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팝업창 닫기
이메일보내기

[서경이 만난 사람] 이철휘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

[서경이 만난 사람] 이철휘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br>외환위기때 부실채권 정리 노하우가 최대무기<br>공기업 감독법률 규제 심해 투자활성화 걸림돌<br>금융소외자 재기 지원 사업도 적극 참여할것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가 외환위기 극복과정에서 경험한 부실채권 인수ㆍ정리는 귀중한 국민의 자산입니다. 전세계 투자은행(IB)들도 해보지 못한 일이지요. 과거 경험을 토대로 미국 등 국제무대에 적극 진출할 계획입니다.” 이철휘(55) 캠코 사장은 강남 삼성동 본사에서 가진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국제무대 진출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미국 부실채권 투자 프로젝트가 아주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밝혔다. 이 사장은 “미국계 IB들이 앞다퉈 협력의사를 밝혀오고 있는 등 상상 이상으로 반응이 뜨겁다”며 “최근 일본계 대형 IB가 2억~3억달러 규모로 별도의 투자제안도 해왔다”고 덧붙였다. 이어 그는 “국제금융시장이 불안할 때 기회가 있기 마련”이라면서도 “미국의 어려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고 실제 투자는 좀 더 지켜볼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덧붙여 그는 새 정부가 추진 중인 금융소외자 지원을 위한 ‘마이크로 크레디트’ 사업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등 캠코의 위상도 한층 강화해나갈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또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공기업 투자 활성화가 필요한데 현행 공기업 감독 법률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규제가 심하다”는 지적도 빼놓지 않았다. -취임한 지 두달여가 지났다. 공기업 캠코에 대한 회의적 시각도 있는데 어떻게 보고 계신지요. ▦(굳은 표정으로) 취임 후 사심 없이 기존 업무를 정리하고 다른 방향으로 잡는 것도 생각해봤습니다. 하지만 그렇지가 않더군요. 공기업 중에서 캠코만한 역할과 기대를 가진 조직도 없습니다. 특히 부실채권 정리 및 기업구조조정 경험ㆍ노하우는 국가의 소중한 자산이지요. 이를 사장시키는 것은 국가적 손실이라고 단호히 반박하고 싶습니다. 미국 IB들도 한국이 상시적 금융구조조정기관인 캠코를 갖고 있다는 것을 매우 부러워하고 있습니다. -새 정부에서 공공 부문 개혁이 이슈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취임사에서 캠코의 대대적 개혁을 예고하기도 했습니다. ▦중장기 비전이 있는데요. 그것은 글로벌 자산관리회사로 도약하는 것이지요. 이를 위해서는 과감히 개혁하고 재정비해야 합니다. 최근 인사 및 조직을 개편했는데 조직을 슬림화하고 철저한 성과주의 인사를 단행했습니다. 비효율적인 요소를 철저히 개혁해나가는 것이 필요하고 앞으로도 지속해나갈 계획입니다. -미국 부실채권 시장 등 국제무대 진출도 추진하고 있는데 성공할 수 있을까요. ▦캠코가 외환위기 이후 터득한 노하우는 귀중한 국민의 자산이지요. 이런 노하우와 경험을 살려 국제무대에 뛰어들자고 결심했지요. 때마침 국제금융시장이 흔들리면서 다국적 IB들도 흔들리고 있습니다. 이런 환경을 잘 이용하면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우선 많이 배울 수 있고 잘하면 돈도 많이 벌 수 있습니다. 좋은 성적이 나올 것이라 자신합니다. -첫 해외 부실채권 시장 진출로 중국시장을 노크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방향을 바꾼 것으로 아는데요. ▦사장에 취임하면서 방향을 바꿨습니다. 지금 중국에 들어가서 부실채권을 사는 것은 조금 비싼 값을 지불하게 되지요. 중국시장도 조만간 여러 어려움에 처할 것이고, 이 과정에서 진출해야 주도권도 잡고 싸게 살 수 있지요. 이런 관점에서 미국으로 선회했습니다. 개구리가 큰 세상을 모르고 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정찰대(현지 답사)를 보낸 결과 예상이 적중했습니다. -미국의 반응이 궁금합니다. ▦(미국시장 반응이) 상상 이상이었습니다. 뒤집어서 이야기하면 미국시장이 그만큼 어렵다는 것이지요. 이런 경우 우리에게 찬스가 생기기 마련입니다. 일단 투자 규모로 5억달러를 예상하고 있는데 돈은 금방 모일 것 같습니다. 미국 굴지의 투자은행이 캠코 진출시 전폭적으로 협력할 의사가 있다고 밝혀왔고요. 일본계 대형 IB에서 2억~3억달러 규모로 별도로 같이 투자하면 어떻겠냐는 제안도 들어왔습니다. 단 투자 시기는 좀 더 지켜볼 계획입니다. 미국시장의 어려움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게 저의 생각입니다. -국제 부실채권 시장 진출시 우리가 부수적으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있을까요. ▦(좋은 질문입니다.) 재미교포들의 부실채권 문제가 심각합니다. 미국 금융기관은 이를 해결해주지 못합니다. 이런 부분에 대해 어떤 식으로든 도와주고 싶습니다. 채무자(교포)들의 재생 프로그램을 만들어주는 것이지요. 더 나아가 재일교포 불량채권 문제에도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해외시장에 진출하려면 자금이 많이 필요할 것 같은데요. ▦자금 모집은 문제 없습니다. 문제는 공기업 규제가 너무 많다는 것인데요. 참여정부에서 공기업 운영에 관한 법률을 만들었는데 그 법률은 상상하기 어려울 정도로 규제가 심합니다. 극단적으로 이야기하면 책상에 않아 있는 사무관이 전 공기업을 관리하는 것이지요. 그런 것을 왜 만들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경제회복을 위해서는 공공 부문 투자 활성화도 이뤄져야 하는데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우려됩니다. -금융소외자를 위한 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도 계획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동안 신용회복 지원 대책은 일회성 성격이 강했습니다. 양극화 해소를 위해서는 빈곤층을 중산층으로 끌어올리지 않으면 안됩니다. 마이크로크레디트 사업은 생활 프로그램도 짜주고 가계도 열어주는 등 빈곤층이 다시 재기할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신용회복 지원 사업은 극단적으로 돈을 떼여도 좋다는 각오가 필요합니다. 민간업체가 수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캠코는 그동안 80만명의 금융채무 불이행자들이 정상적인 금융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등 가장 효율적인 지원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부실채권정리기금을 활용하면 재원으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인수위원회 때부터 새 정부와 이 문제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습니다. -대우조선해양ㆍ쌍용건설 등의 인수합병(M&A)도 추진하고 있는데 계획을 말씀해주시지요. ▦쌍용건설 M&A는 상반기 내에 종결되도록 추진할 계획입니다. 대우인터내셔널은 오는 2009년도에 최종 매각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대우조선해양은 최대 주주인 산업은행에서 주관하는데 공사와 협의해 공동 매각할 계획입니다. 잘못하면 헐값에 팔 수 있어 파는 시기를 잘 택하는 게 중요하다고 봅니다. 한 가지 이야기하고 싶은 게 있는데 현재는 여러 곳에서 공기업 M&A를 추진하고 있지요. 창구 일원화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의 희망은) 캠코가 민영화 주관 기관으로 업그레이드됐으면 합니다.
"최근 韓·美 경제흐름 日 거품붕괴때와 유사"
"금리등 경기부양책도 독배 작용할 가능성"

이철휘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 사장은 '일본의 잃어버린 10년'에 대한 기억이 생생하다고 한다. 재경관 근무 등 10년 넘게 일본에 머물면서 버블 붕괴 과정을 직접 목격하고 체험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그는 최근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부실 등 금융위기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그의 우려는 생각보다 강도가 높았다. 미국이나 한국 경제의 흐름이 일본의 거품 붕괴 때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그는 "버블 붕괴 과정에서는 미래에 대한 장밋빛 낙관과 이에 따른 과잉유동성이 문제인데 현재 미국이나 한국 경제가 그런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그는 "현재 미국의 위기는 과잉유동성에서 비롯됐고, 먼저 부동산시장이 붕괴되면서 금융시장이 무너지고 그 과정에서 나오는 정부 대책 등이 과거 일본 붕괴 때와 판에 박힌 듯 똑같다"고 전했다. 이 사장은 이어 "일본은 토지자본주의로 불릴 정도로 부동산 신화가 강하다. 버블 붕괴 직전 과잉유동성이 만연한 일본의 경우 은행들이 자금을 활용할 수 없어 '돈을 빌려주겠다' '건물도 지어주겠다'며 토지개발을 부추겼는데 미국도 예외는 아니다"고 덧붙였다. 특히 미국이 서브프라임발 경기침체를 막으려고 증시 부양 등을 위해 금리를 내리고 있는데 이 역시 과거 일본이 취한 정책과 같고, 이것은 독배로 작용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금리는 절대 증권시장을 받쳐주는 안전핀이 아닌데 만병통치약으로 착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그의 걱정은 한국 경제에도 미쳤다. 이 사장은 "우리 경제 흐름을 보면 과거 일본 버블 붕괴와 유사하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이 시장 분위기인데 위험을 경고하는 의견에 대한 냉소적인 반응이 대표적"이라고 우려를 표명했다. 이어 그는 "만약 버블 붕괴의 방아쇠가 당겨지면 속도는 훨씬 빠르고 전세계가 영향권에 들게 된다"며 "거품이 급격히 제거되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할 충격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충고했다.

■ 약력


△1953년 인천 △1972년 경기고 △1976년 서울대 무역학과 △1975년 제17회 행정고시 합격 △1989년 재무부 과장 △1992년 일본 대장성 재정금융연구소 연구위원 △1993년 일본 노무라 종합연구소 객원연구위원 △1996년 대통령 비서실 경제비서실 총괄국장 △1997년 일본 대사관 재경관 △2002~2003년 재정경제부 공보관 및 국고국장 △2004년 아시아개발은행(ADB) 이사 △2007년 재정부 대외부문 부총리 특별보좌관 △2008년 1월 한국자산관리공사 사장(현)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울경제 1q60