(DDoS) 공격에 효율적 대응할 수 있는 신뢰통신 프로토콜 등이다.
인터넷 주소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수신자가 이동할 때는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없는 IP와 달리 ID는 단말·사람·데이터·서비스 등에 독립적으로 식별자를 부여하기 때문에 움직일 때도 네트워크를 쓸 수 있다. 특히 이 기술은 앞으로 수백 억 개 이상의 기기들이 연결돼 높은 보안성이 요구되는 5G 이동통신과 IoT 시대에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정희영 ETRI ID통신연구실장은 “차세대 네트워크 기술은 ID를 기반으로 해야된다는 데 전 세계가 공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무엇보다 ID 핵심기술 확보는 우리나라 인터넷 장비 시장의 외산 의존도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 하다. IP 기반 기술은 미국에서 시작했다 보니 인터넷 장비시장뿐만 아니라 서비스 시장까지도 외산이 주도하고 있다. 장비의 경우는 미국 등 주요 선진국이 80% 이상을 점유하는 형편이다.
정 실장은 “차세대 네트워크 시장에서는 선진국과 동등하게 기술 경쟁을 할 수 있는 토종 원천기술을 꼭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ETRI는 본 기술이 미래창조과학부의 ‘고품격 미래인터넷을 위한 식별자 기반 네트워킹 기술 연구’ 과제의 일환으로 개발됐다고 밝혔다.
/윤경환기자 ykh22@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