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측의 개성공단 통행차단 조치 이후 가슴을 졸이던 우리 측의 입주기업인들은 북한에 체류 중이던 개성공단 근로자들이 모두 귀환하면서 일단은 한숨을 돌린 모습이다. 하지만 여전히 북측으로의 물자 및 인력 통행이 금지된 가운데 입주기업들은 "정부의 소극적인 대응이 문제를 키웠다"며 보다 적극적인 정부의 개입을 촉구하고 있다. 이번 사태에 따른 기업들의 경제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전자부품을 생산하는 프렉코의 지춘근 대표는 "새 정권 출범 이후 남북관계가 경색되면서 북측 고위 인사들 사이에서 개성공단 및 대남사업 중단에 관한 얘기들이 직ㆍ간접적으로 흘러나왔지만 정부가 너무 안일하게 대처하고 있는 것 같다"며 "지난해 말부터 개성공단 문제가 불거질 때마다 입주기업들은 실질적으로 정부의 무관심 속에 '고립무원' 상황에 놓여 있다"고 호소했다. 실제 지난해 말 북측의 '12ㆍ1' 조치 이후 공단 입주기업들은 상주인력 감축과 남북관계 긴장에 따른 주문량 감소 등의 악재에 이번 통행차단 장기화 사태까지 겹치면서 기업활동에 막대한 차질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 일부 업체는 부도 직전의 상황으로 내몰릴 정도로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개성공단기업협의회 부회장인 배해동 태성산업 대표는 16일 "이번 남측 인원 귀환 조치는 환영하지만 남측의 생산 원자재나 인력들이 북측으로 들어가지 못해 기업들의 생산활동이 중단될 위기에 놓여 있다"며 "지난해의 '12ㆍ1 조치' 이후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생산량이 전년 대비 30%가량 줄어들 정도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개성공단 사태가 조속히 정상화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중소기업중앙회도 이날 개성공단 육로 통행 차단과 관련,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대부분이 중소기업으로 대기업 또는 모기업에 납품하는 경우가 많다"며 "짧은 기간의 조업 차질에도 기업은 돌이킬 수 없는 심각한 타격을 입을 수 있다"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처럼 기업들의 경제적 손실이 누적되면서 보다 적극적인 정부 대책을 호소하는 목소리도 고조되고 있다. 조봉현 기은연구소 박사는 "북한이 남측 정부의 대북정책 기조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개성공단을 이용하고 있는 만큼 대북 강경 발언 및 정책은 자제할 필요가 있다"면서 "생산량 감소 등으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입주기업들을 위해서는 한시적으로 운용자금을 지원해주거나 수출활로를 개척할 수 있도록 실질적인 도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중기중앙회도 "개성공단 입주 중소기업의 심각한 경영난을 해소하고 향후 개성공단 발전, 남북경협 활성화 등을 위해 개성공단 통행은 무조건 재개돼야 한다"면서 정부에 대해 "이번 같은 상황의 재발을 막기 위해 모든 방안을 강구하고 입주기업의 의견을 충분히 반영한 '개성공단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종합 대책'을 조속히 마련해달라"고 요구했다. 중앙회는 아울러 "안정된 통행만 보장된다면 개성공단은 세계 그 어떤 공단보다도 경쟁력을 갖춘 곳으로 발전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의 중소기업 도약도 가능하다"며 개성공단의 사업성 자체는 여전히 유망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